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365 |
---|---|
한자 | 淸州韓氏雙孝碑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희태 |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 진제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청주한씨 효자 2명의 효행을 기려 세운 비.
청주한씨쌍효비는 조선 후기 효자 한필오(韓弼五), 한필룡(韓弼龍) 형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2개의 비석이다. 한필오와 한필룡 형제는 본관이 청주(淸州)로 부모에 대한 효성이 극진하였다. 1760년 부친상을 당하자 두 형제는 시묘살이를 하였으며, 어머니가 노망(老妄)이 나자 두 형제는 간호에 정성을 다하였다. 어머니가 겨울철에 산비둘기 고기를 원하자 산천을 두루 다녔으나 구하지 못하고 집에 돌아왔는데 산비둘기가 방으로 들어와 어머니의 소원을 들어줄 수 있었다. 어머니의 임종에 이르러 두 형제는 손가락을 잘라 어머니 입속에 피를 흘리면서 차도를 빌었으나 사망하자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조선 후기 효자 한필오, 한필룡 형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1862년(철종 13)에 명정(銘旌)되고 1864년에 정려비(旌閭碑)를 세웠다.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 진제마을에 있다.
장방형 좌대 가운데 홈을 파고 비 몸을 세웠으며, 비 갓은 한옥 지붕 형태이다. 앞면 2칸 팔작지붕집의 정려각이 안에 있으며, 정려각의 앞면 편액(扁額)은 쌍효각(雙孝閣)이다.
앞면에 비제를 음각 내려쓰기로 새겼으며, 뒷면에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비문은 한정교가 썼다.
조선 후기 효자의 표창 과정을 알 수 있어 제도사적, 향토사적인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