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014 |
---|---|
한자 | 光州-女子高等學校小講堂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백서로 13[양림동 242]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안선호 |
건립 시기/일시 | 1928년![]()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1년 7월 22일![]() |
현 소재지 |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소강당 -
광주광역시 남구 백서로 13[양림동 242]![]() |
성격 | 강당 |
양식 | 벽돌조 건물 |
소유자 | 학교법인 호남기독학원 |
관리자 | 학교법인 호남기독학원 |
문화재 지정 번호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7호 |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에 있는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의 소강당.
1928년 수피아여학교가 지정 학교로 인가받기 위해 지은 체육관이다. 지금은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에서 소강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1년 7월 22일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7호로 지정되었다.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교정 안에 있다. 주변에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수피아 홀,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커티스 메모리얼 홀,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윈스브로우 홀 등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여러 건물이 있다.
1928년 수피아여학교의 체육관으로 건립되어 농구, 체조, 무용 등 예체능 활동뿐만 아니라 예배를 드리는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1944년~1945년에는 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인 광주의학전문학교의 교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1994년 수피아대강당을 신축한 후 체조와 무용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지상 1층 규모의 벽돌조 건물이다. 기단부는 사암을 사용하여 조성하고 그 위에 붉은 벽돌을 화란식(和蘭式) 쌓기를 하였다. 지붕틀은 왕대공 트러스로 구성하였으며, 그 위에 시멘트 슬레이트를 올려 마감하였다. 서양식 구조와 한국의 전통 양식인 팔작지붕을 절충시킨 특징을 지니고 있다. 팔작지붕은 곡선 없이 직선으로 처리하였으며 환기를 위해 도머창을 냈다.
지붕부는 마감 재료가 바뀌고 도머창과 굴뚝이 철거된 상태이다. 구조와 외관은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광주에 남아 있는 체육시설 중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서 서양과 한국의 건축을 절충시킨 특징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