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319
한자 狐島里
영어공식명칭 Hodo-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호도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 녹도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 녹도리에서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녹도리로 개편
성격 행정리
면적 1.3㎢
가구수 101가구
인구[남/여] 200명[남 107명|여 93명]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에 속하는 녹도리를 관할하는 행정리.

[개설]

행정리는 인구와 생활권을 고려하여 법정리에 1개 또는 여러 개로 설치한 행정구역으로, 20~100 가구(家口)가 모여사는 전통적인 촌 또는 부락을 기초로 하는 경우가 많다.

호도리(狐島里)는 법정리로서의 녹도리(鹿島里)에 속한 2개 행정리의 하나이다. 2개 행정리는 녹도리와 호도리이다. 호도리의 지리적 특성은 명칭 유래, 형성 및 변천, 자연환경, 현황 등을 통하여 파악될 수 있다.

[명칭 유래]

호도녹도 북쪽에 있는 섬으로 예부터 ‘여슴’으로 불렸으며, ‘여슴’을 한자로 ‘호도(狐島)’로 표기하면서 유래되었다.

[형성 및 변천]

녹도리는 본래 오천군 하서면(河西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녹도리, 호도리, 석도(石島), 화사도리(華沙島里), 길산도(吉山島), 외점도(外點島), 명덕도(明德島)를 병합하여 ‘녹도리’라 하여 보령군 오천면에 편입되었다. 호도리는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보령군 오천면 녹도리가 법정리로 개설될 때 녹도리에 포함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 보령군이 시로 승격하여 녹도리의 행정구역상의 지위가 보령시 오천면 녹도리로 변경되면서 녹도리의 행정리의 하나인 호도리도 행정구역상의 지위가 같이 변경되었다.

[자연환경]

호도리를 이루는 호도오천면 앞바다의 녹도 윗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호도녹도리에 속한 총 22개의 섬들 중의 하나인 동시에 2개 유인도[녹도, 호도] 중의 하나이다.

호도의 대부분이 2개의 낮은 구릉성 산지를 형성하고 있는데, 남부에는 높이 80여 m의 낮은 구릉성 산지[87.3m]를, 북부는 70여 m의 낮은 구릉성 산지[75.7m]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서부의 해안에는 해안사빈이 비교적 대규모로 형성되어 있다. 해안사빈은 해수욕장으로 개발되어 있다. 남서부와 북부의 해안에는 바위 형태의 암석지형인 해안바위가 형성되어 있다. 북부 해안에는 어촌인 호도마을이 자리하고 있고, 선착장이 개설되어 있다. 북부와 남부의 서측 구릉지 완사면 일대에서는 밭농사가 국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황]

호도리의 면적은 2022년 4월 기준으로 1.3㎢이다. 호도리에 속한 자연마을로는 호도 등이 있다[보령시행정지도 기준]. 가구와 인구의 분포를 보면, 2020년 12월 31일 기준 101가구에 총 200명으로 남자 107명, 여자 93명이다. 호도의 해안 일대에 도로가 소규모로 개설되어 있으며, 주요 시설로는 호도선착장, 청파초등학교 호도분교장호도해수욕장이 있다.

호도선착장을 통하여 외부 지역인 다른 섬이나 육지와 해운으로 연결된다. 2022년 기준 호도까지의 정기여객선은 대천항 연안여객선터미널에서 신한해운에 의하여 ‘대천↔외연도’ 항로 운항의 일환으로 운행되고 있는데, 웨스턴프런티어호가 투입되고 있다. ‘대천↔외연도’ 항로의 운항 일정을 보면, 4~6월, 9월은 대천항에서 08:00, 14:00에, 호도에서 10:45, 16:45에, 녹도에서 10:30, 16:30에, 외연도에서 09:50, 15:50에 각각 출항한다. 3월은 대천항에서 08:00, 13:00에, 호도에서 10:45, 15:45에, 녹도에서 10:30, 15:30에, 외연도에서 09:50, 14:50에 각각 출항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