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31048 |
---|---|
영어공식명칭 | Gochang Village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병렬 |
간행 시기/일시 | 2009년 - 『고창의 마을』1집 발간 |
---|---|
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고창의 마을』2집 발간 |
간행 시기/일시 | 2011년 - 『고창의 마을』3집 발간 |
간행 시기/일시 | 2012년 - 『고창의 마을』4집 발간 |
간행 시기/일시 | 2013년 - 『고창의 마을』5집 발간 |
간행 시기/일시 | 2014년 - 『고창의 마을』6집 발간 |
간행 시기/일시 | 2015년 - 『고창의 마을』7집 발간 |
간행 시기/일시 | 2016년 - 『고창의 마을』8집 발간 |
간행 시기/일시 | 2017년 - 『고창의 마을』9집 발간 |
간행 시기/일시 | 2018년 - 『고창의 마을』10집 발간 |
간행 시기/일시 | 2019년 - 『고창의 마을』11집 발간 |
간행처 | 고창문화연구회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
성격 | 마을지 |
저자 | 고창문화연구회 |
간행자 | 백원철 |
표제 | 고창의 마을 |
[정의]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2009년부터 매년 발행되는 마을지.
[개설]
고창문화연구회에서 2009년부터 매년 고창군의 14개 읍면 중 한두 곳의 법정리를 선정하고 마을의 역사와 지명, 생활, 산업, 인물들을 조사하여 『고창의 마을』이라는 이름으로 간행하고 있다.
[편찬/간행 경위]
세계화·지방화 시대 고창군의 역사와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의 문화 인프라 구축과 경험 축적 및 연구 인력을 양성하며, 고창의 급속한 노령화로 인한 자료의 소멸과 단절의 우려에 따른 계승의 필요성에 따라 고창문화연구회에서 편찬, 간행하고 있다.
[서지적 상황]
『고창의 마을』은 2009년 1집을 시작으로 2019년 11집까지 11권이 발간되었다.
[형태]
각 사륙배판으로 가로 188㎜, 세로 258㎜이며, 분량은 400~500쪽 이내이다.
[구성/내용]
『고창의 마을』은 2009년~2019년까지 11집이 발간되었다. 『고창의 마을』 1집부터 11집까지 조사, 수록된 마을은 다음과 같다.
제1집은 공음면 선동리, 부안면 용산리, 상하면 용정리, 성내면 덕산리, 성송면 하고리, 신림면 무림리, 심원면 월산리 사등, 아산면 계산리, 해리면 사반리, 흥덕면 송암리와 ‘고창의 산’ 등이 실렸다.
제2집은 고창읍 도산리와 죽림리, 고수면 은사리, 공음면 용수리, 대산면 상금리, 무장면 성내리, 부안면 선운리, 상하면 검산리, 성내면 칠성리, 성송면 사내리, 신림면 외화리 환산, 심원면 월산리, 아산면 반암리, 해리면 송산리, 흥덕면 사포리 등이다.
제3집은 고창읍 월곡리, 고수면 황산리, 공음면 칠암리, 대산면 성남리, 무장면 교흥리, 부안면 사창리, 성내면 동산리, 성송면 암치리, 신림면 도림리, 심원면 고전리, 아산면 삼인리, 해리면 나성리와 용반리, 흥덕면 사천리 등이다.
제4집은 고창읍 교촌리, 고수면 장두리, 공음면 군유리, 대산면 갈마리, 무장면 무장리, 부안면 오산리, 상하면 하장리, 성내면 양계리, 성송면 무송리, 신림면 법지리, 심원면 하전리, 아산면 상갑리, 해리면 금평리, 흥덕면 흥덕리 등이다.
제5집은 고창읍 덕정리, 고수면 부곡리, 공음면 예전리, 대산면 춘산리, 무장면 옥산리, 부안면 상암리, 상하면 장호리, 성내면 월산리, 성송면 괴치리, 신림면 벽송리, 심원면 월산리, 아산면 중월리, 해리면 하련리, 흥덕면 용반리 등이다.
제6집은 고창읍 월산리와 월암리, 고수면 상평리, 공음면 석교리, 대산면 광대리, 무장면 도곡리, 부안면 봉암리, 상하면 자룡리, 성내면 월성리, 성송면 낙양리, 신림면 가평리, 심원면 도천리, 아산면 용계리, 해리면 안산리, 흥덕면 교운리 등이다.
제7집 고창읍 주곡리와 노동리, 고수면 평지리, 공음면 구암리, 대산면 율촌리, 무장면 송현리, 부안면 검산리, 상하면 송곡리, 성내면 용교리, 성송면 산수리, 신림면 반룡리, 심원면 연화리, 아산면 목동리, 해리면 고성리, 흥덕면 후포리 등이다.
제8집은 고창읍 율계리와 호동리, 고수면 예지리, 공음면 덕암리, 대산면 대장리, 무장면 목우리, 부안면 송현리, 상하면 석남리, 성내면 조동리, 성송면 판정리, 신림면 자포리, 심원면 용기리, 아산면 성산리, 해리면 동호리, 흥덕면 치룡리 등이다.
제9집은 고창읍 신월리, 고수면 와촌리, 공음면 두암리, 대산면 산정리, 무장면 백양리, 부안면 수동리, 상하면 용대리, 성내면 산림리, 성송면 학천리, 신림면 송용리, 심원면 궁산리, 아산면 대동리, 해리면 방축리, 흥덕면 석교리 등이다.
제10집은 고창읍 내동리와 성두리, 고수면 남산리, 공음면 장곡리, 무장면 강남리, 부안면 수남리, 상하면 장산리, 성내면 옥제리, 성송면 계당리, 신림면 세곡리, 심원면 주산리, 아산면 구암리, 해리면 평지리, 흥덕면 석우리 등이다.
제11집은 고창읍 읍내리, 고수면 초내리, 공음면 건동리, 대산면 지석리, 무장면 신촌리, 부안면 수앙리, 성내면 부덕리, 성송면 향산리, 신림면 신평리, 심원면 두어리, 아산면 봉덕리, 해리면 왕촌리, 흥덕면 신덕리와 ‘고창의 산수계’ 등이 실렸다.
[의의와 평가]
『고창의 마을』은 고창군의 각 읍면별 법정리 단위로 마을의 유래와 자연환경, 역사와 문화, 유물과 유적 그리고 마을 생활사를 수록하고 있어 고창군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