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무등산과 화순 적벽이 빚은 호남 실학의 중심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A020101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마을/마을 이야기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영평리|창랑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병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선전기 1519년 - 최산두가 적벽이라는 명칭을 부여하다.
조선후기 1579년 - 하백원이 61세 되던 1841년 석성현감으로 부임했다.
조선후기 1649년 - 하백원이 1842년 충남 보령으로 1년 동안 유배되어 생활하였으며 보령지역 유람을 통해 『해유시화첩』을 그렸다.
조선후기 1781년 - 하백원이 출생하다.
조선후기 1807년 - 김삿갓 김병연이 출생하다.
조선후기 1844년 - 하백원 사망하다.
조선후기 1863년 - 김삿갓 김병연이 사망하다.
현대 2011년 - 규남 박물관을 개관하다.
마을지 규남 박물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 164번지
마을지 무등산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
마을지 노루목 적벽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일대

[호남 실학의 선도지이자 중심지]

무등산 규봉암 아래 영평리에서 시작하여 이서천을 따라 동쪽으로 가면 야사리가 있고, 동북쪽으로 창랑리가 있는데, 주로 이 세 마을에서 실학자들이 활동하였다. 그 중 중간에 위치한 야사리 야사 마을은 조선 후기 실학자 나경적(羅景績)규남(圭南) 하백원(河百源)[1781~1844]의 출신지로서, 실학 마을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

나경적은 서양식 시계인 자명종을 만들었으며 나이 70세에는 실학자 홍대용의 재정적 도움을 받아 제자 안처인과 함께 나주에서 서양식 천측기인 기형혼천의(璣衡渾天儀)를 만들었다. 이외에도 자전마자전수차(自轉磨自轉水車), 측관의(測管儀), 구고의(勾股儀)를 제작하여 호남 실학의 역사를 선도하였다. 하백원영평리에서 터전을 옮겨온 금사(錦沙) 하윤구(河潤九)[1570~1646]의 후손이며, 나경적 실학 사상의 맥을 이어받은 성리학자이자 실학자였다. 창의적 사고로 오늘날의 양수기 기능을 하는 수차인 자승차를 연구 개발하였고, 「동국전도」와 「만국 전도」를 완성하여 호남 뿐만 아니라 야사리 실학의 역사를 빛내고 있다.

야사 마을에 2011년 11월 하백원의 규남 박물관이 개관하면서 실학 마을의 중심지로 입지를 굳혔다.

[학자들의 발길이 닿기 시작하다]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무등산화순 적벽에 자리 잡은 외진 곳이다. 그러나 화순과 곡성, 담양, 승주[현재의 순천시에 있던 지명], 광주를 잇는 교통의 중간 지점으로 조선 시대 학자들의 발길이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서면 일대가 무등산화순 적벽으로 둘러싸여 자연 경관이 매우 뛰어나다. 학자들은 자연스럽게 이곳에서 발길을 멈추게 되었다. 그 중 이서면 영평리, 야사리, 창랑리 등은 광주와 담양의 학자들과 교유하던 문장과 시문에 뛰어난 여러 인물들이 태어나거나 삶의 터전을 일궜던 곳이다.

[실학 마을로 이끈 무등산과 화순 적벽]

야사 마을 왼쪽, 화순군 이서면, 담양군 남면, 광주광역시의 경계에 위치한 무등산은 소백산맥의 줄기를 이루고 있다. 무등산에서 이어지는 만연산안양산을 따라 바라보면 화순군 이서면이 한눈에 들어온다.

무등산 자락으로 내려오면 전라남도 기념물 제60호로 지정된 화순 적벽이 화순군 이서면 장항리, 보산리, 창랑리 일대에 약 7㎞에 걸쳐 자리하고 있다.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 후 동복[화순 지역의 옛 지명]으로 유배되어 내려온 신재(新齋) 최산두(崔山斗)[1482~1536]가 이곳을 지나다 중국의 적벽에 버금가는 곳이라 하여 화순 적벽이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화순 적벽은 노루목 적벽, 보산 적벽, 창랑 적벽, 물염 적벽으로 나뉘는데, 이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노루목 적벽과 사선으로 길게 뻗은 물염 적벽의 경관이 아름다워, 김삿갓으로 유명한 김병연(金炳淵)[1807~1863]을 비롯해 많은 시인 묵객들이 거쳐 가면서 여러 편의 시가 지어졌다.

화순 적벽백아산에서 발원한 동복천이 항아리 모양의 옹성산을 휘감아 돌면서 만들어진 지형으로, 야사 마을을 사림 문화와 교류하였던 화순의 유학, 그리고 실학이 피어난 곳이다.

[정보제공]

  • •  정규철(남, 1942년생, 향토사학자)
  • •  하상래(남, 1946년생, 규남 하백원 선생 후손)
  • •  하성래(남, 1935년생, 규남 하백원 선생 후손)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