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전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0310
한자 慶全線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건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05년 5월 26일 - 경전선 삼랑진~마산 구간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3년 12월 1일 - 경전선 마산~진주 구간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0년 12월 20일 - 경전선 광주~여수 구간 개통
개관|개장 시기/일시 1968년 2월 7일 - 경전선 전구간 개통
성격 철도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을 거쳐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역에서 광주광역시 광주 송정역 사이에 부설된 철도.

[개설]

경전선은 우리나라의 남해안을 동서 방향으로 횡단하는 철도로, 경상남도와 전라남도를 연결한다. 총연장은 300.6㎞이다. 경전선의 부설 공사는 호남의 종관선부터 착수하였는데, 1936년 12월 송원~순천 구간이 준공됨으로써 전주~순천의 130여 ㎞가 개통되었다. 공사 일수는 5,100여 일이고 공사비 총액은 355만 1000원이었다. 각 공구의 공사는 순조롭게 진척되었는데, 농한기 이 외에는 인부의 충원이 여의치 않아 애를 먹기도 하였다.

궤도부설공사는 1931년 10월 전주~남원 구간을 제1차로 개업하고, 역사·관사·통신 등의 설비를 차례로 시공하였다. 또 금지~담양 구간은 1939년 11월 노반 공사에 착수하였다. 진주~순천 구간도 계속 공사를 추진하였으나 아시아·태평양 전쟁의 전세가 불리하게 전개되자 일제는 경전선의 부설 공사를 중단하였고 해방 때까지 경전선은 완공되지 못했다.

[변천]

경전선의 시작은 1905년 5월 25일 경부선 개통 이튿날인 26일에 개통한 삼랑진~마산 구간에서 부터이다. 이어 조선 철도 주식회사의 사설철도(私設鐵道)인 마산~진주 간 70㎞가 1923년 12월 1일에 개통되었고, 1931년 4월 1일 국유철도에서 경남선을 사들여 경전남부선으로 바꾸었다. 1923년 7월 1일 조선 철도 주식회사의 전신인 남조선 철도 주식회사가 호남선 송정리에서 분기하여 광주까지 14.9㎞를 개통시켰다. 이로부터 7년 뒤, 1930년 12월 20일에 광주~여수 간 155.5㎞의 사설 철도가 개통되었다.

이로써 호남 지방을 동·서로 횡단하는 철도가 완성되었으며, 1936년 3월 국유 철도에서 사들여 경전서부선이라 개명하고, 송정리~여수 간을 송여선[광주선]이라 하였다. 1956년 6월 14일 다시 경전남부선을 진주선, 경전서부선을 광주선이라 하였고, 진주와 순천을 잇는 철도의 건설은 지방 주민의 오랜 숙원으로 남게 되었다.

그 후 1964년 4월 28일 진주~순천 간의 철도공사가 착수되어 경상남도 하동에서 기공식을 올렸다. 1968년 2월 7일 약 4년간의 공사 끝에 순천~진주 간 80.5㎞가 개통됨으로써 경전선이 완성되었다. 경상도와 전라도를 연결한 철도라는 뜻에서 두 도의 머리글자를 따서 경전선이라 명명하였다. 경전선의 개통으로 영남·호남의 유동이 원활해졌고 교통난이 해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남해안의 경제 개발도 크게 촉진될 수 있었다.

경부선과 호남선을 잇는 순환 철도망이 완성되었다는 점에서도 역사적인 의의를 가진다. 또한 경전선은 남해 고속도로 및 88올림픽 고속도로와 함께 영남과 호남을 잇는 간선 교통로로서 우리나라 남부 지방의 산업발전은 물론, 생활권의 확대와 새로운 문화권의 형성에 큰 역할을 하였다.

[구성]

경전선의 총길이는 300.6㎞이다. 삼랑진~마산 사이를 잇는 마산선(馬山線), 마산~진주 사이를 잇는 진주선(晋州線), 광주송정~광주 사이를 잇는 광주선(光州線) 및 진주~순천을 잇는 경전선 등이 합해진 철도로, 경상도와 전라도를 연결한 철도라는 뜻에서 두 도의 첫 글자를 따서 경전선이라 하였다. 삼랑진~마산 구간은 1905년 5월 26일, 마산~진주 구간은 1923년 12월 1일, 광주송정~순천 구간은 1922년 7월 1일, 진주~순천 구간은 1968년 2월 7일에 각각 개통하여 삼랑진~광주송정 간이 완전히 개통하였다.

2000년 8월 10일 효천~광주송정 구간의 철도를 이설하여 서광주역이 새로 생기고 효천~남광주~광주 구간이 폐선되었으며, 2006년 11월 1일부터 광주 반복 열차도 모두 폐지되었다. 2009년 기준 운행하는 역은 삼량진역에서 낙동강~한림정~진영~창원중앙~창원~마산~중리~산인~함안~군북~원북~평촌~진주수목원~반성~진성~갈촌~남문산~개양~진주~유수~완사~다솔사~북천~양보~횡천~하동~진상~옥곡~골약~광양~순천~원창~구룡~벌교~조성~예당~득량~보성~광곡~명봉~이양~능주~화순~남평~효천~서광주~동송정을 거쳐 광주 송정역까지이다.

삼량진역에서 경부선과, 낙동강역에서 미전선과, 창원역에서 진해선과, 광양역에서 광양 제철선과, 순천역에서 전라선과, 광주 송정역에서 호남선·호남 고속선·광주 도시 철도 1호선과 각각 접속한다. 이밖에 삼량진~진주 구간이 복선 전철화 공사가 진행되어 2010년 삼량진~마산 구간과 2012년 마산~진주 구간이 개통되고 경전선 노선을 이용하는 부전~마산 구간의 복선 전철 사업 또한 진행 중으로 2017년 개통된다.

경전선 중 화순군을 지나는 구간의 길이는 남평역과 화순역 구간 9.2㎞이다. 화순역에서 능주역 구간 8.9㎞, 능주역에서 이양역의 12.2㎞ 구간이다.

[현황]

경전선은 2009년 현재 총 연장 300.6㎞에 45개의 역을 두고 있다. 영남 지방과 호남 지방을 연결하는 유일한 철도이지만 기울기가 심하고 노선개량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고속 도로에 비해 수요가 매우 적다. 이에 따라 삼랑진~진주 구간에 대하여 단선 비전철의 기울기가 심한 노선을 복선 전철화 공사와 함께 대대적으로 선형을 개량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진주에서 광양까지는 복선화 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며 장기적으로 전철화 할 계획이다. 이는 진주에서 하동을 거쳐 광양에 이르는 구간을 개량하여 복선화하는 계획이다.

경전선은 삼랑진에서는 경부선, 창원에서는 진해선, 광양에서는 광양 제철선, 순천에서는 전라선, 동송정에서는 광주선, 광주 송정에서는 호남선 및 호남 고속철도와 각각 이어진다. 1일 운행 횟수는 상행선[삼랑진 행]과 하행선[광주 송정 행]을 각각 22회 운행하고 있다. 그러나 경전선 전 구간을 운행하는 여객 열차는 각 방향으로 2회에 불과하다. 경전선을 이용한 여객은 2008년에 171만 5975명이었으며, 화물수송량은 57만 3773톤에 달하였다. 화물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무연탄으로 41만 9616톤이며, 그 다음으로는 잡화, 건설 자재 등이다.

경전선은 남한 지역에서 유일한 동서 횡단선으로 목포·군산·여수·부산 등의 주요 항구를 내륙 연락로를 통해 연결한다. 영남과 호남의 풍부한 해산물을 내륙으로 수송하고 아울러 연선의 농·임·광산물을 개발하는 것이 이 철도에 부과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전선은 우리나라 가장 남단에 위치하여 동·서지역을 연결하고 있는 유일의 철도로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커다란 관심을 끌지 못했다. 남해 고속도로의 건설 이후 경전선의 경쟁력은 더욱 약화되고 그 역할마저 축소되었는데, 경전선이 통과하는 여러 도시들이 기능적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경전선 기능 또한 변화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경전선은 건설 후 초기단계에서 협궤를 표준궤로 개량하는 등 많은 시설개량이 추진되었으나 인력에 의존한 건설로 인해 시설 수준이 낮고 곡선 반경이 대부분 R=600m 이하이면서 단선이기 때문에 영남·호남 간의 간선철도망으로서 기능을 발휘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경전선을 개량하고 남해안축 철도망을 확충함으로써 영남·호남의 교류를 촉진하고 철도 수송의 효율성을 증대해야 한다. 또한 남해안 일대 공업 단지를 연결하고 관광 자원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장기적으로 전국 해안선 순환 철도망을 구축하기 위한 계획이 추진 중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