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191 |
---|---|
한자 | 辰泉川 |
영어공식명칭 | Jincheoncheon |
이칭/별칭 | 미리샘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서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한승희 |
전구간 | 진천천 - 대구광역시 |
---|---|
해당 지역 소재지 | 진천천 -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상인동|유천동![]() |
성격 | 하천 |
면적 | 74.71㎢[유역면적] |
길이 | 6.3㎞[하천 연장]|10.2㎞[유로연장] |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에서 시작하여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 낙동강으로 흐르는 지방하천.
진천천(辰泉川)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에서 발원하여 달서구 상인동, 달서구 유천동,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를 거쳐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에서 낙동강에 합류하는 지방하천이며, 낙동강의 제1지류이다. 하천 수계는 본류인 진천천과 지류인 대명천으로 구성된다.
700년 전 500세대가 살고 있다 하여 ‘오백’이라 부르다가 다섯가지 복이라는 뜻으로 오복촌이 되었다. 수심 1m 이상의 수량이 풍부한 텃샘이 있었는데 샘둑에서 큰 기둥만한 향나무 뿌리가 발견되어 ‘미리샘’이라 부르게 되었다. ‘진천’은 미리샘의 한자 번역이다.
진천천의 하천 연장은 6.3㎞, 유로연장 10.2㎞, 유역면적 74.71㎢이다. 하상경사는 1/160~1/214이다. 하천유역의 모양은 동서로 걸친 방사상으로 북서쪽으로 흘러 낙동강과 합류한다. 하구부에는 화원유원지와 성서공단이 있으며 지질특성은 신생대 제4기 충적층으로 역암, 사암, 점토로 구성되어 있다.
진천천에는 주민들의 편의시설로 체육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하천에 물이 마르지 않고 충분한 유량을 확보하여 깨끗한 환경으로 조성하였고, 백로와 오리들을 종종 볼 수 있다. 봄부터 여름까지 금계국이 장관을 이룬다. 운동기구와 파크골프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명물인 징검다리가 있다. 2021년 현재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수달이 진천천에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