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0810
한자 淸道三足臺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청려로 3836-15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윤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19년연표보기 - 청도 삼족대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87년 5월 13일연표보기 - 청도 삼족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89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3년 4월 8일연표보기 - 청도 삼족대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1호로 승격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청도 삼족대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청도 삼족대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청려로 3836-15지도보기
성격 건물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금곡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별장.

[개설]

청도 삼족대(淸道 三足臺)김대유(金大有)[1479∼1552]가 관직을 그만두고 우연(愚淵)이 있는 운문산 아래 별장을 지어 살았던 곳이다. 김대유의 본관은 김해이고 제학 김준손의 아들이며,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조카이기도 하다. 김대유의 자호(自號)를 삼족당(三足堂)이라 하였는데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면서 벼슬도 현감을 지냈으니 벼슬로도 만족하고, 항상 밥상에 반찬이 부족하지 않으니 먹는 것도 만족하고, 나이도 환갑을 넘겼으니 수명(壽命)도 만족한다 하여 삼족(三足)이라고 이름 지었다. 삼족대김대유의 장구지소(杖屨之所)이며, 만년에 생활을 하던 곳으로, 1987년 5월 13일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89호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1호로 승격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위치]

매전면사무소에서 금곡리 방향으로 국도 20호선을 따라 1.2㎞ 정도 가면 동창천(東倉川) 우연(愚淵)의 언덕 위에 있다.

[변천]

김대유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07년(중종 2) 현량과의 정시에 장원급제하여 진사가 되고 1519년(중종 14)에 현량과의 병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 호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에 이어 정언, 칠원 현감을 지냈다. 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모든 직을 사임하고 향리(鄕里)에 은거하면서 후진들의 교학과 휼민 사업에 힘쓰게 되었는데, 이때 강정(講亭)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삼족대를 건립하였다.

[형태]

청도 삼족대학일산의 지맥이 동창천으로 숙으러드는 등성이에 동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북쪽 평지 위에서 가파른 언덕길을 올라 방형의 담 안에 토석의 담장을 두르고, 동북쪽 사주문을 달았다. 삼족대는 토석 담장 안에 배치되어 있는데 담장의 서북 모퉁이에도 사주문을 달아서 출입을 하고 있다.

삼족대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로, 북쪽 2칸은 통으로 된 방이며, 반 칸 정도는 전퇴를 물려 마루를 놓았다. 남쪽에 있는 전면 1칸 앞뒤로 두 칸은 통마루로 되어 있다. 마루의 남쪽 면과 뒷면에는 두 쪽으로 열수 있는 판문을 내었고 온돌방 앞쪽에는 양쪽으로 열수 있는 두 개의 문으로 만들어져 있다. 마루에서 방으로 들어가는 문은 일반 양반집의 문처럼 두 짝의 열 개 팔모 불발기가 있는 살문을 달았다. 구조를 보면 네모진 자연석에다 초석(礎石)을 놓고 건물의 바깥 기둥은 모두 두리기둥을 세웠다.

청도 삼족대에서 보면 바로 아래 남쪽에 한단 낮은 대지 위에 삼족대의 관리사로서 방 2칸과 부엌과 방앗간이 ‘ㄱ’자로 배열된 하당(下堂)이 있었으며, 지금은 그 자리에 삼족당의 신도비가 서 있다. 삼족대 언덕 아래 벼랑에는 물에 뜬 강정(江亭)도 있었다고 전하나,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수가 없다.

[현황]

옛 별장 모습을 볼 수 있는 청도 삼족대는 한옥 건축가들이나 별장 연구가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조선 초기에 만들어졌으나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허물어졌다 다시 세워지를 여러 번 하였다가 김대유의 13대손 김용희에 의해 새롭게 단장된 건물이다. 지금은 언덕 아래 청도군에서 6각 정자를 지어 놓았다.

[의의와 평가]

삼족당 김대유가 후학들을 지도하며, 만년을 보냈던 곳이다. 남명 조식을 비롯하여 율곡 이이 등 많은 명사들과 시인 묵객이 찾아들었으며, 현재는 별장의 터와 별장의 모습 연구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