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429
한자 楊波居士鄭公洛敎義惠不忘碑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 89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희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37년연표보기 - 양파거사정공락교의혜불망비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4년 - 양파정 건립
현 소재지 양파거사정공락교의혜불망비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 89 지도보기
성격 불망비
양식 석비
관련 인물 정락교
재질 석재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정락교의 구휼 정신을 기린 비.

[개설]

양파(楊波) 정락교(鄭洛敎)[1863~1938]의 주민 구제활동을 기려 광산군 석곡면[지금의 광주광역시 북구 석곡동] 소작인들이 세운 비이다. 정락교는 온양정씨(溫陽鄭氏)로 참봉(參奉) 벼슬을 역임하였으며, 석서정(石犀亭)의 옛터에 양파정(楊波亭)을 건립하여 광주부[지금의 광주광역시]에 기증하였다.

[건립 경위]

1937년 정락교의 주민 의연(義捐)에 대한 공을 기려 석곡면 금곡리·충효리·덕의리 소작인 일동이 세웠다.

[위치]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금곡마을 계류 옆 길가 밭에 있다. 옆에 임병룡의 비[승지임병룡혜시불망비(承旨林炳龍惠施不忘碑)]가 있다.

[형태]

대좌 부분은 일부가 묻혀 있으며, 비신을 세우고 한옥 지붕형의 비의 머리를 얹었다.

[금석문]

앞면에 큰 글자로 '양파거사 정공락교 의혜불망비(楊波居士鄭公洛敎義惠不忘碑)'라 새겼다. 좌우로 '재인행지 포의처지 선찰궁□ 혜급하□(載仁行之 抱義處之 善察窮□ 惠及遐□)' 찬문이 있다. 뒷면에 연대와 세운 주체를 새겼다.

[현황]

하부 일부가 묻혀 있으며, 앞면에 비제와 찬문을 새겼다.

[의의와 평가]

정락교의 주민 구휼에 대한 정신을 기려 세운 불망비로 근대기 향촌 사회 모습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