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영벽정 이야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2042
한자 暎碧亭-
이칭/별칭 영벽정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학포로 1922-53[관영리 1]
집필자 박종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2년 - 「영벽정」 『화순의 전설』에 수록
관련 지명 영벽정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학포로 1922-53[관영리 1]지도보기
채록지 관영리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지도보기
성격 전설
주요 등장 인물 진 처사|사미승|산신|책장수|천관사 스님
모티프 유형 신이담|풍수담|유래담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있는 영벽정에 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영벽정 이야기」는 진 처사라고 하는 사람이 산신의 도움을 받아 영벽정을 세우게 되는 신비한 과정을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영벽정」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고, 화순군청 홈페이지의 ‘향토 사료’ 항목에도 「영벽정」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貫永里)의 지석강(砥石江) 상류 영벽강(映碧江)에는 영벽정(映碧亭)이라는 정자(亭子)가 있다. 능주 고을 목사들의 영송연회(迎送宴會)가 모두 이 정자에서 베풀어졌는데, 정자가 세워진 내력에 관한 이야기가 전한다.

옛날 능주 고을에는 진 처사(陳處士)가 살았는데 영벽강에 정자를 짓기 위하여 높은 산의 거목을 베어 끌어왔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집을 지어 상량을 올려놓으면 집이 쓰러지기를 반복하였다. 이에 진 처사는 실의에 젖어 병석에 눕게 되었는데, 어느 날 꿈에 용암산의 산신이 나타나 “계책을 가르쳐 주겠다.”라고 하였다. 칠일 째 되던 날 사미승(沙彌僧)이 찾아와 터의 지세가 복토혈(伏兎穴)이라고 하면서 정자의 기둥 하나를 칡뿌리로 세우고 토끼 지장신을 그려 정자 터 중앙 주추에 묻어야 한다고 하고서는 유유히 사라져 버렸다. 진 처사는 날마다 칡뿌리 기둥을 생각하다 다시 병석에 누웠는데, 용암산 산신이 다시 나타나 뜻을 풀어 줄 사람이 찾아올 터이니 기다리라 하였다. 다음 날 책장수 노인이 나타나 하룻밤 쉬어가기를 청하자 진 처사는 그를 묵게 하고는 은근히 칡뿌리 기둥 이야기를 하였더니, 장흥 천관사(天官寺)에 500년 묵은 칡이 있는데 천관사 스님이 보호하고 있다고 말을 하였다. 이에 진 처사가 천관사를 찾아가 늙은 주지 스님을 뵙고 천관사에서 보호하고 있는 칡뿌리로 기둥을 만들 수 있도록 허락하여 줄 것을 청하였다. 이에 스님은 전생의 형님을 뵈었다고 하면서 한 달 후에 기둥을 만들어 드리겠다고 하였다. 그 뒤 한 달이 채 못 되어 영벽강에 물이 넘쳤는데, 천관사 스님이 작은 배를 타고 칡뿌리를 물에 띄워 끌고 왔다. 이렇게 하여 칡뿌리로 기둥을 세우고, 즉시 지장상(支將像)을 그려 영벽정 주춧돌 밑에 묻었는데, 그 뒤로 정자는 쓰러지지 않고 무사하였다. 이후 1931년에 원인 모를 불이 났는데 칡뿌리 기둥만은 신기하게도 조금도 타지 않았고 지금도 영벽정 기둥 중의 하나로 남아 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영벽정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신이담과 유래담이다. 영벽정을 세울 터가 풍수적으로 토혈(兎穴)이기 때문에 칡으로 만든 기둥을 세워야 하는데, 이를 용암산 산신의 도움으로 해결하였다는 신비한 이야기이면서 유래를 설명하는 유래담이 결합되어 있는 이야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