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909 |
---|---|
한자 | 梁山璹 |
영어공식명칭 | Yang Sansuk |
이칭/별칭 | 회원(會元)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이바른 |
출생 시기/일시 | 1561년![]() |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양산숙 공조좌랑 제수 |
몰년 시기/일시 | 1593년![]() |
추모 시기/일시 | 1631년 - 양산숙 좌승지(左承旨) 추증 |
출생지 | 박산리(朴山里) -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 박산마을
![]() |
묘소|단소 | 양송천묘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 산32-9
![]() |
사당|배향지 | 창렬사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본성동 415] |
사당|배향지 | 정렬사 - 전라남도 나주시 정렬사길 43[대호동 646-1] |
사당|배향지 | 양씨삼강문 -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 산131-5
![]() |
성격 | 의병 |
성별 | 남 |
본관 | 제주(濟州) |
대표 관직|경력 | 의병장|공조좌랑 |
조선시대 전라도 광주 출신의 의병장.
양산숙(梁山璹)[1561~1593]의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회원(會元)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양이하(梁以河)이며, 할아버지는 양팽손(梁彭孫)이다. 아버지는 대사성 양응정(梁應鼎)이고, 어머니는 판관(判官) 박중윤(朴仲允)의 딸 죽산박씨(竹山朴氏)이고, 형은 양산룡(梁山龍)이며, 부인은 교수(敎授) 이의정(李義貞)의 딸 광산이씨(光山李氏)이다.
양산숙은 1561년(명종 16) 나주(羅州) 박산리(朴山里)[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에서 태어났다.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천문·지리·병학에도 능통하였다. 1589년(선조 22) 12월에 조헌(趙憲), 김광운(金光運) 등과 함께 당시 집정자들을 비판하는 소를 올렸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양산룡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김천일(金千鎰)을 맹주로 추대하여 병사와 군량을 모으고 격문을 돌려 의병을 촉구하였다. 7월 김천일과 함께 의주의 행재소로 가서 선조에게 호남·영남의 소식과 의병의 활동 상황을 자세히 아뢰었으며, 그 공으로 공조좌랑(工曹佐郎)을 제수받았다.
1593년(선조 26) 왜군이 영남으로 퇴각하자, 김천일 및 여러 의병들과 함께 왜군의 뒤를 쫓아 진주성에 들어갔으나 왜군에 의해 진주가 포위되고 격전 끝에 진주성이 함락되자 김천일 등과 함께 진주 남강에 투신하여 순절하였다.
양산숙의 묘소는 아버지 송천공(松川公) 양응정의 묘 아래에 장사 지냈다고 한다. 이곳은 ‘양송천묘역’으로 1978년 9월 22일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에 있다. 묘역에는 유림들이 세운 묘비와 석물이 있으며, 양응정, 양산숙, 양만용(梁曼容)의 3대 묘가 있다.
양산숙은 경상남도 진주시의 창렬사(彰烈祠)와 전라남도 나주시의 정렬사(旌烈祠)에 배향되었고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1631년(인조 9)에 좌승지(左承旨)로 추증되었으며 정려받았다. 또한, 정유재란 때 죽은 양씨 일가를 기린 양씨삼강문(梁氏三綱門)에도 모셔져 있는데, 양씨삼강문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에 있는 정문으로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