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주암댐 수몰 지구내 고인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0607
한자 住岩-水沒地區內-
이칭/별칭 주암댐 수몰지구내 지석묘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복교리 392-4|사수리 산15|절산리 433|절산리 433-1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이영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재지 주암댐 수몰 지구내 고인돌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복교리 392-4 지도보기|사수리 산15지도보기|절산리 433지도보기|절산리 433-1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주암댐 수몰 지구내 고인돌 출토 유물 소장처 - 국립 광주 박물관
성격 고인돌
양식 개석식|기반식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복교리·사수리·절산리에 있었던 주암댐 수몰 지구 내 청동기 시대 고인돌.

[개설]

주암본댐과 조정지[이사천댐]를 포함한 주암댐은 다목적댐으로 1984년 10월 기공하여 1989년에 완공 목표로 추진되었다. 이로 인해 수몰 지역은 전라남도 화순군, 전라남도 보성군, 전라남도 순천시[당시 승주군] 등 3개군에 9개면 49개리가 해당되었다. 이에 주암댐 수몰 지역과 그 주변 일대에 산재된 모든 문화 유적에 대한 지표 조사가 전남 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1985년 4월에서 12월까지 실시되었다. 그 결과 고인돌 1,589기[수몰 지역 792기], 유물 산포지 11개소, 선돌 27기 등 1,948건이 조사되었다.

고인돌 발굴은 1986년 194기, 1987년 154기 등 348기에 대해 2년에 걸쳐 총 14개 기관이 22개 팀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주암댐에 수몰되는 사평면에서 조사된 유적은 고인돌 141기, 유물 산포지 1개소, 선돌 10기가 확인되었으며, 수몰되는 고인돌은 81기이다.

화순 지역 고인돌 발굴은 사평면 복교리 복교 8기[한국 교원 대학교], 사평면 사수리 대전 13기[충북 대학교], 사평면 절산리 장선 8기[한양 대학교] 등 3개 기관에서 고인돌 29기가 1987년 6월부터 9월까지 발굴 조사되었다.

[위치]

주암댐 수몰로 발굴된 고인돌은 사평면 복교리 복교, 사수리 대전, 절산리 장선 등 3곳에서 실시되었다. 이곳은 보성강 본류와 합류하는 동복천 지역이다. 복교리 복교 고인돌은 마을 입구에서 벌교 쪽의 산기슭 경사면에 위치하며, 복교리 392-4번지이다. 사수리 대전 고인돌은 마을 뒷 구릉상으로 사수리 대전 마을 산 15번지이다. 절산리 장선 고인돌동복천과 사평천이 합류하는 삼각 지형의 충적 평지로 절산리 장선 433번지와 433-1번지이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다목적댐으로 조성된 주암댐으로 인해 수몰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가 1984년에 전남 대학교 박물관에 실시되었고, 이를 근거로 전국의 대학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연합 발굴팀을 구성하여 1986년부터 1989년까지 연차적으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화순 지역에서 수몰되는 고인돌은 지표 조사된 141기 중 81기였지만, 발굴은 복교리 복교 8기, 사수리 대전 13기, 절산리 장선 8기 등 고인돌 29기만 1987년 6월부터 9월까지 발굴 조사되었다. 사수리 대전에서 31기가 조사되어 발굴된 고인돌은 모두 47기이다.

[형태]

주암댐 수몰 지역 내의 고인돌 형태는 규모가 큰 고인돌은 받침돌이 있는 기반식 고인돌이며, 대부분은 개석식 고인돌이다. 복교리 복교 고인돌에서는 받침돌 10여 개 이상을 덮개돌 밑에 돌려 위석식 고인돌도 확인되었다.

무덤방은 주로 동복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냇돌을 이용해 쌓은 석곽형[돌덧널형]이 대부분이다. 무덤방 주위에 납작한 돌을 한겹 깔거나 냇돌을 배치한 묘역 시설도 있고, 바닥에는 납작한 냇돌을 부분적으로 깐 것, 잔자갈을 전면에 깐 것 등이 있다.

[출토 유물]

출토 유물은 많은 편은 아니지만 간돌검, 간돌화살촉, 대롱옥 등 부장 유물이 발견되며, 무덤방 주변에서는 돌도끼, 돌칼, 숫돌 등 일상 생활에 쓰였던 석기들이 발견되었다.

[현황]

발굴된 3곳 중 절산리 장선 고인돌만 발굴 지역에 남아 있고, 두 곳은 수몰되어 현재 실견할 수 없다.

[의의와 평가]

주암댐 지역은 우리나라 고인돌 발굴사에 남을 만한 조사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고인돌의 형식이나 무덤방 등 다양한 하부 구조, 화려하고 다량의 부장 유물은 고인돌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이에 비해 화순 지역의 고인돌은 하부 구조나 부장 유물에서 매우 빈약한 편이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10.12 현행화 남면→사평면
이용자 의견
윤** 2020년 1월 1일부터 남면에서 사평면으로 변경 되었습니다. 수정해주세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정 완료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24
심**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복교리 392-4|사수리 산15|절산리 433|절산리 433-1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복교리 392-4|사수리 산15|절산리 433|절산리 433-1
2020년 1월 1일 남면에서 사평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따라 내용수정을 완료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06
황** 住岩-水沒地區內- → 住岩-水沒地區內支石墓

한자명 수정해주세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목명은 한자와 한글을 1대1로 일치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기하신 의견은 수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06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