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묵매화 병풍」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593
한자 墨梅花屛風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병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동양화
작가 하백원

[정의]

조선 후기 하백원의 7폭 매화 그림과 소장자 선대의 유묵(遺墨) 1폭이 함께 표구된 8폭 병풍.

[개설]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 출신 실학자 규남 하백원이 그린 매화 그림이다. 하백원의 후손에게 전해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종이에 수묵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매화 줄기와 꽃송이를 능숙하고 유려한 필치로 그렸다.

[형태 및 구성]

병풍 그림 한 폭의 크기는 28.5×97.5㎝이며 총 8폭이다. 첫째 그림에 전서체로 쓰인 소장자 집안 선대 유묵 1폭이 자리하고 있으며, 나머지 7폭에는 화면 하단에서 뻗어 오르기 시작한 매화나무가 이리저리 꺾이면서 긴 시간 동안 풍상을 견뎌온 모습을 보이고, 새로 돋아난 줄기들은 가볍고 경쾌하게 자라나 여기저기 꽃을 피우고 있다. 상하좌우로 뻗어나가고 휘어진 큰 줄기들은 담묵(淡墨)으로 힘찬 필치와 함께 비백(飛白)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위에 가지의 옹이들은 농묵(濃墨)으로 표현하였다. 작게 뻗은 가지들은 다시 담묵으로 가늘게 그리고, 가지 위에 꽃은 드문드문 홑꽃으로 그려져 있다.

[특징]

매화도의 이리저리 구부러진 큰 줄기는 붓에 연한 먹을 묻혀 힘차고 빠르게 그려 부분적으로 비백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그 위의 옹이진 그루터기는 진한 농묵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큰 가지에서 자라난 작은 가지는 연한 먹으로 가늘게 표현하고 있다. 이 그림은 17세기 어몽룡(魚夢龍)의 「매화도」 및 18세기 강세황이나 심사정(沈師正)의 「매화도」에서 볼 수 있는 서정적이고 격조 있는 매화의 풍치를 담고 있다.

[의의와 평가]

「묵매화 병풍」은 조선 후기 실학자인 규남 하백원이 문인의 의취(意趣)를 표현한 작품이다. 하백원「동국지도」와 「만국 전도」, 「자승차(自升車)」 등을 제작한 실학자로서, 당시 회화에도 뛰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