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세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860
한자 世尊
이칭/별칭 시조,시주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집필자 한미옥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가정의 평안을 지켜준다고 믿는 신격.

[개설]

가정의 운명과 행운, 자손의 수명 등을 관장하고 집안의 대소사를 주관한다고 믿어지는 신격을 세존이라고 한다. 지역에 따라 제석이라고도 부르는데, 화순군에서는 세존 주머니라고 부른다.

[내용]

길쌈할 때 처음 짠 베를 ‘가슴배기’ 또는 ‘첫 가슴내기’라 하는데, 그 베의 귀를 접어 사각형으로 떼어내어 세존 주머니를 만든다. 그리고 주머니 안에 쌀을 넣어 큰 방 들어가는 문 안쪽 위에 걸어두고 ‘시조’ 혹은 ‘시주’라고도 부른다. 주머니는 보통 손바닥만 한 크기로 안방 문지방 위에 걸어둔다는 점에서 안방의 구석 시렁 위에 얹어놓은 조상 단지와는 다르다. 이나 추석 때 세존 주머니 밑에 명절 음식 그대로 조금씩 장만하여 상을 차려 놓는다. 제사 때는 상을 차리지 않는다. 주머니 안의 쌀은 깨끗하고 좋은 날을 받아 갈아주며, 그 쌀로는 밥을 지어 타인에게는 주지 않고 식구들끼리만 먹는다. 현재 세존 주머니를 다는 풍습은 전국적으로 거의 사라져가고 있는 풍습의 하나로 화순군에서도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풍습이다.

[현황 및 사례]

화순군에서 세존 주머니 풍습은 거의 사라지고 없다. 다만 현존하는 풍습은 아닐지라도 주민들의 기억 속에 상당히 구체적으로 남아있어 그 실체를 확인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과거의 기억을 통해 세존의 구체적인 양상과 의례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화순군 도암면 운월리에서는 세존 주머니 안의 쌀을 그해 농사를 지은 햇곡식으로 매년 갈아준다. 주머니 안의 쌀을 갈아줄 무렵 궂은 일이 생기거나 깨끗하지 못하면 갈지 않는다. 간혹 주머니 안의 쌀에 좀이 슬면 그 쌀은 닭에게 주었다고 한다.

화순군 청풍면 대비리에서는 세존 주머니를 ‘시준’이라고 부르며, 큰방 들어가는 문 안쪽에 걸어두었다. 예전에는 바가지도 같이 걸어두었으나 지금은 주머니만 건다. 주머니의 쌀은 그해 농사를 지으면 깨끗한 날을 받아 햇곡식으로 갈아주며, 갈아주기 전의 쌀은 식구들끼리만 먹는다. 명절 때는 주머니가 있는 아래쪽에 음식을 차려놓지만 생일 때나 제사 때는 음식을 차리지 않는다. 쌀을 갈 때는 손 없는 날을 봐서 갈아주지만 초상이 나거나 집안 식구 가운데 아이를 낳으면 갈지 않는다. 갈기 전의 쌀은 밥을 해서 먹는데 그 양은 집안 식구 내외가 먹을 정도이며, 남이나 짐승에게는 주지 않는다. 주머니 베는 매년 갈아주지 않고 한 번 쓰던 베를 계속해서 쓰며, 더러우면 깨끗하게 빨아서 다시 쓴다. 원래는 쌀을 갈면서 베도 갈아주지만 지금은 베를 짜지 않기 때문에 계속해서 쓰고 있다.

화순군 청풍면 차리 하촌 마을대비리 대비동 마을에서는 세존을 ‘시주’라고 하며, 베주머니 2개에 쌀 1되를 넣고 잘 싸서 방문턱 위에 달아 놓는다. 주머니에 담긴 쌀은 가을에 올벼심리를 할 때 한 번씩 갈아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