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849
한자 東雲高速道路
영어공식명칭 Dongun High-level Road
이칭/별칭 동운고가교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백현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73년연표보기 - 동운고가도로 개통
전구간 동운고가도로 -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
해당 지역 경유 구간 동운고가도로 -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 지도보기
성격 도로
길이 300m[동운고가교]|280m[동운고가교램프-1]|170m[동운고가교램프-2]|20.5m[동운고가철도횡단육교]
차선 4차선[왕복][동운고가교]|하행 2차선[동운고가교램프-1]|상행 2차선[동운고가교램프-2]
30m[동운고가교]|10m[동운고가교램프-1]|9m[동운고가교램프-2]|1.5m[동운고가철도횡단육교]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에 있는 고가도로.

[개설]

동운고가도로무등로와 북문로, 서암대로의 기점이면서, 램프를 통하여 서구 농성동의 농성교차로와 동운고가 북단 교차로를 잇는 죽봉대로와 이어지고, 광주광역시의 주요 도로인 북문로와 북문대로를 무신호로 잇는다. 또한 서광주나들목을 통하여 광주광역시로 들어오는 관문 역할을 하며, 주요 도심을 연결하는 중심 도로이다.

[명칭 유래]

동운고가도로의 동운(東雲)은 1957년 법정동인 동림동, 운암동을 관리하는 행정동명을 합성하여 붙여진 도로명이다.

[제원]

동운고가도로동운고가교, 동운고가교램프-1, 동운고가교램프-2, 동운고가철도횡단육교로 구성된다.

동운고가교는 왕복 4차선의 교량 형태의 도로로 총 길이는 300m, 총 폭 30m, 유효 폭 30m, 높이는 6.5m이다. 경간 수는 15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30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RC중공슬래브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T형 교각식이다. 또한 철도 위를 통과하는 과선교로 분류되고, 설계하중은 DB-23이 적용되었다.

동운고가교Ramp-1은 하행 2차선의 교량 형태의 도로로 총 길이는 280m, 총 폭 10m, 유효 폭 9.2m, 높이는 6.5m이다. 경간 수는 15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37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RC중공슬래브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T형 교각식이다. 설계하중은 DB-23이 적용되었다.

동운고가교Ramp-2는 상행 2차선의 교량 형태의 도로로 총 길이는 170m, 총 폭 9m, 유효 폭 8.1m, 교량의 높이는 6.5m이다. 경간 수는 11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28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RC중공슬래브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T형 교각식이다. 설계하중은 DB-23이 적용되었다.

동운고가철도횡단육교는 인도교로 총 길이 20.5m, 총 폭 1.5m, 면적 30.8㎡, 높이 6.5m, 경간 수 1개, 상부구조 형식은 강판형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T형 교각식으로 C등급 평가를 받았다.

[건립 경위]

동운고가도로는 1973년 호남고속도로가 광주광역시와 연결되면서 북구 운암동 99번지 동운교차로에 가설되었다.

[변천]

1989년 6월 28일 제1순환로와 연결되는 서암대로와 광천교 방면으로 가는 죽봉대로를 무신호로 연결하는 동운고가도로의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현황]

동운고가도로광주광역시 종합건설본부에서 관리한다. 동운고가도로의 형태는 급경사와 급커브의 구조여서 교통체증과 교통사고 유발, 결빙사고 다발지역으로 위험도로 시설이 되었고, 실제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