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305
한자 宋命基
영어공식명칭 Song Myeonggi
이칭/별칭 정부(定夫),매헌(梅軒)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80년연표보기 - 송명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27년 - 송명기 진사시 합격
몰년 시기/일시 1755년연표보기 - 송명기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83년 - 송명기 매양서원에 배향
출생지 매남 -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매남 -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매양서원 -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로37길 48[매천동 46]지도보기
성격 학자
성별 남성
본관 야로(冶爐)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출신의 학자.

[가계]

송명기(宋命基)[1680~1775]의 본관은 야로(冶爐)이며, 자는 정부(定夫), 호는 매헌(梅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시철(宋時哲)이고, 할아버지는 송세은(宋世殷)이다. 아버지는 송희(宋熙)이고, 어머니는 의성김씨(義城金氏)이다. 부인은 이달신(李達新)의 딸 경산이씨(京山李氏)이며, 아들은 송이석(宋履錫)·송이진(宋履鎭)이다.

[활동 사항]

송명기는 1680년(숙종 6) 지금의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에서 태어났다. 1727년(영조 3) 사마시에 합격하였지만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였다. 심성이기설(心性理氣說)을 그림으로 그려 밝히기도 하였다. 특히 서헌(恕軒) 이세형(李世珩)과의 '인심도심(人心道心)'과 '사단칠론(四端七論)' 논쟁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평생 주희(朱熹)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학문을 따르며 『주자서(朱子書)』와 『퇴도문집(退陶文集)』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고 한다. 1775년(영조 51)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송명기의 저술로는 『매헌집(梅軒集)』 5권 2책이 있다.

[상훈과 추모]

송명기는 1783년(정조 7) 북구 매천로37길 48[매천동 46]에 있는 매양서원(梅陽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8.07 내용 수정 [가계] 부인은 이달신(李達新)의 딸 성주이씨(星州李氏)이며, → 부인은 이달신(李達新)의 딸 경산이씨(京山李氏)이며,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