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사충과 대명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101
한자 杜思忠- 大明洞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석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2년 - 「두사충과 대명동」 『한국구비문학』Ⅱ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9년 - 「두사충과 대명동」 『대구지명유래총람』에 수록
관련 지명 대명동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지도보기
관련 지명 모명재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525길 14-21[만촌동 715-1]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두사충
모티프 유형 지명 유래담

[정의]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과 귀화 장군인 두사충에 관하여 전하여 오는 이야기.

[개설]

「두사충과 대명동」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大明洞)의 지명 유래와 중국 귀화 장군인 두사충(杜師忠)에 관하여 전하여 오는 이야기이다. 조선 시대 귀화 장군인 두사충이 지금의 대명동에 터를 잡고 동네 이름을 ‘대명동’이라 하였다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두사충과 대명동」은 2002년에 펴낸 『한국구비문학』Ⅱ과 대구광역시에서 펴낸 『대구지명유래총람』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은 중국인 두사충과 관련된 지명이다. 두사충은 중국 두릉(杜陵)[두링] 출신인데, 임진왜란(壬辰倭亂)[1592]과 정유재란(丁酉再亂)[1597] 때 우리나라를 돕기 위하여 왔다가 귀국하지 않고 귀화한 장군이다. 두사충이여송(李如松)[?~1598]의 일급 참모로서 큰 전공을 세웠다. 특히 이순신(李舜臣)[1545~1598]과 두사충이 각별하였는데, 이순신이 두사충을 위하여 “북거동감고(北去同甘苦) 동래공사생(東來共死生) 성남타야월(城南他夜月) 금일일배정(今日一盃情)[북으로 가면 고락을 같이하고 동으로 오면 죽고 사는 것을 함께하네 성 남쪽 타향의 밝은 달 아래 오늘 한 잔 술로써 정을 나누세]”라는 한시를 읊기도 하였다. 두사충이 귀화하자 조정에서는 두사충의 전공을 인정하여 지금의 경상감영공원(慶尙監營公園) 자리를 주어 살게 하였다. 두사충경상감영(慶尙監營)이 자신이 살던 곳으로 옮겨 오자 땅을 모두 내놓고 지금의 계산동(桂山洞)으로 옮겼다. 그러나 고향에 두고 온 부인과 형제들이 그리운 나머지 최정산(最頂山)[지금의 대덕산(大德山)] 밑으로 집을 옮기고 고국인 명나라를 생각하는 뜻에서 동네 이름을 ‘대명동’이라고 붙이고, 단을 쌓아 매월 초하루에 고국의 천자에게 배례를 올렸다고 한다. 그 후 두사충이 세상을 떠나자 자손들이 묘를 두사충이 자신의 묘지 터로 잡아 둔 고산(孤山)의 명당에 쓰지 못하고 형제봉 기슭에 썼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두사충과 대명동」은 지명 유래담을 주요 모티프로 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