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유마리 유마 당산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843
한자 維摩里維摩堂山祭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유마리 유마 마을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마을 공동 제의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14일
신당/신체 느티나무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유마리 유마 마을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지냈던 마을 공동 제의.

[개설]

화순군 사평면 유마리 유마 마을에서는 마을 공동의 제의를 ‘당산제’라 하여 음력 정월 14일 밤에 당산 할머니 앞에서 유교식 제차에 따라 지냈다.

[연원 및 변천]

당산제를 언제부터 지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당산제는 원래 당산 할아버지에게 먼저 올리고 나서 당산 할머니에게 올렸으나 당산 할아버지 신체(神體)가 마을 옆 대밭에 있어서 가는 길이 험하고 청소도 어려워 1998년에 신체 주변을 깨끗이 청소하고 쌀을 담아 놓은 후 “당산할머니께 가십시다.”라고 한 후 당산 할머니와 합하여 제를 지냈다고 한다.

[신당/신체의 형태]

당산제를 지내는 곳은 마을 입구에 있는 당산 할머니이며 신체는 느티나무이다.

[절차]

제를 지내기 3일전부터 금줄을 치고 금토를 뿌려 놓아 잡인의 출입을 금했다. 제관은 제를 올리기 일주일 전에 마을 회의에서 선출했는데 화주가 제관까지 겸하였다. 화주는 산고나 상을 당하지 않은 생기 복덕에 맞는 사람으로 선출했으며, 제를 올리기 전까지 부정한 곳에 가지 않았고 대소변을 보면 반드시 목욕을 하는 등 정성을 다했다. 제비는 원래 ‘화주돈’이라 하여 인구전((人口錢)으로 갹출하였으나 이후 마을 기금으로 충당하였다. 제물은 떡, 과일, 산채, 포, 조기, 병치, 전어, 꼬막 등을 준비하며 간을 보지 않았다.

제를 지내는 순서는 진설 → 초헌 → 구축 → 소지 순으로 간략하게 올렸는데 소지는 제에 참석한 사람 모두 올렸다. 제를 지내는 동안 매구굿을 할 사람이 없기 때문에 매구굿은 하지 않았다. 이렇게 제를 올린 후 대보름날 다시 모여 제를 올리고 난 음식을 조리하여 주민들이 나누어 먹었다.

[축문]

축문이 없어 제관이 구두로 “당산 할머니, 금년에도 모든 일에 액이 없이 복을 가져다주시고, 농사도 잘 되게 하여 주시고, 아무 재앙도 없게 해 주십시오.”라고 비는 것으로 대신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10.13 내용수정 "남면 → 사평면"으로 수정
이용자 의견
윤** 2020년 1월 1일부터 남면에서 사평면으로 변경 되었습니다. 수정해주세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따라 내용수정을 완료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2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