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269 |
---|---|
한자 | 杜師忠 |
영어공식명칭 | Du Sachung |
이칭/별칭 | 연재(蓮齋),모명(慕明)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세욱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두사충 명나라 원군으로 임진왜란 참전 |
---|---|
활동 시기/일시 | 1597년 - 두사충 명나라 원군으로 정유재란 참전 |
거주|이주지 | 달구현 - 대구광역시 |
묘소|단소 | 두사충 묘소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525길 14-21[만촌동 715-1]![]() |
성격 | 무관 |
성별 | 남성 |
본관 | 두릉(杜陵) |
조선 후기 귀화하여 대구에 정착한 명나라 무관.
두사충(杜師忠)[?~?]의 본관은 두릉(杜陵)이며, 호는 원래 연재(蓮齋)였으나 조선에 귀화한 후 명나라를 기린다는 의미로 모명(慕明)으로 바꾸었다. 아버지는 기주자사(冀州刺史)를 지낸 두교림(杜喬林)이고, 아들은 두산(杜山)·두일건(杜逸建)이다.
두사충은 1592년(선조 25) 12월 명나라 원군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이여송(李如松) 휘하의 수륙지획주사(水陸指劃主事)로 병영과 진터를 구축하는 임무를 맡았다. 벽제관(碧蹄館) 전투에서 패배한 뒤 참수형을 당할 처지에 놓였지만 좌찬성이던 약포(藥圃) 정탁(鄭琢)의 적극적인 구명으로 면죄부를 받고 본국으로 돌아갔다.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두사충은 유정(劉綎)을 따라 다시 원병으로 조선에 참전하였다. 이순신(李舜臣)[1545~1598]과 함께 노량해전에 출정하기도 하는 등 당시 문·무신들과의 교유가 각별하였다. 전란이 끝난 후 두 아들과 함께 조선에 귀화하여 달구현[현 대구광역시]에 정착하였다. 조정에서 현 경상감영공원 일대의 땅을 하사하였으나, 1601년 경상감영이 이전하여 오면서 지금의 수성구 지역으로 이거하였다.
두사충의 저술로는 『모명유결(慕明遺訣)』이 있다. 두사충이 전국을 돌아다니며 풍수지리에 관한 경험과 지식을 정리한 책으로, 정탁의 집안에서 전해 오던 것을 영인하여 1971년 출간되었다.
두사충의 묘소는 수성구 달구벌대로525길 14-21[만촌동 715-1]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