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226 |
---|---|
한자 | 玉山全氏 |
영어공식명칭 | Oksan Jeon Clan |
이칭/별칭 | 경산전씨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세욱 |
입향조 생년 시기/일시 | 1345년 - 전백영 출생 |
---|---|
입향조 몰년 시기/일시 | 1412년 - 전백영 사망 |
본관 | 옥산 - 경상북도 경산시 |
입향지 | 파동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 |
세거|집성지 | 파동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 |
성씨 시조 | 전섭 |
입향 시조 | 전백영 |
전섭을 시조로 하고 전영령을 입향조로 하는 대구광역시의 세거 성씨.
옥산전씨(玉山全氏)의 시조는 전섭(全聶)이다. 전섭은 기원전 18년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인 온조(溫祚)가 백제를 건국할 때 마려(馬藜)·오간(烏干)·한세기(韓世奇)·곽충(郭忠)·범창(笵昌)·조성(趙成) 등과 함께 공을 세워 백제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녹훈되고 환성군(歡城君)에 책봉되었다. 이후 전섭의 27세손인 전영령이 고려 때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으로 나라에 공을 세워 옥산군(玉山君)에 책봉되면서 후손들이 정선전씨(旌善全氏)에서 분적하여 옥산[현 경상북도 경산시]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옥산전씨는 전영령의 7세손 전백영(全伯英)[1345~1412]이 수성구 파동으로 이주하여 정착하면서 대구 지역에서 대를 이어 세거하게 되었다. 전백영은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하여 출사하였으며, 조선 초 경상도관찰사, 경기도관찰사,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5년 현재 옥산전씨와 경산전씨는 3만 7036명으로 조사되었다.
대구 지역 옥천전씨 관련 유적으로는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에 입향조 전백영을 제향하는 박곡서당(樸谷書堂)이 있다. 또한 수성구 파동에 대구 지역의 유학 1세대라고 할 수 있는 계동(溪東) 전경창(全慶昌)[1532~1585]을 제향하는 무동재(武洞齋)가 있다. 무동재는 1900년에 창건되고 1987년에 중건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