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487
한자 寺刹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집필자 이영숙

[정의]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불상을 모시고 공적으로 불교 신앙을 행하는 장소.

[개설]

사찰은 불상이나 불화 등을 모시고 있는 곳으로 승려들이 수행을 하거나 불교 신자들이 찾아가서 수행과 부처님의 법음을 듣는 곳이다. 화순 지역에는 삼국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찰이 건립되었다.

[연원]

화순 지역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백제 시대부터라고 하며, 전설을 통해 볼 때 가장 오래된 사찰은 유마사이다. 1915년에 기록된 『동복 읍지』에는 “현의 남쪽 약 8㎞ 모후산 아래에 유마사가 있는데 당(唐) 정관(貞觀) 원년(元年)인 627년(정해년)에 유마운(維摩雲)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무등산 서석대 아래 자리한 규봉사도 신라 시대 의상(義湘) 대사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통일 신라 시대에 창건된 쌍봉사는 「쌍봉사 창건 비문(雙峯寺創建碑文)」에 의하면 철감 선사(澈鑑禪師)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동리산문(桐裏山門)의 개산조(開山祖)인 적인 선사(寂忍禪師) 혜철(惠哲)이 839년 2월에 귀국하여 최초로 하안거(夏安居)를 지낸 곳이 무주(武州) 관내 쌍봉사라 한 것으로 보아 늦어도 839년 이전에 창건되었다. 개천사도의 선사(道義禪師)가 828년에 창건했다고도 하고, 도선 국사(道詵國師)가 창건했다고도 하지만 모두 후대의 기록이라 확인하기 어렵고 남아있는 유적도 없다. 운주사운주사 창건 설화에 의하면, 도선 국사(道詵國師)가 국운(國運)이 일본으로 흘러가는 것을 막고 나라의 기틀을 공고히 하고자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도력(道力)으로 하룻밤 사이에 천불 천탑을 만들었다고 한다. 발굴 조사에서 10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해무리굽 청자 조각이 출토되어 늦어도 11세기 초반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려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는 만연사가 있다. 만연 선사(萬淵禪師)가 1208년(고려 희종 4) 만연산(萬淵山)[일명 나한산(羅漢山)] 아래에 창건하였다. 이들 사찰은 창건 이후 성쇠를 거듭하면서 현재까지 유서 깊은 사찰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한편,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의 공림사(公林寺)는 조선 초 능주 자복사(資福寺)로 지정되었으나 폐사되어 그 흔적을 찾기 어렵다. 이처럼 폐사된 사찰들을 고려하면 화순 지역에는 지금보다 더 많은 사찰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시대에 화순 지역에 있던 사찰들은 여러 시기에 발간된 지리지 등을 통해서 파악해 볼 수 있다. 성종(成宗) 대에 쓰인 『신증 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쌍봉사(雙峯寺)·운주사(雲住寺)·개천사(開天寺)·인량사(人良寺)·석천사(石泉寺)·만연사(萬淵寺)·연혈사(燕穴寺)·청공사(靑空寺)·운계사(雲溪寺)·장불사(長佛事)·규봉사(圭峯寺)·금석암(錦石庵)·유마사(維摩寺)·영봉사(靈峯寺)·혈암사(穴巖寺)·안심사(安心寺) 등 16개 사찰이 기록되어 있다. 현종(顯宗) 대에 쓰인 『동국 여지지(東國輿地誌)』에는 쌍봉사(雙峯寺)·운주사(雲住寺)·개천사(開天寺)·인량사(人良寺)·석천사(石泉寺)·청공사·만연사·연혈사·운계사·대흥사(大興寺)·유마사·운봉사(雲峯寺)·안심사·혈암(穴巖) 등 14개의 사찰이 기록되어 있다. 1871년에 쓰인 『호남 읍지(湖南邑誌)』에는 쌍봉사·개천사·만연사·쌍계사·유마사·영봉사·용선암(龍船庵) 등 7개의 사찰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중 만연사·쌍봉사·운주사·개천사·규봉사·유마사는 현재까지 유존하나 다른 사찰들은 폐사되었다.

[현황]

화순 지역에는 2013년 현재 45개의 사찰이 현존하고 있는데 6개의 전통 사찰과 39개의 신흥 사찰이다. 이들 사찰의 소속 종단을 살펴보면, 조계종에 소속된 사찰이 만연사를 비롯한 24개 사찰이고, 태고종 사찰이 4곳, 선각종 사찰이 3곳, 원융종 사찰이 4곳, 법화종 사찰이 3곳, 관음종·삼학종·일연정종이 각각 1곳이다. 종단에 등록을 하지 않은 사찰도 4곳이 확인된다. 전통 사찰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찰은 1980년대 이후에 창건된 사찰이며, 농촌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사찰은 많지 않아 창건과 폐사를 거듭하고 있다.

전통 사찰인 만연사는 1208년(고려 희종 4) 만연산(萬淵山) 아래에 만연 선사(萬淵禪師)가 창건하였다. 전각으로는 대웅전과 나한전·명부전·범종각과 누각인 화우천(華雨天) 및 요사채 3동이 있으며, 최근 산신각을 새로 건립하고 있다. 만연사는 광주광역시에서 가까운 지역에 위치하고 있을 뿐 아니라 초파일 연등을 사찰 내에 있는 아름다운 배롱나무에 달아 환상적인 연등 나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많은 사람이 찾고 있다. 또 만연사는 마을 기업으로 ‘연꽃 세상’을 설립하여 우리 농산물로 된장과 고추장을 담가 판매하고 있으며, 연꽃 세상 경로 식당을 운영하여 독거노인 등에게 무료 급식을 제공하고 있다.

유마사는 당나라 정관(貞觀) 원년(元年)인 627년에 유마운(維摩雲)이 창건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모후산의 아름다운 산세와 어우러져 외지의 신도들은 물론이고 많은 등산객들이 찾는 사찰이다. 최근에는 선학 대학원을 설립하여 교육 기관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한편 신도들은 보안회(普安會)를 조직하여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 화순 전남 대학교 병원에서 환자들을 위한 법회를 열고 있다. 또 사찰에서는 여름 방학과 겨울 방학에 학생과 일반인을 위한 템플 스테이를 열어 예불·참선·포행·독송·차담 등 불교 수행자들의 일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쌍봉사는 신라 시대 철감 선사(澈鑑禪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오는데 사찰 뒤편 언덕에는 철감 선사의 부도와 탑비가 있다. 부도는 신라 시대 팔각 원당형 부도 중 가장 세련되고 아름다운 모습이고, 탑비의 귀부 또한 생동감 있게 표현되어 있어 학술적으로 중요한 작품이다. 또 쌍봉사 내에 있는 대웅전은 삼층 목탑 형식인데, 우리나라에 드물게 남아있는 목탑형 건물로 우아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운주사는 천불 천탑(千佛千塔)이 있다고 기록될 정도로 많은 탑과 불상이 있다. 사찰의 모습과 배치가 특이하여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사찰이다.

규봉사무등산 동쪽 해발 870m의 고지에 자리한 사찰로 주변에 은신대(隱身臺)·삼존석(三尊石)·설법대(說法臺) 등 기암괴석이 솟아 있는 곳이다. 신라 시대에 창건된 이래 많은 선승들이 수행처로 삼았던 곳으로, 순례객과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 사찰이다.

[사찰 문화재]

화순 지역의 사찰과 관련된 문화재는 보물, 유형 문화재, 문화재 자료 등 매우 다양하다. 만연사에는 보물 제1345호로 지정된 1793년 작 「만연사 괘불탱」과 화순군 향토 문화유산 제28호인 십육나한상과 인왕상이 있다. 유마사에는 고려 시대 전기에 제작된 해련탑(海蓮塔)이 보물 제1116호로 지정되어 있고, 화순군 향토 문화유산 제30호인 유마사 보안교(普安橋)가 있다.

쌍봉사의 지정 문화재로는 국보 제57호 철감 선사탑(澈鑑禪師塔), 보물 제170호 철감 선사 탑비(澈鑑禪師塔碑), 보물 제1009호 능성 쌍봉사 감역 교지(綾城雙峯寺減役敎旨), 보물 제1726호 화순 쌍봉사 목조 지장보살 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지방 유형 문화재 제251호 대웅전 목조 삼존 불상, 지방 유형 문화재 제252호 극락전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문화재 자료 제66호 극락전이 남아있다.

현재 운주사 일원은 사적 제312호로 지정되어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운주사의 유물은 화순 운주사 구층 석탑[보물 제796호], 화순 운주사 석조 불감[보물 제797호],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 석탑[보물 제798호], 화순 운주사 와형 석조 여래불[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3호], 화순 운주사 광배 석불 좌상[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4호], 화순 운주사 마애 여래 좌상[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5호], 화순 운주사 칠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6호], 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 석탑[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화순 운주사 석조 불감 앞 칠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8호], 화순 운주사 거북 바위 교차문 칠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9호], 화순 운주사 대웅전 앞 다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80호], 화순 운주사 칠성 바위 앞 칠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81호], 화순 운주사 발형 다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82호], 화순 운주사 거북 바위 오층 석탑[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256호], 화순 운주사 수직문 칠층 석탑[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257호]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