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0264
한자 道路
영어공식명칭 Road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화성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고병옥

[정의]

경기도 화성시에 사람과 물자 수송을 위해 건립된 길.

[개설]

도로(道路)는 사전적 의미로는 차나 우마 및 사람 등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오갈 수 있게 만들어진 거의 일정한 너비로 뻗은 땅 위의 선이다. 우리나라의 「도로법」에 따르면 일반의 교통에 공용되는 도로로 고속도로·일반국도·특별시도·광역시도·지방도·시도·군도·구도를 지칭하며, 터널·교량 등의 시설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화성시의 도로는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시군도를 포함하며, 2019년 기준 총연장 거리는 782.6㎞이다. 경기도 전체의 5.6%를 차지하여 31개 시·군 가운데 수원시, 안산시, 평택시, 고양시 다음으로 길다. 이 가운데 고속도로는 87.8㎞, 일반국도는 118.2㎞, 지방도는 251.2㎞, 시도는 258.0㎞를 차지한다.

주요 터널은 서신면에 구봉터널·굴고개터널·당성터널, 남양읍에 남양터널, 비봉면에 쌍학터널 등이 있으며, 교량으로는 평택시흥고속도로의 마도교를 포함하여 총 469개가 있다.

[고속국도]

화성시를 경유하는 고속도로는 총 6개로, 17개 나들목[IC]과 9개 분기점[JC]의 진출입로로 구성된다. 2019년 기준 총연장 거리는 87.8㎞이다. 경부고속도로[고속국도 제1호]가 부산광역시 금정구에서 화성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서초구까지 이어진다. 화성시 구간에는 동탄분기점과 기흥동탄나들목이 있다.

서해안고속도로[고속국도 제15호]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전라북도·충청남도와 화성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이어져 서해안 지역의 남북을 연결한다. 화성시 구간에는 발안나들목, 화성휴게소, 팔탄분기점, 비봉나들목, 매송휴게소, 매송나들목이 있다.

평택파주고속도로[고속국도 제17호]는 평택시 오성면을 기점으로 화성시를 거쳐 파주시까지 이어진다. 화성시 구간에는 양감나들목과 향남나들목이 있다.

평택시흥고속도로[고속국도 제153호]는 평택시 청북읍을 기점으로 화성시를 거쳐 시흥시까지 이어진다. 화성시 구간에는 조암나들목, 마도분기점, 송산마도나들목, 송산포도휴게소가 있다. 오산화성고속도로[고속국도 제171호]는 오산시 세마동을 기점으로 화성시 정남면을 거쳐 안녕나들목까지 이어진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고속국도 제400호]는 봉담읍을 기점으로 하여 경기도·인천지역을 순환하고 화성시 구간 마도분기점에서 평택시흥고속도로, 팔탄분기점에서 서해안고속도로, 화성분기점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연결되고 마도·화성·남비봉팔탄·남봉담·정남나들목이 있다.

[일반국도]

일반국도는 총 5개 노선이 지나간다. 2019년 기준 총연장 거리는 118.2㎞이다. 국도 제1호는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화성시를 거쳐 파주시까지 이어져 호남·충청·서울·경기지역을 남북으로 연결한다. 국도 제39호는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화성시를 거쳐 의정부시까지 이어진다.

또한 국도 제43호는 세종시~화성시~강원도 고성군까지, 국도 제77호는 부산광역시 중구~화성시~파주시까지, 국도 제82호는 평택시~화성시까지 이어진다. 국도 제1호와 국도 제43호는 안녕나들목에서 오산화성고속도로, 국도 제39호발안·비봉·매송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42호는 매송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77호와 국도 제82호는 조암나들목에서 평택시흥고속도로와 각각 접속한다.

[지방도]

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포함]는 총 17개 노선[지방도 12개, 국가지원지방도 4개]이 지나간다. 2019년 기준 총연장 거리는 251.2㎞이다.

지방도 제301호우정읍에서 전곡리를 지나 제부도로 연결되며, 지방도 제305호서신면에서 송산면 공룡 화석지 유적까지 연결된다. 지방도 제306호양감면 요당리에서 시작하여 평택시 송탄 방면으로 이어진다. 지방도 제309호향남읍에서 매송면까지 화성시 동북지역을 관통한다. 지방도 제313호장안면매송면을 연결하나 장안면우정읍 사이의 일부 구간은 미개통 상태이다.

지방도 제314호정남면 고지리에서 시작하여 평택시와 용인시를 거쳐 안성시까지 연결된다. 지방도 제315호양감면에서 반월동까지 이어져 화성시 동북지역을 동서로 연결한다. 지방도 제317호는 동탄동을 거쳐 오산시와 용인시 기흥구로 연결된다. 지방도 제322호송산면에서 화산동까지 이어지며 서해안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사이를 연결한다.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는 동탄동을 지나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제84호와 연결된다.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우정읍~장안면~팔탄면~향남읍~양감면~정남면~동탄동을 연결한다. 화성시의 동서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 중 하나이며 향남나들목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 발안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접속한다.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매송면~봉담읍~동탄동을 연결하고, 진안동에서 국도 제1호, 청계동에서 국도 제45호와 연결된다. 또한 매송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 안녕나들목에서 오산화성고속도로와 각각 접속한다.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는 수도권순환선이라 불리며 봉담읍매송면 사이를 지나며, 전체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와 중복된다. 숙곡나들목에서 국도 제39호, 천천나들목에서 지방도 제309호, 어천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13호, 매송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