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200340 |
---|---|
한자 | 衡平 運動 |
영어공식명칭 | Social Equality Movement of Haman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경상남도 함안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양미숙 |
[정의]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일어난 백정의 신분 해방 운동.
[개설]
1923년 4월 24일 진주에서 처음 조직된 형평사(衡平社)는 특정 계급인 백정(白丁)의 차별 철폐와 인권, 평등을 주장하였다. 진주에서 창립된 이후 경상남도 지방에 이어 호남·영남·중부 지역에서 형평사 지부가 조직되는 등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어 조직이 확대되었다.
[역사적 배경]
백정은 천민 계급이었으며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甲午改革)으로 법제상 해방되었으나, 현실적으로 일상생활에서는 여전히 차별 대우를 받고 있었다. 특히 일제는 조선을 통치하면서 봉건적인 지배 질서를 그대로 활용하였으며 백정들에 대한 차별도 여러 부분에서 그대로 존속되었다. 이에 백정들이 형평사를 조직하면서 불만을 표출하게 되었다.
[경과]
경상북도 예천에서 농민의 형평사 습격 사건의 발생 이후 경상남도 함안 형평 분사에서도 그에 대하여 선후책을 논의하였다. 1925년 9월 2일 오전 10시에 임시 총회를 개최하고 위원 박성대(朴性大)·김윤식(金允植)·조명옥(趙明鈺) 등 3명을 예천에 보내 그 사건에 대해 보고한 후 철저한 행동을 취할 것이며 중앙 총본부의 처치 방법을 원조할 것을 토의하기도 하였다.
이후 함안 형평 분사는 1926년 4월 21일 오후 4시에 분사장 박성대의 집에서 제2회 정기 총회를 개최하였다. 회원 20여 명이 출석하여 조진규(趙珍奎)의 간단한 취지 설명을 듣고 난 후 조진규를 임시 의장으로 선출하였다. 제반 사항을 인권에 관한 건, 회관 건축에 관한 건, 야견(野犬) 박살(撲殺)에 관한 건, 미정리 처리할 것, 전국 대회 참가의 건으로 나누었다. 인권에 관한 건에서는 ‘우리들에 대하여 백정이란 의미로 모욕의 의사를 표시할 때에는 철저하게 규탄할 것’을 결의하였다. 야견 박살에 관한 건에서는 ‘경찰 당국에서 야견 박살을 본 사원에게 의뢰하는 것은 무리한 것으로 이를 거절할 일’이라고 결의하였다. 전국 대회 참가의 건에서는 ‘사회 운동 단체와 밀접한 연결을 위하여 적절한 후원을 할 것’이라고 결의하였다. 또한 총무부 상무위원 박만이(朴萬伊) 외 3인을 임원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그 외에도 1924년 일어난 형평사 본부 이전 문제에 대해 함안 지역은 진주·통영·합천·부산·마산과 함께 대전 통합 대회의 결의에 의하여 서울에 설치한 형평사 중앙 총본부를 부인하고 형평사 본부를 부산으로 옮긴 후 분파적 혁신 동맹을 주장하는 성토문을 발표하는 등 전국 차원의 형평 운동에도 개입하였다. 창립 1년 뒤부터 본부를 진주에 두자는 진주파와 서울로 옮기자는 서울파의 싸움이 벌어지면서 형평 운동의 주도권은 중부 지역 출신의 활동가들에게로 넘어갔다. 1930년 전후에는 분사의 수가 160개를 넘었으나 1930년대 형평 운동은 만주 사변[1931년]과 중일 전쟁[1936] 등 일제의 군국화로 크게 위축되었다.
[결과]
1935년 회원 간의 분열, 일제의 간섭과 억압으로 형평사의 조직과 활동이 위축되면서 형평사의 이름을 대동사(大同社)로 바꾸게 되었고 인권 운동이라는 본래 성격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형평 운동은 신분제가 철폐되었지만 현실에서는 여전히 차별 받고 있던 백정의 신분 해방을 위한 운동이라는 점에서 인권 운동의 성격을 가졌으며, 당시 일제에 대해 저항을 하였다는 점에서 항일 운동의 성격도 가졌다. 함안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과의 연대 활동을 통해 지역의 문제를 넘어 전국적인 활동에도 동참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