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848
이칭/별칭 성주님네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집필자 서해숙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집을 지키고 보호하는 가신(家神).

[개설]

성주는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를 할 때 제일 먼저 맞아들이는 신이므로 집이 있으면 모두가 모시는 신격(神格)이다. 또한 성주는 집안의 가장과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집의 주인이 바뀌면 성주도 새로 모시게 된다. 그래서 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가면 살림 도구가 집안으로 들어오기 전에 제일 먼저 안방 윗목에 성주상을 차리거나 성주 동우[성주 단지]를 모시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된다.

[내용]

화순군의 가정 신앙 중 성주는 비교적 강하게 전승된다. 성주는 신체(神體) 없이 건궁성주로 모시는데 주로 안방 윗목이나 말래[마루] 안쪽에 음식을 차려 놓는다. 그리고 성주는 매년 정기적으로 , 보름, 추석 같은 명절과 집안 제사나 가족의 생일 때 모신다.

[현황]

화순군 동면 천덕리화순군 도암면 운월리에서는 정기적으로 매년 명절 때와 가족의 생일 때 가장 먼저 성주상을 차린다. 성주는 밥 한 그릇, 국 한 그릇, 물 한 그릇, 나물, 떡, 그 외에 준비한 음식을 조금씩 차려놓는다. 성주상을 차릴 때는 먼저 목욕재계하고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는다. 제사 때는 조상상 보다 성주상을 먼저 차리는데 안방 윗목 중앙의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상 왼편에 제사상보다 작은 성주상을 놓는다. 제사를 지낸 뒤의 축문은 성주에 올린 정화수 위에 사르고 정화수는 깨끗한 장독대나 나무 밑에 붓는다. , 보름, 추석 같은 명절에 차리는 성주상은 전승자마다 절차와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자식이 삼형제인 집안에서는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 성주상을 차리면서 더불어 온시루 밥 세 그릇, 물 세 그릇, 그리고 쌀을 담은 그릇에 촛불 세 개를 켜놓는다. 촛불이 모두 잘 타면 그해 자식들 하는 일이 잘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잘 타지 않으면 불길하게 여긴다.

화순군 이양면에서는 지금은 하지 않으나 예전에는 백중 때에도 성주상을 차려놓았다. 백중날 새벽에 성주상에 올린 음식을 한지에 조금씩 담아 가까운 자기네 밭에 묻는다. ‘정재 초랑이가 백중날 밭에 가면 곡식 말린다.’고 하여 백중날에는 여자들을 밭에 못 나가게 하는 금기가 있어 주로 집안 남자들이 묻는다. 성주상에 올린 음식을 밭에 묻는 행위는 그해 곡식이 풍성하기를 바라고 풍년을 기원하는 세시 의례라 할 수 있다.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서 생일 때 올리는 성주상에는 팥 시루떡, 밥, 미역국, 나물을 차려 놓고 촛불을 켜놓는다. 특히 자식의 생일 때는 성주상을 차리면서 올해 일 년 동안 재수가 좋고 탈 없기를 비손한다. 그러나 자식들이 장성하여 결혼하면 며느리에게 맡기고 집에서는 따로 성주상을 차리지 않는다.

새집으로 이사할 경우 제일 먼저 성주를 모시는데, 안방 윗목에 상을 차려 성주에게 알린다. 그리고 새로 집을 지을 경우 ‘상량 탄다.’ 하여 집 주인이나 그 밖의 사람들이 상량을 건너간다. 그리고 상량 올리기 전 광목 한 필을 사서 상량 양 쪽에 묶어 올려서 그네를 타기도 한다. 상량을 탈 때는 집안의 어른이 제일 먼저 탄다. 그리고 상량을 올릴 때 부적을 붙이거나 글씨를 적은 한지를 붙이기도 한다. 이러한 상량 타기는 성주를 모시는 신앙 행위의 하나로 파악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