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창서(昌瑞), 호는 부암(浮庵). 금호(錦湖) 나사침(羅士沈)의 후손이다. 나경(羅炅)[?~?]은 화순 출신으로, 일찍이 집안의 가르침을 받아 재주가 뛰어났고, 편안하고 고요히 분수를 지키며, 안빈 낙도 하였다. 『대학(大學)』의 「명명덕(明明德)」과 『중용(中庸)』의 「구경지도(九經之道)」에 관한 저술을 하였고,...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실학자.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중집(仲集), 호는 석당(石塘). 이조 참판 나빈(羅彬)의 8세손이요, 나무계(羅茂桂)의 현손이며 생부는 나재우(羅載祐)로 나재홍(羅載弘)에 입양하였다. 나경적(羅景績)[1690~1762]은 효우가 지극하고 학식이 고명했으며 친족을 화목하게 대하여 향리에서 칭송을 받았다. 김창흡(金昌翕)·조정만(趙正萬)과 시를...
-
조선 후기 화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수부(秀夫), 호는 창주(滄洲). 참판 나빈(羅彬)의 후손으로, 나세집(羅世緝)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나율(羅慄)이고, 아버지는 증 장악원 정(贈掌樂院正) 나덕용(羅德用)이다. 어머니는 홍주 송씨(洪州 宋氏) 송정순(宋庭筍)의 딸이고, 부인은 정붕(丁鵬)의 딸과 이영선(李榮先)의 딸이다. 담양 대곡에서 태어났으며,...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과 남면, 전라남도 순천시와의 경계에 있는 산. 전라남도 화순군의 중동부에 위치하며 화순군 동복면과 남면, 순천시 주암면과 송광면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산세가 웅장하고 수려하다. 모후산은 섬진지맥 중 제7지맥의 한 봉우리로 백아산의 산줄기를 타고 내려와 동복천을 앞에 두고 멈춰 선 곳이다. 주암댐이 보이고 무등산·조계산·백아산 등이 조망...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화여(和汝), 호는 송호(松湖). 실학자 석당(石塘) 나경적(羅景績)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나득문(羅得文)이고, 어머니는 창녕 조씨(昌寧曺氏) 후건(後建)의 딸이다. 나상근(羅祥根)[1777~1850]은 학식이 넓고 문행(文行)을 겸비하였다. 가학을 계승하여 자명종(自鳴鐘)과 자전 수차(自轉水車)를 속수(續修)하였...
-
조선 후기 화순에서 활동한 승려. 호는 나암(懶庵)이다. 승제(勝濟)[?~?]는 화순군 능주면 쌍봉사(雙峯寺)에서 활동한 승려이다. 구체적 생몰년은 알 수 없으나 스승 자우(自優)가 1830년에 사망하였으므로, 19세기 초에 활동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우연히 대둔사에 들렀다가 자우(自優)의 제자가 되었고, 자우의 밑에서 『대승 기신론(大乘起信論)』·『능엄경(楞嚴經)』...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수만리, 만연리와 동구리에 걸쳐 있는 산. 만연산(萬淵山)[668m]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과 광주광역시 동구의 경계선에 있으며 호남 정맥의 주봉인 무등산으로 연계되는 산이다. 화순읍 수만리·만연리·동구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나한산(羅漢山)이라는 별칭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나한산은 화순현의 북쪽 6리에 있...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지월리 지장 마을에 있는 낙오정을 짓고 박준관이 읊은 한시. 한시 「낙오정을 짓고서」의 작가 박준관(朴準觀)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 출신으로, 본관은 밀양, 자는 경중(敬仲), 호는 오봉(五峯)이다. 아버지는 벽당(碧堂) 박후진(朴厚鎭)이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1798~1879]의 문인인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의 인물임을 알 수 있다....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천서(天瑞), 호는 낙재(樂齋). 구봉(九峯) 조엽(曺熀)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정오(曺挺五)이며, 아버지는 조선춘(曺善春)이다. 조명옥(曺命玉)[1708~?]은 재주가 총명하여 10세에 문장을 지을 줄 알았다. 1753년(영조 29)에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고 성균관에서 공부하였다. 1762년(영조 38)에...
-
조선 전기 화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창휘(暢輝), 호는 낙호당(樂乎堂). 옥천군(玉川君) 조흡(曺恰)과 화순 입향조인 조온(曺穩)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조건(曺健)이며, 아버지는 조세명(曺世明)이다. 어머니는 나주인(羅州人) 정도(鄭覩)의 딸이며 부인은 광산 김씨(光山金氏) 김약(金約)의 딸이다. 조대중(曺大中)의 형으로, 화순 녹구리에서 태어났다....
-
근대 화순에서 활동한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관여(寬汝), 호는 난계(蘭溪). 청심당(淸心堂) 이조원(李調元)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지호(李贄鎬)이다. 이승우(李承愚)[1855~1919]는 화순 출신으로,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재주가 영오하고 뜻이 확고하였다. 과거 시험 공부를 전폐하고 경전 공부에 침잠하였다. 노사(蘆沙)...
-
조선 후기 화순에서 생을 마감한 방랑 시인.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심(性深), 별호는 난고(蘭皐), 호는 김립(金笠)·김삿갓이다. 할아버지는 1811년(순조 11) 홍경래의 난 때 항복한 선천 부사(宣川府使) 김익순(金益淳)이다. 김병연(金炳淵)[1807~1863]은 6세였을 때 하인 김성수(金聖洙)의 구원을 받아 형 김병하(金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대기 현상의 평균적인 상태.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기후의 시간적 변화와 지역적 차이를 일으키는 기후 인자로는 위도·고도·수륙 분포·지형·지면 피복 등의 지리적 요인들이 있다. 화순 지역은 위도상 중위도에 속한 온대 기후 환경이다. 겨울에는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덥고 비가 많이 오는 계절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천덕리에 있는 아스콘 제조 기업. 남경 중공업은 노화된 아스팔트를 철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폐아스콘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인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2년 남경 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2002년 남경 산업에서 남경 중공업으로 개칭하였다. 2003년부터 재생 아스콘 생산에 주력하였으며, 2005...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남면 남계리는 남방(南方)·삼거리·옻밭정이 등 3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주암댐 수몰로 인해 옻밭정이 마을은 폐촌이 되었다. 남계리의 지명은 남방 마을의 남(南)와 계(溪)를 합하여 남계리라 하였다. 남방 마을의 뜻은 남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옻밭정이 마을은 국도에서 남방 마을로 들어가는...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양곡리에 있는 골프장. 1991년 9월 16일 면허 승인을 받고 1991년 9월 20일 골프장으로 등록하였으며, 1991년 9월 28일 개장하였다. 화순군 춘양면 양곡리 산 67 일대에 삼성 종합 건설과 대동 건설이 건설하였으며[코스 설계 김명길], 남해 종합 건설이 조경 공사를 시행하여 건립하였다. (주)남광주 관광이 화순군에 남광주...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구례리에 있는 터널 인근 지역에 남덕 마을이 위치하여 남덕 터널이라 이름 붙였다. 남덕 터널은 하행 2차선의 터널이며, 총길이 575m, 총 폭 10m, 높이 6.7m, 유효폭 7m이다. 남덕 터널은 국도 29호선 하행선의 원활한 교통 흐름과 소요 시간 단축을 위해 2009년에 준공되었다. 남덕 터널은 광주 국도 관...
-
전라남도 화순군에 있는 지역 인터넷 신문. 디지털 화순 뉴스의 상임 이사로 있었던 정흥균 대표 이사가 2005년 화순 지역민의 여론을 진솔하게 보도하여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지역 곳곳의 주민들의 삶과 독특한 지역 문화를 발굴하는 등 새로운 모습의 지역 신문을 만들고자 창간했다. 2005년 인터넷 신문을 통해 뉴스를 매일 제공하다가 2006년에...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에서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면서 행했던 놀이. 화순군 청풍면 세청리 선화동에서 정월 대보름에 풍년 농사를 기원하며 솟대를 세우고 용줄다리기 등을 행했다. 화순군 청풍면 세청리 산하동(船下洞)에서는 매년 정월 대보름에 풍년을 기원하는 제를 올리고 줄다리기를 행하였다. 2005년 ‘제24회 화순 군민의 날’ 민속 경연 대회 행사에 출...
-
전라남도 화순군에 있는 인터넷 신문. 2009년 남도 뉴스에서 편집국장을 하던 최연종 대표가 독립하여 ‘공정(公正)한 보도’와 ‘건전(健全)한 비판’, 그리고 ‘민의(民意)의 대변’이라는 사시(社是)를 바탕으로 인터넷 신문을 만들었다. 매일 인터넷을 통해 전라남도 화순군의 뉴스를 제공한다. 홈페이지 상단에 전체 기사, 사회, 경제, 정치, 문화, 스포츠, 교육, 건강,...
-
전라남도 화순군에 속하는 행정 구역. 사평면은 화순군의 동남쪽에 위치한 산악 지역이다. 북쪽에는 동면·동복면·주암면과 접하고 있고, 동쪽으로는 순천시 송광면, 남쪽으로는 보성군 문덕면, 복내면과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한천면과 접하고 있다. 1759년에 발간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동복현 7개면 중 내남면(內南面)과 외남면(外南面)이 기록되어 있...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절산리에 있는 활터. 모후정은 화순군 사평면 지역민의 궁도 활동을 도모하고자 마련된 궁도장이다. 모후정은 사평면 지역 주민과 화순 군민의 궁도 발전을 도모하고자 건립되었다. 모후정은 본래 화순군 사평면 사평리 다리 인근에 사장(射場)을 개설하였는데, 비가 많이 오면 수몰되어 궁도 활동에 지장을 주었다고 한다. 이에...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사평리에 있는 정기 시장. 남면 시장이 소재하고 있는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사평리는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의 종점지이며 외남천 변에 자리하고 있다. 사평리는 전통 음식인 기정떡으로 유명하다. 『동복구지(同福舊誌)』에 의하면, 외남면[현 사평면] 사평리의 사평장(沙坪場)이 매순 5일·10일에 열린다고 쓰여 있지만 개시 연대는 기...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사호로에 있는 사평면 관할 행정 기관. 사평면사무소는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주민 복리 증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32년 11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에 의해 내남면과 외남면을 합하여 남면이 되었으며, 면사무소는 화순군 남면 사평리 380-1에 개설하였다. 1950년 10월 6·25 전쟁으로 면사무소가 소실되었...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전해오는 명풍수 남사고가 최부자에게 명당을 잡아주었다는 이야기. 조선의 명풍수였던 남사고가 화순으로 와서 당시 만석꾼 부자였던 최부자 집과 임씨 집에 가서 원하는 바를 얻고 그 대가로 명당자리를 잡아주었는데, 남사고가 전라도 관찰사의 딸을 첩으로 얻으려 했다가 후에 관찰사에게 맞아죽었다는 이야기이다. 명풍수인 남사고의 능력과 지나친 오만...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향청리 및 광덕리 일원에 있는 근린공원. 남산 공원은 1970년 10월 조성된 총 면적 6만 4878㎡의 근린공원으로 화순읍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숲이 잘 조성되어 오랫동안 화순 군민의 휴식처 역할을 해왔으며, 공원 중앙에 군민 회관, 충혼탑, 참전 용사 위패 봉안실, 궁도장인 서양정 등이 자리 잡고 있다. 화순 군민의 주요...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는 정자·교촌·남평거리·봉룡 등 4개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남정 마을·종방 마을은 남정 1리, 봉룡 마을은 남정 2리이다. 남정리의 지명은 남평거리 마을의 남(南)자와 정자촌 마을의 정(亭)자를 각각 취하여 만든 것이다. 정자촌 마을은 정잿몰이라 하는데 마을에 큰 정자나무가 있었다...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남정리 고인돌은 능주 향교 주변 네 곳에서 확인된다. 능주 향교는 북동쪽에서 남동쪽으로 들어오는 계곡의 끝 부분에 자리하고 있다. 가군과 다군은 남정리 1구에 있으며, 나군은 능주 향교 아래 전명석씨 밭에 있다. 라군은 남정리에서 정남리로 가는 길에 종방 마을 주걱등이라 불리는 논에 있다. 가군은...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남정리 고인돌은 능주 향교 주변 네 곳에서 확인된다. 능주 향교는 북동쪽에서 남동쪽으로 들어오는 계곡의 끝 부분에 자리하고 있다. 가군과 다군은 남정리 1구에 있으며, 나군은 능주 향교 아래 전명석씨 밭에 있다. 라군은 남정리에서 정남리로 가는 길에 종방 마을 주걱등이라 불리는 논에 있다. 가군은...
-
일제 강점기 화순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창녕. 자(字)는 남조(南助). 조병열(曺秉烈)[?~?]은 1919년 3·1운동 이후 만주로부터 국내에 잠입한 신덕영(申德永)을 도우며 1920년 7월 화순의 노석중(盧錫仲)·노형규(盧衡奎)·윤영기(尹永奇)·조병철(曺秉徹)·최양옥(崔養玉) 등과 함께 박현경(朴賢景) 등 부호로부터 군자금을 모으다 같은 해 11월 일경에 체포되었...
-
전라남도 화순군을 중심으로 전래되는 민속들을 정리한 책. 『남주 만속도』는 전라남도 화순군을 중심으로 전래되는 민속 전반을 정리한 책이다. 일생 의례, 벽사, 방액, 속신 등이 수록되어 있다. 화순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모든 민속을 정리한 민속지의 성격을 가진 향토 자료집이다.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미풍양속과 멸실 직전에 놓여 있는 민속...
-
조선 시대 전라도 화순 출신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남중(南中), 호는 신암(愼庵). 개국공신 경평공(敬平公) 노숭(盧嵩)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노남혁(盧南赫)이다. 노경남(盧敬男)[?~?]은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주부(主簿)에 이르렀다. 임진왜란 때는 선조를 호위했으며,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시종(侍從)으로서 강화도에서 순절하였다. 1627년(인조...
-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외동리에서 발원하여 화순군 이서면 창랑리에서 동복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남천은 담양군 창평면 외동리의 노가리재 남쪽 산록에서 시작하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창랑리를 지나 동복천으로 유입하는 총 연장 11.8㎞, 유역 면적 32.64㎢의 지방 2급 하천이다. 담양군 남단에서 발원해 남쪽으로 흘러 화순 지역 경내로 흐르는 데서...
-
조선 전기 화순으로 입향한 창녕 조씨 입향조. 본관은 창녕. 자는 경지(卿之), 호는 남촌(藍村). 시중(侍中) 대운(大運)의 후예로 아버지는 조여충(曺汝忠)이다. 조국경(曺國卿)[?~?]은 성수침(成守琛)의 문인으로 문학이 순수하고 충효(忠孝)가 돈독하였다. 남전(藍田) 여씨(呂氏)의 약법(約法)을 모방하여 향규 촌약(鄕規村約)을 제정하고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하였다....
-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북면 남치리는 자연 마을인 남치·반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치리의 지명은 남치 마을에서 유래하였다. 남치 마을은 산 고개에서 남빛의 흙이 출토된다고 하여 남재라 불렸다. 뒤에 마을 위로 새롭게 마을이 형성되어 윗남재와 아랫남재로 각각 구분해 불렀다. 후에 윗남재는 원이 설치되면서 원촌으로 부르게 되었다....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남치리 남치 마을에서 음력 정월 14일에 지내는 마을 공동 제의. 화순군 백아면 남치리 남치 마을에서는 ‘당산제’라 하여 매년 음력 정월 14일 밤 10시경에 천룡과 당산 두 곳에서 제를 지낸다. 제관은 마을 회의를 통해 화주 2명, 헌관 1명, 축관 1명, 종사원 2명을 선정한다. 제비는 마을 자금으로 충당하는데, 예전에는 인구전으로...
-
개항기 병인양요 때 활약한 화순 출신의 의병. 임헌진의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대규(大奎), 호는 남파(南坡). 두문재(杜門齋) 임선미(林先味)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임수익(林守翼)이다. 임헌진(林憲鎭)[1856~?]은 1880년(고종 17) 진사(進士)에 급제하였다. 1866년(고종 3)에 발발한 병인양요 때 같은 고을의 사람들과 함께 격문(檄文)을 띄우...
-
한말 화순군 백아면 원리 출신의 의병. 1907년에 고광순(高光洵)의 의병 부대에서 의병을 모집하는 일을 하였으며, 1908년 연곡사 전투에서 체포되어 6년형을 선고 받고 옥고를 치렀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경하(景河), 호는 남파(藍坡). 계림군(鷄林君) 정효상(鄭孝常)의 후손으로, 현감 정약이(鄭樂易)의 6세손이고, 아버지는 모암(慕庵) 정정현(鄭貞鉉)이다....
-
1894년 12월 3일 전라남도 화순 지역의 동학 농민군이 인근 남평 관아를 공격해 점령한 사건. 1894년 최경선(崔景善)[1859~1895]·손화중(孫華仲)[1861~1895]에 의해 시행된 나주 공략의 실패로 능주와 남평 일대에 흩어져 있던 동학 농민군은 남평 관아를 급습하여 잠시 동안 관아를 장악했다. 1894년 9월부터 11월까지 나주 지역에서 활동하던 동학 농민군의 나주...
-
1909년 일본군이 약 2개월에 걸쳐 화순 지역을 비롯한 전라남도의 의병 활동을 진압할 목적으로 실시한 대규모 군사 작전. 통상 남한 대토벌이라 불리는 일본군의 군사 작전은 실제로는 전라남도 지역을 겨냥한 작전이었다. 작전은 1909년(순종 3) 9월부터 10월까지 2개월에 걸쳐 진행되었고 일본 정규군 2개 연대가 투입되었다. 이 작전으로 전라남도 지역에서 활동하던 의병은 심대한...
-
전라남도 화순군 출신 화가 오지호(吳之湖)가 그린 유채 회화. 오지호는 동경 미술 학교 유학 시절부터 일본 화풍과 차별화한 조선풍의 화면 설계에 주력하였던 작가로, 작품 「남향집」에서 인상주의 화풍으로 식민지 현실을 표현하였다. 「남향집」은 80.5✕65㎝ 크기의 캔버스 유채 작품으로 1939년에 그렸는데, 오지호가 송도 고등 보통학교 미술 교사로 재직하던 시...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삼천리에 있었던 철도역. 화순군의 남쪽에 위치하여 남화순역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남화순역의 개업일은 불명하며, 1967년 1월 20일 배치 간이역에서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1967년 9월 1일에는 을종 위탁 발매소로 지정되었으며, 1974년 8월 15일에 폐역으로 전환되었다. 남화순역은 화순~장동 간에 위치...
-
전라남도 화순군의 역사와 문화, 전설과 풍속, 자연 지리에 대한 내력을 기록한 향토지. 『내 고장 전통가꾸기』는 시지 및 군지 외에 각 지역의 설화 등을 포함한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을 재고하고 보전과 발전에 대한 중요한 인식을 계승하기 위한 편찬사업이다. 기록화 사업이라 할 수 있으며 화순군의 자료가 포괄적으로 담긴 서적이라 할 수 있다. 『내 고...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유마리에서 발원하여 복교리를 거쳐 동복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내남천은 화순군 남면 유마리에 있는 모후산 남쪽 산록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복교리를 지나 동복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2003년 12월 27일 지방 2급 하천으로 지정되었으며 하천 코드 번호는 4021840이다.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을 흐르는 외남천과 구분...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내리에 있는 저수지. 내리 저수지는 내리제라고도 하며 농업 수리 시설물로 1종 저수지이다. 농업용수 개발을 위해 1999년에 착공하여 2003년에 준공되었다. 총 저수량 107만㎥, 유효 저수량 92만㎥로 1종 저수지이다. 유역 면적 285㏊, 인가 면적 120㏊, 관개 면적 120㏊, 홍수 면적 9.4㏊이며, 제방 높이는 30.7m,...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남면 내리는 원래 삼산·밀양·대사골·중촌·평촌·신암 등 6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중촌 마을은 폐촌되었다. 내리는 동복현 내남면(內南面)의 첫 리(里)로 내남면(內南面)에서 내(內)자를 취하여 내리라 하였다. 삼산 마을은 마을에 샘이 있어 새미굴로 부르던 것이 ‘새미’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새는...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능주면 내리는 자연 마을인 내동(內洞)으로 이루어져 있고, 세분하면 웃똠·섬동네·구성굴로 구분된다. 내리의 지명은 내동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내동 마을은 원래 안골이라 했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내(內)자를 써서 내동이라 한 것이다. 내리는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내리라...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내리에 있는 저수지. 내리 저수지는 내리제라고도 하며 농업 수리 시설물로 1종 저수지이다. 농업용수 개발을 위해 1999년에 착공하여 2003년에 준공되었다. 총 저수량 107만㎥, 유효 저수량 92만㎥로 1종 저수지이다. 유역 면적 285㏊, 인가 면적 120㏊, 관개 면적 120㏊, 홍수 면적 9.4㏊이며, 제방 높이는 30.7m,...
-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 노치리에서 발원하여 와천리를 거쳐 동복댐으로 흘러드는 하천. 내북천은 화순군 북면 노치리에 있는 백아산 동남쪽 산록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수리천과 합류한 후 동복댐으로 유입하는 하천이다. 화순군 북면의 안쪽 골짜기에서 흐른다 하여 유래되었다. 상류에 화순군 북면 노치 마을이 있으며 중류에 수리 저수지가 축조되어 있다. 이후...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는 냇가데미[沙村]·안골(內村)[우데미]·들모실[坪林][모실골] 등 3개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나 구분이 모호하다. 내평리의 지명은 안골 마을의 내(內)자와 들모실 마을의 평(坪)자를 각각 취한 것이다. 안골 마을은 마을 안쪽에 자리하고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며, 평림 마을에 비해 위쪽...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 사촌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 사촌 마을에서 화순읍 감도리 백연동 마을로 가는 길의 왼편 구릉 남 편사 면에 분포한다. 고인돌은 지석 1매가 확인되고 있는 기반식을 제외하면 모두 개석식이다. 상석 형태는 장방형과 타원형 등 다양하다. 상석의 규모는 길이 80~270㎝, 너비 80~170㎝, 두께...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 사촌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 사촌 마을에서 화순읍 감도리 백연동 마을로 가는 길의 왼편 구릉 남 편사 면에 분포한다. 고인돌은 지석 1매가 확인되고 있는 기반식을 제외하면 모두 개석식이다. 상석 형태는 장방형과 타원형 등 다양하다. 상석의 규모는 길이 80~270㎝, 너비 80~170㎝, 두께...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에서 삼국 시대에 걸친 복합 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광사리 일원에 화순군에서 시행하는 생물 의약 단지 조성 사업에 포함되어 발굴 조사된 유적이다. 지표 조사는 2005년, 단지 내에 포함되는 8개 유적에 대해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발굴 조사는 2008년에서 2011년까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와 광주광역시 동구 선교동을 연결하는 고개. 너릿재는 무등산에서 장불재로 이어져 남쪽 수래바위산과 소룡봉 사이에 있는 고개로 지금은 국도 29호선이 통과하고 있다. 너릿재는 1971년 터널이 개통되기 전까지만 해도 눈이 많이 오면 한 달 넘게 길이 끊기기도 했고, 그 이전에는 낮에도 산적이 나오는 험한 고개였다고 한다. 또한 갑오...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에 있는 근린공원. 너릿재 공원은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와 광주광역시 동구 선교동을 연결하는 너릿재 터널 입구의 화순군 쪽 도로변에 조성된 작은 공원이다. 1971년 터널이 개통되기 전까지만 해도 너릿재는 큰 눈이 오면 한 달이 넘게 길이 끊기곤 했고, 그 이전에는 대낮에도 산적이 출몰하는 험한 고개였다 한다. 갑오 농민 전쟁 때...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에 있는 터널. 광주광역시와 화순을 연결하는 터널로 너릿재 구터널은 1971년에 준공되었고, 1992년 왕복 2차로에서 4차로로 확장되었으며, 너릿재 신터널은 2007년에 준공되었다. 너릿재 터널은 가까운 곳에 너릿재가 위치하여 너릿재 터널이라 이름 붙였다. 너릿재는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에서 광주광역시 동구 선교동으로...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의 영혼을 건져 올리기 위해 하는 굿. 혼건지기는 독립된 굿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물에 빠져 죽은 수사자(水死者)를 위한 씻김굿 중의 한 절차로 설명한다. 수사자가 빠져 죽은 물가에 간단한 제사상을 차리고 용왕기를 세운다. 긴 장대에 곳베를 매달고 그 끝에 쌀을 담은 주발을 매달아 물에 넣고 굿을 진행한다....
-
전라남도 화순군의 부녀자들이 정월 대보름이나 추석 명절 등에 마당이나 공터에서 긴 널빤지에 중심을 잡고 두 사람이 번갈아 밟아 뛰어 오르내리는 민속놀이. 화순군의 널뛰기는 정초에 부녀자들이 즐기는 고유한 민속놀이이다. 정초 외에는 대보름과 추석 등 명절에 하는데 주로 젊은 부녀자들이 참여한다. 널뛰기는 넓이가 30㎝ 정도, 길이는 3~5m 쯤 되는 두꺼운 판자...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와 광주광역시 동구 선교동을 연결하는 고개. 너릿재는 무등산에서 장불재로 이어져 남쪽 수래바위산과 소룡봉 사이에 있는 고개로 지금은 국도 29호선이 통과하고 있다. 너릿재는 1971년 터널이 개통되기 전까지만 해도 눈이 많이 오면 한 달 넘게 길이 끊기기도 했고, 그 이전에는 낮에도 산적이 나오는 험한 고개였다고 한다. 또한 갑오...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창녕(昌寧). 자(字)는 광중(光衆), 호(號)는 노가정(老稼亭). 정자(正字)를 지낸 조수홍(曺守弘)의 7대손이고, 아버지는 조진필(曺縉弼)이다. 조석윤(曺錫胤)[?~?]은 어릴 때부터 밖에서 과일을 얻으면 품고 돌아와 어버이께 드려서 당시에 효자주(孝子酒)[효자의 술]와 효자어(孝子漁)[효자의 고기]의 이름이 있었다. 어머니가 이...
-
조선 시대 전라도 화순 출신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남중(南中), 호는 신암(愼庵). 개국공신 경평공(敬平公) 노숭(盧嵩)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노남혁(盧南赫)이다. 노경남(盧敬男)[?~?]은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주부(主簿)에 이르렀다. 임진왜란 때는 선조를 호위했으며,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시종(侍從)으로서 강화도에서 순절하였다. 1627년(인조...
-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북면 노기리는 자연 마을인 대창몰·막상굴·갈월·텃굴·재경굴·음지촌·두곡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1950년 6·25 전쟁 이후 음지촌 마을과 두곡 마을은 폐촌이 되었다. 노기리의 지명은 갈월의 한자 표기인 ‘노동(蘆洞)’의 갈 노(蘆)자와 텃굴의 한자 표기에서 터 기(基)를 각각 취한 것이다. 처음에 갈월...
-
1920년대에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의 사회주의 청년들이 결성한 단체. 능주 노농 청년회은 원래 능주 무산 청년당[무산 청년당]이라는 명칭으로 발족할 계획이었다. 당시 무상 청년당은 ‘무산 대중이 해방되는 신사회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경찰이 명칭과 설립 목적의 과격성을 들어 단체 결성을 불허함에 따라 부득이 능주 노농 청년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그러나 무산 청...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일을 할 때 입는 옷. 노동복은 노동할 때 입는 옷으로 생계 수단이 농사인 사람들은 평상복과 노동복을 구분하기 어렵다. 보통은 평상복으로 입는 옷 중에서 편하고 허름한 옷을 노동복으로 입었다. 우리나라의 의생활은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기존의 한복을 중심으로 양복이 도입되고 의복이 간소화되면서 다소 복잡한 양상을 보였으나 평상복과 노동복의...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정월 열 나흗날 액막이의 한 방법으로 노두를 놓아주는 풍속. 노두 놓기는 삼재 등 액이 든 사람이 가마니나 오쟁이에 모래를 넣어 동네 앞 개천에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다리를 놓아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풍속은 정초에 자신의 신수점을 봐서 액이 들거나 그해 운이 좋지 않을 경우 이를 없애기 위한 방법이다. 노두 놓기가 언제부...
-
젊었을 때 매구도 잘 치고 잘 놀았다는 김양기 씨는 지금까지도 도장 마을 들소리를 기억하고 계신다. 그런데 문제는 뒷소리를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이 없다는 것이다. 할아버지의 앞소리에 맞추어 뒷소리를 받아주어야 하는데 경로당에 모인 사람들에게는 길고 유장한 들소리가 너무 어렵게만 느껴진다. 모심는 소리의 뒷소리는 서투르게나마 따라하다가 논매는 소리로 이어지자 모두들 어렵다며 고개를...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이월 초하룻날 노래기를 없애기 위해 행한 풍속. 노래기는 지독한 냄새를 풍기는 벌레로 화순 지역에서는 노래기를 ‘노래기’, ‘사내기’, ‘향랑 각시’ 등으로 부른다. 나무와 짚이 가옥의 주재료였던 전통 사회에서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노래기는 사람들에게 고통과 불쾌감을 주었는데, 이 때문에 노래기 퇴치를 위한 다양한 풍속들이 행해졌다. 언제부터 노래...
-
전라남도 화순에서 부르는 잡가의 하나 「노랫가락」은 본래 서울 지방 무가가 속요로 변하여 경기 지방에서 불리어지고 있는 민요이다. 이 노랫가락이 화순 지역으로 전해지면서 민중들에 의해 불리어 진 것으로 추정된다. 「노랫가락」은 비기능요이며 민요 중 잡가류에 속한다. 비기능요는 생활상의 소용과 상관없이 노래의 즐거움 때문에 불리어지는 형태를 말한다....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이월 초하룻날 행하는 풍속. 화순 지역에서는 2월 초하룻날이 되면 “머슴들이 썩은 사내끼[새끼줄]를 가지고 산에 목매달려 올라간다.”는 말이 있다. 이때부터가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날은 콩을 볶아 먹기도 하고, 노래기를 쫒는 등 다양한 풍속이 행해진다. 이월 초하루는 중화절이라 하여 임금이 대나무나 향나무로 만든...
-
화순군의 한천 농악을 이끌던 국악인. 노판순(盧判順)[1919~1992]은 한천 농악[전라남도 지정 무형 문화재 제6호]의 전성기를 이끌던 상쇠다. 1950년대에 마을의 청년들이 농악계를 결성해서 농악 전수를 할 때 중심 역할을 담당하였다. 인근 독상리에 살던 이선일 상쇠를 마을로 초빙해서 생계를 보조해주고 거주하도록 주선했으며, 이선일 상쇠를 통해 짜임새 있...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공주(公州). 자는 수민(壽民), 호는 노월당(蘆月堂). 공숙공(恭肅公) 이명덕(李明德)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응열(李應烈)이며, 아버지는 이문시(李文蓍)이다. 생부는 승지(承旨) 이문한(李文漢)이고 어머니는 김윤적(金潤迪)의 딸이다. 이약수(李藥秀)[1807~?]는 1870년(고종 7)에 문과에 급제하여 감찰(監察), 전적, 사...
-
조선 후기 능주 목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윤보(潤甫), 이호(彛好)이며 호는 노촌(老村). 임연(林煉)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도사 임세공(林世恭)이며, 어머니는 이형생(李逈生)의 딸이다. 큰아버지 임세온(林世溫)에게 입양되었고,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임상덕(林象德)[1683~1719]은 1699년(숙종 25) 진사가 되었고, 1705년...
-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북면 노치리는 자연 마을인 노경(蘆頃)·송치(松峙)·수단(水丹)·상조항(上鳥項)·하조항(下鳥項)·동화(冬花)로 구성되어 있었다. 6·25 전쟁으로 송치 마을·수단 마을·상조항 마을·동화 마을은 폐촌이 되고 현재는 노경 마을과 하조항 마을만 남아 있다. 노치리의 지명은 노경 마을의 노(蘆)자와 송치 마을의...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노치리에서 음력 3월 15일에 지냈던 마을 공동 제의. 화순군 백아면 노치리에서 지냈던 당산제는 마을 입구의 당산 나무에서 음력 정월 15일에 올렸던 마을 공동 제의이다. 당산제를 언제부터 지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과거에 한동안 당산제를 지내지 않았더니 마을 노인들 꿈에 당산 할아버지가 나타나서 그 뒤로 다시...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예치 출신으로 석각에 능한 석공.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노칠암(盧七岩)[1912~?]은 평생 동안 석각에만 종사하였고, 주로 음각을 전공하였는데 조각의 솜씨가 뛰어나 육필보다 각서가 뛰어나게 좋아서 많은 문사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석공들과의 협업을 주로 하는 석각 장인으로서 대표하는 작품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
화순군의 한천 농악을 이끌던 국악인. 노판순(盧判順)[1919~1992]은 한천 농악[전라남도 지정 무형 문화재 제6호]의 전성기를 이끌던 상쇠다. 1950년대에 마을의 청년들이 농악계를 결성해서 농악 전수를 할 때 중심 역할을 담당하였다. 인근 독상리에 살던 이선일 상쇠를 마을로 초빙해서 생계를 보조해주고 거주하도록 주선했으며, 이선일 상쇠를 통해 짜임새 있...
-
근대 화순에서 활동한 서화가.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안여(顔汝), 호는 사호(沙湖). 만년에는 노호(老湖)라 하기도 하였으며 동복(同福)에 은거하여 살았다. 호남 지방에서 일생동안 서화가로 왕성하게 활동하며 소치 허련의 화풍에 영향을 받아 산수화와 묵죽도, 매화도 등 많은 작품을 남긴 예술가이다. 송수면(宋修勉)[1847~1916]은 화순군 남면 사평리에서 아버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에 있는 백신 관련 의약품 생산 공장. 녹십자 화순 공장은 독감 백신, 일본 뇌염 백신, 신증후 출혈열 백신, 수두 백신을 생산하기 위해 2009년 설립된 공장이다. 각종 기초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과 생산 시설을 국산화하여,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던 예방 접종에 필요한 백신을 전량 공급함으로써 외화를 절감하고, 의료 서...
-
근대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제주. 자는 녹여(祿汝), 호는 죽촌(竹村). 양팽손(梁彭孫)의 후예이고, 아버지는 양재연(梁在淵)이다. 양회익(梁會益)[1861~?]은 용모가 단아하고 재주가 뛰어나 사서(四書)·육경(六經)·제자백가(諸子百家)를 두루 섭렵하였다. 시문(詩文)을 잘 지었고 특히 필법이 오묘하였다. 1888년(고종 25)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고, 음...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과 동면 일대에서 생산되는 발효시키지 않은 찻잎으로 만든 차. 화순군은 차나무가 별로 없던 지역인데, 2000년부터 이양면 증리 쌍봉사 아래에서 차나무를 재배하면서 유기농 녹차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녹차는 가장 대표적인 한국의 차이다. 녹차를 처음 생산하여 사용한 곳은 중국과 인도였다. 그 후 일본, 실론, 자바, 수마트라 등 아시아 전...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끓는 장국에 녹차 가루 등을 질게 반죽하여 얇게 떼어 넣고 끓인 음식. 식량이 풍족하지 않았던 예전에는 쌀과 보리가 떨어졌을 때 밀가루, 감자, 옥수수, 메밀, 도토리 등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구황 음식으로 수제비를 끓여 먹었다. 지역마다 육수의 종류도 고기, 미역, 닭, 멸치 등을 다양하게 이용하며 부르는 이름도 지방마다 차이가 있어...
-
조선 후기 열녀. 전라도 장수군 출생으로 최경회의 부실인 논개는 임진왜란에 최경회가 진주성에서 순절하자 촉석루에서 전승 잔치를 벌이던 왜장을 끌어안고 강물로 몸을 던졌다. 본관은 신안(新安). 진사(進士) 주달문(朱達文)의 딸이다. 논개(論介)[1574~1593]는 재주와 지혜가 뛰어나고 시문(詩文)에 능하였다. 13세에 부친을 잃고 모녀가 숙부인 주달무(朱達...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논매기를 할 때 부르는 민요. 화순군의 서남쪽인 능주면, 도곡면, 춘양면, 도암면 등은 영산강의 지류인 지석천을 끼고 넓은 들판을 보유하고 있어 논농사를 많이 짓는다. 이 지역에서는 품앗이로 논을 매는데 보통 초벌, 한벌, 군벌, 만들이까지 4번을 맨다. 초벌은 손으로 매며, 한벌과 군벌은 호미로 맨다. 논매기를 마무리하는 만들이는 백중 무...
-
우봉리는 춘양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1.5㎞ 정도 떨어진 자연 마을이다. 마을 서쪽으로는 지석천이 남에서 북으로 흐르며 남쪽으로는 사창들이 넓게 펼쳐져 있고, 북쪽으로는 용암산 줄기가 뻗어 있다. 이 마을 앞으로는 국도 29호선이 길게 남북으로 가로 질러 지나가며, 마을 동쪽으로는 한천면, 서쪽으로는 춘양면 석정리 돌정 마을, 남쪽으로는 용두리 용두 마을, 북쪽으로는 부...
-
전라남도 화순군 일원에서 농업에 사용하는 도구 및 기구. 화순에서 농기구는 주로 인력과 축력을 사용하여 농사를 짓는데 사용하고 있다. 농경을 위해 처음 단순한 나무로 시작한 농기구는 경서(耕耡) 용구[갈기], 파종 용구[씨 뿌리기], 시비 용구[비료 주기], 관개 용구[물대기], 수확 용구[추수] 등 농업의 전반에 걸쳐 많은 종류가 생겼고 운반 용구 등 관련...
-
1920년대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농민 계층이 정치적·경제적 생활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벌인 운동. 1920년대 화순 지역은 전라남도에서도 유난히 소작농의 비율이 높은 곳이었다. 따라서 1920년대 초반만 해도 화순군의 농민 문제는 지역 청년회와 지주층의 시혜적 관심 대상이었을 뿐이다. 1925년을 전후로 사회주의 청년들의 영향을 받아 점차 농민 운동 단체가 조직되었다. 농민...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다지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다지리 지실 고인돌 떼는 마을 뒤쪽 산기슭의 제각 옆에 2기가 있는데 현 도로에서 50m 정도 떨어져 있다. 화순읍 다지리 산21-5번지이다. 월정 고인돌 가군은 황새봉과 월정 마을 사이의 논 가운데 있는데 8기가 동서 방향으로 2열을 이루며 분포되어 있다. 화순읍 다지리 449-1번지이...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농부들이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농부가』는 농부들이 농사일을 할 때 부르는 노래를 말하는 넓은 의미의 농부가와 판소리 춘향가에서 부르는 「상사 소리」의 좁은 의미의 농부가가 있다. 흔히 ‘농부가’라고 하면 좁은 의미의 ‘농부가’를 말하고 이 ‘농부가’는 중모리 장단의 긴 상사 소리와 중중모리 장단의 잦은 상사 소리로 짝을 이룬다...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쇠·징·장구·북 등의 악기를 연주하며 행하는 놀이. 화순 지역에서는 농악[풍물]을 매구라고 부른다. 매구패의 편성은 쇠·징·장구·북·소고 등을 연주하는 악기수, 영기나 농기 등을 드는 기수, 나발과 쇄납을 부는 취수, 악기를 연주하지 않고 가장하여 놀이하는 잡색 등으로 구성된다. 매구의 연행은 마을의 청장년층 남성들이고, 연행 시기는 정...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농악을 할 때 입는 옷. 전라남도 화순군의 농악은 전라 좌도 농악으로, 소백산맥과 전라도 서쪽의 평야 지역과 경계를 이루는 노령산맥 사이인 전라도의 동쪽 산간 지역에서 전승되는 농악이다. 화순군에서 농악 놀이를 할 때 입는 옷은 평상복과 구별되는 농악 복식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농악의 기능에 따라 농악 복식이 달라지는데, 화순...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농악을 할 때 입는 옷. 전라남도 화순군의 농악은 전라 좌도 농악으로, 소백산맥과 전라도 서쪽의 평야 지역과 경계를 이루는 노령산맥 사이인 전라도의 동쪽 산간 지역에서 전승되는 농악이다. 화순군에서 농악 놀이를 할 때 입는 옷은 평상복과 구별되는 농악 복식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농악의 기능에 따라 농악 복식이 달라지는데, 화순...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농어촌 뉴타운 사업. 화순군 농어촌 뉴타운 사업은 귀농을 희망하는 도시 거주 젊은 인력을 농촌으로 유치하여 농업·농촌의 성장을 주도할 핵심 인력 육성을 위해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 일원에 추진하고 있는 뉴타운 조성 시범 사업이다. 자연과 사람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뉴타운을 표방하고 농촌이라는 지역적 특성과 새로운 마을 건설이라는...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토지를 이용하여 생산물을 얻어내는 경제 활동. 농업은 토지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하여 의식주에 필요한 자재를 생산하는 인간의 경제 활동 중 가장 기본이 되는 1차 산업이다. 농업은 유기적인 생물을 생산하기 때문에 토지와 기후 등 자연 조건에 크게 좌우되며 그 방법과 내용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농업과 농촌이 지난 반세...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농사일의 고단함을 해소하고 풍년을 기원하면서 부르는 노래. 화순군은 전라남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전체 면적 중에서 임야가 70%에 달하는 산간 지역이며 밭이 논보다 많은 지역이다. 화순군의 논 노래는 평야 지대가 많은 도곡면, 능주면, 이양면, 춘양면에서 채집된다. 모를 찔 때 부르는 모 찌는 노래의 가창 지역은 찾기 힘들고 「모심기...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학자. 본관은 평택(平澤). 초명은 상록(相祿), 자는 계천(啓天), 호는 농은(農隱). 두문재(杜門齋) 임선미(林先味)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임고(林熇)이고, 어머니는 수원 이씨 이세익(李世益)의 딸이며 부인은 남평 문씨 문연겸(文演謙)의 딸이다. 임중록(林中綠)[1737~1775]은 초야에 은거하며 경학으로 스스로 즐겼다. 책 한 권을 저술하였...
-
조선시대 화순 출신의 학자이자 선행인. 본관은 남평(南平). 자(字)는 인좌(仁佐), 호(號)는 농은(農隱). 면수재(勉修齋) 문자수(文自修)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문기림(文琦林)이다. 문계환(文啓煥)[?~?]은 품성(稟性)이 강직(剛直)하고 풍모가 있으며 도량이 컸다. 부모를 정성으로 봉양하고 선조의 업[유학]을 잘 계승했다. 농민의 복리를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하고 매년...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이직(而直), 호는 농음(聾瘖). 옥천군(玉川君) 조흡(曺恰)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참봉 조세명(曹世明)이며, 아버지는 정곡(鼎谷) 조대중(曺大中)이다. 어머니는 경주인(慶州人) 김응성(金應星)의 딸이며 부인은 홍주인(洪州人) 송방형(宋邦衡)의 딸이다. 조수정(曺守正)[1575~1638]은 어렸을 때부터 글 읽기...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짚이나 새 따위로 이은 마을의 정자로 사람들이 쉴 수 있도록 지은 건물. 모정은 누정(樓亭) 문화의 한 형태이다. 여기서 누정은 누각(樓閣) 또는 누대(樓臺)와 정자(亭子)가 결합된 말로, 일반적인 살림집 주거가 아닌 별도의 공간에 지은 건조물이다. 다시 말해 ‘누각’이란 규모가 크고 사방이 탁 트이게 높이 세운 다락집이고, ‘정자’는 이에 비해 그...
-
조선 전기 기묘사화 때 화순으로 유배된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경앙(景仰), 호는 신재(新齋)·농중자(籠中子). 아버지는 한성판윤 최한영(崔漢榮)이며, 어머니는 교리 한경회(韓敬澮)의 딸이다. 최산두(崔山斗)[1483~1536]는 김종직(金宗直)과 김굉필(金宏弼)을 사숙하였는데, 태어나면서부터 기이한 자질을 갖고 있었다. 6세 때 글을 배우러 다니다가 하루는 비...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짚이나 새 따위로 이은 마을의 정자로 사람들이 쉴 수 있도록 지은 건물. 모정은 누정(樓亭) 문화의 한 형태이다. 여기서 누정은 누각(樓閣) 또는 누대(樓臺)와 정자(亭子)가 결합된 말로, 일반적인 살림집 주거가 아닌 별도의 공간에 지은 건조물이다. 다시 말해 ‘누각’이란 규모가 크고 사방이 탁 트이게 높이 세운 다락집이고, ‘정자’는 이에 비해 그...
-
화순 이서 우체국 앞에 서서 바라보면 맞은 편 건물에 ‘농촌 건강 장수 마을 일감 사업장’이라는 글씨가 뚜렷하다. 이 건물은 2008년에 건립되었으며 약 198㎡[60평] 규모에 엿을 가공할 수 있는 시설이 들어서있다. 건물 안으로 들어서니 3~4명의 부녀회 회원들이 부지런히 뽕엿과 산자를 만들며 간간히 찾아오는 예약 손님들에게 뽕으로 만든 웰빙 식품들을 내놓는다....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일대에서 생산되는 누에나방의 애벌레. 누에는 과거엔 비단을 생산하기 위해 키웠는데, 전라남도 화순군에서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원료로 생산되고 있다. 한때 누에는 농촌의 주요 소득원으로 크게 장려되었으나, 비단의 수요가 감소하고, 섬유 산업이 재편되면서 급감하여 유명 무실해졌다. 그러다가 1995년경에 누에가 성인병 치료에 탁월한 효과...
-
야사 마을 사람들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누에를 치면서 살아왔다. 2013년 85세가 되신 하태호·라정숙 부부도 누에를 치며 삶의 대부분을 보냈다. 하태호 씨는 야사 마을 토박이로 1929년에 출생했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웠고, 근대식 교육으로 초등학교를 졸업한 것이다. 스무 살이 되던 해에 광주에 있는 전남 방직 회사에 입사해서 그 뒤로 9년 6개월을 방직 회사에서 일을...
-
전라남도 화순군에 있는 선사 시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는 누정. 본래 누정이란 누각 또는 누대와 정자를 합한 합성어로, 일상적인 삶을 영위하는 주거 공간이 아닌 마치 별장과 같은 곳으로의 공간을 말한다. 현재 화순군에 소재한 현존 누정은 총 80개소에 이른다. 그리고 현존하지는 않지만 존재했었다고 알려진 누정은 모두 106개소이다[1985년 전남 대학교 호남 문화 연구소...
-
개항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형삼(亨三), 호는 눌와(訥窩). 소정공(昭靖公) 윤곤(尹坤)의 후예이다. 윤확(尹確)이 낙남(落南)하여 나주 영평(永平)에 터를 잡았고, 6세조 칠송(七松) 윤각(尹珏)이 화순 능주로 이거하였다. 아버지는 난곡(蘭谷) 윤영진(尹榮鎭)이고, 어머니는 안동 권씨(安東權氏) 권성록(權成祿)의 딸이다. 윤자현(尹滋鉉)[18...
-
전라남도 화순군 일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느티나무는 생장 속도가 빠르고 내한성이 강하여 우리나라 수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낙엽 활엽 교목이다. 현재 산림청에서 보호수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느티나무는 약 7,100그루이다. 느티나무는 사람들에게 쓰임새가 좋은 나무이다. 썩거나 벌레 먹는 일이 적고 목재로 사용하기 위해 건조를 하면 단...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만수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능북 교회는 ‘말씀이 흥왕하며 더하는 교회’를 표어로 하고 있다. 1954년 예수교 장로회 소속인 능주읍 교회가 위명립 전도사를 교역자로 하여 부흥하고 있을 때 당회장인 화순읍 교회 강삼보 목사가 능주읍 교회를 기독교 장로회 계열로 가입시키려 적극 권유하였다. 그러나 위명립 전도사는 이에 동...
-
구존유(具存裕)를 시조로 하는 전라남도 화순군의 세거 성씨. 능성 구씨는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검교 상장군(檢校上將軍)을 지낸 구존유를 시조로 하는데 고려 시대에는 구민첨(具民瞻)이 평장사를 지냈고,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 구연(具珚)은 문하 좌정승(門下左政丞)을 지냈으며 조선 시대에는 구치관(具致寬)이 영의정을 지냈고, 구사맹(具思孟)의 딸은 인...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용반리에 있는 비료 생산 영농 조합 법인. 능성 영농 조합 법인은 일반 퇴비와 가축분 퇴비를 통해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여 판매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능성 영농 조합 법인은 1994년 8월 23일 설립된 이후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용반리에 공장을 두고, 농업에 필요한 각종 비료를 생산하고, 농가에 판매를 하고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용반리에 있는 비료 생산 영농 조합 법인. 능성 영농 조합 법인은 일반 퇴비와 가축분 퇴비를 통해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여 판매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능성 영농 조합 법인은 1994년 8월 23일 설립된 이후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용반리에 공장을 두고, 농업에 필요한 각종 비료를 생산하고, 농가에 판매를 하고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일대에 있었던 통일 신라 시대의 지방 군현. 능성군은 통일 신라 시대에 지금의 화순군 능주면 일대를 비롯하여 춘양면과 이양면 및 청풍면 등 지석강 유역을 관할하였다. 삼한 시대에는 마한 54개국 중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이었고, 백제의 이릉부리군(爾陵夫里郡)을 거쳐 신라가 백제를 통합한 이후인 757년(경덕왕 16)에 능성군이 되었다....
-
고려 시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일대에 있던 군현. 화순군 능주면과 도곡면 일대의 비옥한 평야 지역은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여 선사 문화를 형성하였고, 삼한 시대에는 마한의 여래비리국 혹은 내비리국이 건국되었다. 백제의 영향력 아래에 들어간 이후에는 이릉부리군(尒陵夫里郡)이 설치되었고, 신라의 통일 이후인 757년(경덕왕 16)에 능성군(陵城郡)이 되었다....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국가와 민족, 내 고장의 현실을 직시하고 사랑하는 사람[애국인], 예절과 질서를 존중하고 근검절약하여 상부상조하는 사람[생활인], 지식과 감성의 조화로 지혜롭게 판단하고 진지하게 행하는 사람[지성인], 강인한 체력과 진취적 사고로 참여하는 민주 시민의 자질을 갖춘 사람[건강인], 21세기 지식 생명 과학 시대를 주도할 창의력...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국가와 민족, 내 고장의 현실을 직시하고 사랑하는 사람[애국인], 예절과 질서를 존중하고 근검절약하여 상부상조하는 사람[생활인], 지식과 감성의 조화로 지혜롭게 판단하고 진지하게 행하는 사람[지성인], 강인한 체력과 진취적 사고로 참여하는 민주 시민의 자질을 갖춘 사람[건강인], 21세기 지식 생명 과학 시대를 주도할 창의력...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능주 교회의 표어는 ‘온 가족을 교회로’이고 목표는 ‘성도[가정, 지역]의 행복을 만드는 교회’이다. 1918년 4월 10일 노라복, 타마자 선교사와 전도인의 전도에 의해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석고리에 능주 예배당이 설립되었다. 1925년 11월 25일에는 여자 야학과 유치원을 개설하였고,...
-
1920년대에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의 사회주의 청년들이 결성한 단체. 능주 노농 청년회은 원래 능주 무산 청년당[무산 청년당]이라는 명칭으로 발족할 계획이었다. 당시 무상 청년당은 ‘무산 대중이 해방되는 신사회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경찰이 명칭과 설립 목적의 과격성을 들어 단체 결성을 불허함에 따라 부득이 능주 노농 청년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그러나 무산 청...
-
1926년 4월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을 중심으로 결성된 노동 운동 단체. 능주 노동회는 1926년 4월 능주 노농회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능주 노농회는 1924년에 결성되어 화순군 능주면을 비롯한 인근 지역의 농민 및 노동자 권익을 대변해 온 단체였다. 능주 노농회는 조선 노농 총동맹에 소속됐는데 1926년 조선 노농 총동맹이 농민 운동과 노동자 운동의 분리를 결정...
-
1920년대에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의 사회주의 청년들이 결성한 단체. 능주 노농 청년회은 원래 능주 무산 청년당[무산 청년당]이라는 명칭으로 발족할 계획이었다. 당시 무상 청년당은 ‘무산 대중이 해방되는 신사회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경찰이 명칭과 설립 목적의 과격성을 들어 단체 결성을 불허함에 따라 부득이 능주 노농 청년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그러나 무산 청...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에 있는 농공 단지. 능주 농공 단지는 공장을 유치하여 지역 주민의 농외 소득을 증대시키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며, 나아가 도시와 농촌 간의 지역 격차를 완화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능주 농공 단지는 1988년 9월 8일 농공 단지로 지정되어 1988년 12월 10일 농공 단지 조성 실시 계획이 승인되었다. 1988...
-
1920년대에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서 결성되어 활동한 농민 운동 단체. 능주 농민회는 1926년 4월 능주 노농회에서 분리되어 창립됐다. 능주 노농회는 1924년 1월에 결성된 단체로 1923년 창립된 화순 소작인 상조회를 제외하고는 화순군에서는 가장 빠른 시기에 조직된 농민·노동자 권익 단체였다. 능주 농민회는 조선 노농 총동맹 아래에 있는 전남 노농 연...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들노래. 능주는 예로부터 농토가 비옥하고 광활한 들이 펼쳐져 있어 들노래를 부르며 농사를 짓는 모습은 가히 장관이었다. 하지만 농업의 기계화가 가속화되고 농촌 공동체 문화가 약화되면서 들판에서는 더 이상 들노래를 들을 수 없게 되었다. 1986년 전남 대학교 지춘상 교수에 의해 수집 채록[채보]되어 『전남의 농요』...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백암리에 있는 복숭아 재배 작목반. 능주 복숭아 작목반은 능주면 130여 농가가 결성한 복숭아 작목반이다. 능주 복숭아는 비옥한 구릉지의 붉은 황토 땅에서 햇빛을 맘껏 받으며 자라나 당도가 높고 과실이 단단하며 색깔과 향이 뛰어나다. 화순군의 농특산물 브랜드 자연속애의 대표 품목으로 집중 관리하며 육성하고 있다. 능주 복숭아...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에 있는 천주교 광주 대교구 소속의 교회. 1958년 8월 능주면에 있는 가옥을 임대하여 박맹려[요안나]를 여전교 회장으로 파견하면서 화순 성당 능주 공소를 설립했다. 그러나 박맹려 전교 회장이 구호품 착복과 계 조직 사기 사건으로 파면되면서 후임으로 백 데레사 전교 회장이 파견되었다. 1960년 12월 6일 박경오[이냐시오] 전교 회장 파견...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일대에 형성된 분지. 분지는 주변이 높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는 낮고 평탄한 저지대 지형을 말한다. 분지에는 여러 형태가 있으며, 위치나 분지 내 지형에 있어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능주 분지는 능주면 일대에 지석천과 화순천이 합류하는 곳에 있는 일반 평야 보다 해발 고도가 높은 지형이다. 화순군의 중심 지역으로 일찍부터 토지 생산성이 놓고 교통이...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에 있는 천주교 광주 대교구 소속의 교회. 1958년 8월 능주면에 있는 가옥을 임대하여 박맹려[요안나]를 여전교 회장으로 파견하면서 화순 성당 능주 공소를 설립했다. 그러나 박맹려 전교 회장이 구호품 착복과 계 조직 사기 사건으로 파면되면서 후임으로 백 데레사 전교 회장이 파견되었다. 1960년 12월 6일 박경오[이냐시오] 전교 회장 파견...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석고리에 있는 시외버스 정류장. 능주 시외버스 터미널은 화순군 능주면 지역의 사람들이 화순군 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로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1975년 10월에 준공하였다. 1975년 10월 화순군 능주면을 비롯하여 화순군 내의 대중교통을 이용한 지역 간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 준공되었다. 이후 교통이 발달하고 지...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에 있는 정기 시장. 1923년 2월 10일에 개설되어 화순군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 시장이다. 능주면 소재지에 위치한 능주 시장은 오랜 역사에 비하여 그 장터의 모습은 옛 모습을 갖추고 있지 않다. 현재 장터 또한 이전에 있던 장터에서 옮겨왔는데 이전 시기는 분명치 않다. 다만 옛 장터의 흔적은 구장터와 쇠전거리 등의 지명으로만 남아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 지역에서 전승되는 죽은 이의 천도를 빌기 위한 굿. 능주 씻김굿은 죽은 이의 천도를 빌고 가족들의 평안을 기원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씻김굿은 연행 목적이나 시기에 따라 종류가 세분된다. 화순군 능주 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씻김굿은 곽머리 씻김굿, 날 받이 씻김굿, 소·대상 씻김굿, 49재 씻김굿, 혼 건지기 씻김굿, 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