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에 제액 초복을 기원하며 행하는 놀이. 마당밟이는 지신밟기라고도 부른다. 화순 지역에서는 정월 보름을 전후로 당산제를 지내고 마을의 각 가정을 돌며 마당밟이를 한다. 대부분의 마을에서 당산제를 지낸 후 당산굿과 샘굿에 이어 마당밟이를 진행했다. 매구패는 이동할 때 길굿을 치다가 집 앞에 도착하면 ‘쥔 쥔 문 열어’라는 구음의...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운주사에 있는 석탑. 운주사는 한 계곡에 수많은 석불과 석탑이 무리지어 있다는 점이나 토속적인 조형성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신비스러운 곳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처럼 운주사는 워낙 신비스러운 사찰인지라 석탑의 건립 배경이나 건립 연대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가 있다. 양식적으로 보면 운주사의 석탑은 대부분 고려 중기 이후에 건립된...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마산리에 있는 한국 기독교 장로회 광주 노회 광주 시찰 소속 교회. 1929년 8월 11일 자금난으로 서당 운영이 어려워지자 최원갑 등 전도단 6명과 마을 사람 8명이 함께 예배를 드린 것이 마산리 교회[현 마산 교회]의 시작이 되었다. 당시는 최흠 전도사가 왕래하면서 목회를 했다. 이후 노라복 선교사가 순회했고 당시 서당 훈장 이종관도 입교하였다....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동면 마산리는 마산 마을 단일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기록에 보이는 사기점리는 현재 새터골이라 하는 곳에 있었으나 오래 전에 폐촌이 되었다. 마산리 지명은 마산 마을의 이름을 취하였다. 마산 마을은 풍수지리상 말의 형국이라 마산이라 했다고 전하는데, 마산 마을의 우리말 발음은 ‘몰메’로 산...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마산리 마산 마을 일원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마산리 마산 고인돌 떼는 마산 마을 일원에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은 세 곳에서 확인되는데 마을 앞 도로의 서쪽 들 일원, 마산리 555-1번지 일원과 174-1번지 일원이다. 마산리 마산 고인돌 떼의 고인돌은 상석이 장타원형과 부채꼴 형태이다. 상석은 상면에 성혈 20여개가...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마산리 마산 마을 일원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마산리 마산 고인돌 떼는 마산 마을 일원에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은 세 곳에서 확인되는데 마을 앞 도로의 서쪽 들 일원, 마산리 555-1번지 일원과 174-1번지 일원이다. 마산리 마산 고인돌 떼의 고인돌은 상석이 장타원형과 부채꼴 형태이다. 상석은 상면에 성혈 20여개가...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살밭골에 있는 살바위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마산리 살바위 이야기」는 김덕령이 백마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화살과 경주를 시키면서, 화살이 떨어진 바위가 살바위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암석 유래담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마산리 살바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화순군 동면 마산리와...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살밭골에 있는 살바위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마산리 살바위 이야기」는 김덕령이 백마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화살과 경주를 시키면서, 화살이 떨어진 바위가 살바위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암석 유래담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마산리 살바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화순군 동면 마산리와...
-
야사 제1교를 건너 야사 마을로 들어서면 왼편에 단층의 산뜻한 건물이 눈에 띈다. 빨강색 바탕에 ‘화순 이서 우체국’이라는 글씨가 선명하다. 이서면 유일의 우체국으로, 우체국 문 앞에는 앙증맞은 빨간 우체통이 있다. 우체국은 야사 마을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상징물이다. 시골에서 우체국은 중심부에만 들어설 수 있는 주요 기관이기 때문이다. 야사 마을 우체국은 일제 강점기에...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위해 마을 주민들이 주관하여 마을의 신을 섬기는 신앙. 마을 제사는 당제 또는 당산제라고 한다. 호남 일부에서 당제라는 말을 쓰기도 하지만 화순군에서는 당산제라는 말을 주로 사용한다. 당산제를 지내는 시기는 매년 반복되는 세시이거나 특별히 날을 받는 때이다. 대부분의 마을 제사가 대보름을 전후로 정월에 이루어진다. 화순...
-
이서천 위의 야사제1교로 올라서면, 마을 왼편 이서천변에 우람한 은행나무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나라의 국운과 화평을 울음소리로 알렸다는 신령스러운 고목이다. 노인당 어르신들은 서로 경쟁하듯 마을 자랑부터 풀어놓으신다. “야사를 제일로 거석(자랑)할 수 있는 것이 조짝에 있는 은행나무하고, 학교에 있는 느티나무가 있거든요.” (김덕남) “전설처럼 국가에 난이 있으면 운다고...
-
갠 갠 갠 갠지갠. 2012년 12월 22일 도장골 한마당 축제는 흥겨운 풍물 소리와 함께 시작되었다. 농악 복식을 갖춘 12명의 농악패가 길굿을 치며 대밑애길에서 해망산교를 지나 도장 마을 회관으로 들어왔다. 축제에 참여하기 위해 모여든 사람들의 눈과 귀가 모두 농악패에게 집중되었다. 겨울바람 끝은 매웠지만 풍물소리와 농악패의 움직임에는 따뜻한 바람이 일었다. 풍물 소리로 힘차게...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재배 및 제작되었던 삼으로 만든 직물. 마포(麻布)는 마(麻로) 만든 포(布)로서 모시와 삼베를 구분하여 보통 삼베로 만든 것을 말한다. 화순군의 특산물로 지역에서 재배되는 삼, 아마, 모시풀 같은 초피(草皮) 섬유로 만든 마직물을 일컫는다. 삼의 껍질을 벗긴 후 뜨거운 물에 삶아 씻어낸 후 이것을 물레에 돌려 실의 형태로 만든 후에 베틀에 짜면...
-
전라남도 화순군 지역에 있었던 고대의 소국 연맹체. 마한은 삼국 시대 이전에 진한·변한과 함께 삼한을 구성하였던 소국 연맹체 중 하나이다. 한반도 중서부 지역을 기반으로 정치와 종교가 분리된 54개 소국들이 연맹체를 이루고 발전하다가 한강 하류 지역에서 건국한 백제에 의해 병합되어 소멸하였다. 백제에 의한 병합 과정에서 마한의 주민 가운데 일부는 일본 열도로...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유마리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후곡리를 연결하는 고개. 막거리재는 화순군의 중동부 끝자락 남면 유마리에서 순천시 송광면 후곡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모후산을 경계로 남쪽 산릉에 위치하며 화순군과 순천시를 연결하는 주요 고개인 운알재[터널]와 국도 15호선이 통과하는 하곡부 사이를 연결하는 고개이다. 산 아래에 유마사(維摩寺)라는 큰 사찰...
-
전라남도 화순에서 전통 장례를 치르는 과정에서 부르는 의식요. 「상엿소리」는 장례 의식을 치를 때 상여를 나르면서 부르는 노래뿐만 아니라 출상 전날 밤에 빈 상여를 놀리며 부르는 「삼경 소리」를 포함한 전통 장례를 치르는 동안 부르는 모든 소리를 말한다. ‘만가’라고도 한다. 장례 의식과 상여를 매고 운반하며 땅을 다지는 노동의 기능이 더해지기 때문에 의식요이...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있는 종합 육가공 기업. 만나는 보성 회천 녹돈, 자연속애 만나 포크 등의 육류 가공 및 판매하는 기업이다. 1998년 6월 22일 (주)만나는 광주시 광산구 우산동에 설립되었다. 2000년 10월 전라남도 나주시 운곡동 80으로 본점을 이전하였다. 2002년 사업 목적에 축산물 중개업을 추가하고 2005년에는 일반 음식점업 및 프랜차...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있는 종합 육가공 기업. 만나는 보성 회천 녹돈, 자연속애 만나 포크 등의 육류 가공 및 판매하는 기업이다. 1998년 6월 22일 (주)만나는 광주시 광산구 우산동에 설립되었다. 2000년 10월 전라남도 나주시 운곡동 80으로 본점을 이전하였다. 2002년 사업 목적에 축산물 중개업을 추가하고 2005년에는 일반 음식점업 및 프랜차...
-
전라남도 화순군에 있는 만연사의 창건과 만년 선사에 관한 이야기. 「만년 선사 일화」는 화순읍에 있는 만년사[만연사]에서 열세 살 때 출가한 만연 선사의 출생에 관한 이야기로, 만년사는 만년 선사가 중건한 사찰이다. 1987년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현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서 발간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에 「만년 선사 일화」란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능주면 만수리는 만년동(萬年洞)·수동(水洞) 2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만년동 마을이 만수 1리, 수동 마을이 만수 2리이다. 만수리의 지명은 만년동 마을의 만(萬)자와 수동 마을의 수(水)자를 각각 취하여 만수리라 하였다. 만년동 마을은 마을의 형국이 만년 동안 부유한 땅이라는 만년부복지(萬年...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만수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능북 교회는 ‘말씀이 흥왕하며 더하는 교회’를 표어로 하고 있다. 1954년 예수교 장로회 소속인 능주읍 교회가 위명립 전도사를 교역자로 하여 부흥하고 있을 때 당회장인 화순읍 교회 강삼보 목사가 능주읍 교회를 기독교 장로회 계열로 가입시키려 적극 권유하였다. 그러나 위명립 전도사는 이에 동...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가수리 만수 마을에서 음력 정월 14일에 지냈던 마을 공동 제의. 화순군 동복면 가수리 만수 마을에서는 마을 공동의 제의를 ‘당산제’라 하였는데, 음력 정월 14일 밤에 큰 당산과 작은 당산 앞에서 유교식 제차에 따라 제를 지냈다. 옛날에 마을에서 호환이 심하여 정성으로 당산제를 지냈더니 호환이 없어졌다. 그 이후로 마을의 풍년과 안녕을...
-
전라남도 화순군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사진작가들의 동호인 단체. 1990년 전라남도 화순 지역의 아마추어 사진작가들이 모여 만연 사우회를 결성하여 회원 간의 친목은 물론 정보를 나누고 기술을 공유하고 매년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그러나 결성 후 3년 만에 해체하였다. 전라남도 화순 지역의 아마추어 사진작가들이 모여 친목과 사진 기술 발전을 도모하기...
-
전라남도 화순군에 있는 만연사의 창건과 만년 선사에 관한 이야기. 「만년 선사 일화」는 화순읍에 있는 만년사[만연사]에서 열세 살 때 출가한 만연 선사의 출생에 관한 이야기로, 만년사는 만년 선사가 중건한 사찰이다. 1987년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현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서 발간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에 「만년 선사 일화」란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에 있는 저수지. 만연제는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 만연사 아래 위치한 1종 농업용 저수지이다. 현재는 주변에 공원과 체육 시설이 조성되어 자연 속 휴식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만연제는 만연 저수지라고도 하며, 농업 수리 시설로 1945년 준공되었다. 만연제는 농업 용수 개발을 위해 1945년 준공되었...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일심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더불어 살며 예절 바른 학생[교양인], 슬기롭게 생각하는 학생[창조인], 소질을 키워 가는 학생[개성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행동하고 스스로 찾아 배우자.’이다. 1998년 3월 2일 화순 만연 초등학교로 인가를 받고 같은 날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알메...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유천리에 있는 폭포. 폭포에 관련되어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 있다. 옛날에 서로 사랑하는 사이인 만석이와 연순이가 살았다. 어느 날 만석이가 전쟁터에 가게 되어 둘은 잠시 헤어지게 되었는데 그 사이 연순이는 부모의 강압에 다른 사람과 혼인을 하게 되었다. 혼인식 날 상한 몰골을 한 만석이가 찾아왔고 그 모습을 본 연순이는 첫날밤에 신방을 뛰쳐나와 만...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화순읍 만연리는 상주·중주·사창등 등 3개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나 사실상 그 경계가 모호하여 통상 만연리로 통한다. 만연리는 만연 마을의 지명을 취하여 명명되었다. 만연 마을은 지소천[만연천]이 범람하여 많은 못을 형성하였던 것을 보고 연못이 많다는 의미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상주 마을은 ‘...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만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만연리 고인돌 떼는 무등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만연산[609m] 남쪽 산록의 구릉 말단부 평탄면에 위치한 5기의 고인돌이다.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만연리 49번지의 공동 묘지에 있었다. 만연리 고인돌 떼는 화순 광덕 지구 주택 단지 조성 공사 구역에 포함되어 전남 대학교 박물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만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만연리 고인돌 떼는 무등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만연산[609m] 남쪽 산록의 구릉 말단부 평탄면에 위치한 5기의 고인돌이다.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만연리 49번지의 공동 묘지에 있었다. 만연리 고인돌 떼는 화순 광덕 지구 주택 단지 조성 공사 구역에 포함되어 전남 대학교 박물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 만연사는 만연 선사(萬淵禪師)가 1208년(고려 희종 4년)에 만연산(萬淵山)[일명 나한산(羅漢山)] 아래에 창건하였다. 만연 선사는 송광사(松廣寺) 16국사 중 제6세인 원감 국사(圓鑑國師) 충지(冲止)의 『원감록(圓鑑錄)』에 등장하는 ‘만연 선노(萬淵禪老)’ ‘만연 지공(萬淵之公)’으로 추...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에 있는 만연사에 대해 혜심, 유일, 조엽 등이 읊은 한시. 시의 배경인 만연사는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 만연산에 있는 절로, 1208년(고려 희종 4)에 창건되었다. 화순군에 있는 대표적인 사찰의 하나로 진각 국사 혜심(慧諶)[1178~1234], 연담 선사 유일(有一)[1720~1799], 조엽(曺熀) 등이 만연사에 대해 읊은 시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의 만연사에 있는 조선 후기 야외 의식용 대형 불화. 「만연사 괘불탱」은 1793년에 조성되어 만연사에서 행해진 각종 야외 법회에 사용되었다. 괘불함(掛佛函)은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길이 674㎝, 너비 34㎝, 높이 31㎝로 대웅전 뒤편에 봉안되어 있다. 대웅전 계단 앞에는 괘불과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석조 괘불대(石造...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의 만연사에 있는 조선 후기 야외 의식용 대형 불화. 「만연사 괘불탱」은 1793년에 조성되어 만연사에서 행해진 각종 야외 법회에 사용되었다. 괘불함(掛佛函)은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길이 674㎝, 너비 34㎝, 높이 31㎝로 대웅전 뒤편에 봉안되어 있다. 대웅전 계단 앞에는 괘불과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석조 괘불대(石造...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 만연사에 있는 조선 후기 청동 범종. 불교에서 종교적 분위기를 높이기 위해 소리 내는 일체의 용구를 범음구(梵音具)라고 한다. 그중 종은 당외(堂外)의 종루에 걸어 놓고 두드려서 소리를 내는 타악기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는 청정한 불사(佛寺)나 범찰(梵刹)에서 사용하는 종을 범종이라고 한다. 만연사 범종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 만연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부도가 모여 있는 곳. 부도(浮屠)는 승려의 사리(舍利)를 봉안한 탑이다. 만연사와 관련이 깊은 승려들의 사리탑을 모은 만연사 부도밭은 6·25 전쟁 이전까지만 해도 더 많은 부도가 있었으나 현재는 많이 유실되고 7기만 남아 있다. 만연사 부도밭에는 7기의 부도가 있는데, 대부분 17세기~19세기에 조성된...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에 있는 만연사에서 매년 9월 경 열리는 산사 음악회. 만연사 산사 음악회는 2007년에 처음 시작되었다. 전라남도 화순군에 있는 천년 도량 만연사에서 열리는 산사 음악회로 가수와 스님들이 출연하여 성금을 모금하여 소아암 환자 및 다문화 가정을 돕고 있다. 노래하는 승려 법능 스님이 소아암 어린이 환자 돕기 산사 음악...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있는 만연사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만연사의 유래」는 상좌 중이었던 만연이 못된 중의 음행으로 죽은 후, 나주 목사의 아들로 환생하여 다시 출가하면서 나주 목사가 만연산에 절을 세워주고 그 절의 이름을 만연사라 부르게 된 유래담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만연사의 유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수만리, 만연리와 동구리에 걸쳐 있는 산. 만연산(萬淵山)[668m]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과 광주광역시 동구의 경계선에 있으며 호남 정맥의 주봉인 무등산으로 연계되는 산이다. 화순읍 수만리·만연리·동구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나한산(羅漢山)이라는 별칭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나한산은 화순현의 북쪽 6리에 있...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에 있는 저수지. 만연제는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 만연사 아래 위치한 1종 농업용 저수지이다. 현재는 주변에 공원과 체육 시설이 조성되어 자연 속 휴식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만연제는 만연 저수지라고도 하며, 농업 수리 시설로 1945년 준공되었다. 만연제는 농업 용수 개발을 위해 1945년 준공되었...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에서 발원하여 삼천리를 거쳐 화순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만연천은 지소천이라고도 하며, 영산강 수계에 속하는 지방 2급 하천이다. 지명은 상류에 있는 만연사(萬淵寺)에서 유래되었다. 만연사는 송광사의 말사(末寺)인데, 1208년(희종 4) 만연(萬淵)이 창건하였다. 사찰의 창건 설화로 만연의 꿈에 얽힌 이야기가 전해 오며, 만연산 기...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일심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더불어 살며 예절 바른 학생[교양인], 슬기롭게 생각하는 학생[창조인], 소질을 키워 가는 학생[개성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행동하고 스스로 찾아 배우자.’이다. 1998년 3월 2일 화순 만연 초등학교로 인가를 받고 같은 날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알메...
-
조선 전기 화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유득(有得), 호는 만은(晩隱). 민상백(閔祥伯)의 7대손으로, 증 참판 민소생(閔紹生)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동지사 민효원(閔孝源)이고, 아버지는 집의(執義) 민회삼(閔懷蔘)이다. 민사점(閔思點)[?~?]은 점필재 김종직의 문인(門人)으로 김굉필, 정여창과 도의로 사귀었다. 단종(端宗) 때 부사직(副司直), 길...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능주면 만인리는 인량동(仁良洞)·만세동(萬世洞)[새터골]의 2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인량동 마을은 만인 1리, 만세동 마을은 만인 2리이다. 만인리의 지명은 만세동 마을의 만(萬)자와 인량동 마을의 인(仁)자를 각각 취하여 만들었다. 만세동 마을은 처음에 인량사라는 절이 있어 절굴이라 불렀다가...
-
개항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자(字)는 보인(輔仁), 호는 만초(晩樵). 집의(執義)를 지낸 송자은(宋自殷)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송처묵(宋處黙)이고 아버지는 송재창(宋載昌)이다. 송추(宋錘)[?~?]는 자품(資稟)이 강정(剛正)하고 지기(志氣)가 강개하여 동학 농민 운동 직후 많은 백성이 무고하게 핍박과 도륙(屠戮)을 당할 때 적극적으로 상소하여 군...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제주. 자는 경원(景遠), 호는 만희재(晩羲齋)·재원(梓園)·학음(鶴陰). 학포 양팽손(梁彭孫)의 후예이다. 아버지는 양윤주(梁潤周)이고 어머니는 진주 김씨 김시향(金時香)의 딸이다. 양진영(梁進永)[1788~1860]은 4세에 다른 사람의 글 읽는 소리를 듣고 스스로 문자를 깨달았고, 6세에는 8괘(八卦)와 6갑(六甲)을 외웠으며,...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유마리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후곡리를 연결하는 고개. 막거리재는 화순군의 중동부 끝자락 남면 유마리에서 순천시 송광면 후곡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모후산을 경계로 남쪽 산릉에 위치하며 화순군과 순천시를 연결하는 주요 고개인 운알재[터널]와 국도 15호선이 통과하는 하곡부 사이를 연결하는 고개이다. 산 아래에 유마사(維摩寺)라는 큰 사찰...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 서식하는 수릿과에 속하는 조류. 말똥가리는 매목[Falconiformes] 수리과[Accipitridae]에 속하는 조류이다. 영국에서 동아시아에 이르는 구대륙 북반구에 분포하며, 번식지의 남쪽에서 겨울을 난다. 남부 지역의 집단은 일반적으로 텃새이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산업 개발로 인해 점차 서식처를 잃어가고 있고, 도래수 또한 감소...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유마리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후곡리를 연결하는 고개. 막거리재는 화순군의 중동부 끝자락 남면 유마리에서 순천시 송광면 후곡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모후산을 경계로 남쪽 산릉에 위치하며 화순군과 순천시를 연결하는 주요 고개인 운알재[터널]와 국도 15호선이 통과하는 하곡부 사이를 연결하는 고개이다. 산 아래에 유마사(維摩寺)라는 큰 사찰...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에 있는 음식료 생산 기업. 1994년 4월 대성 유통을 창업하고, 1997년 5월 대성 유통 화순 공장을 준공하였다. 1999년 11월에는 맑은 물에 신기 산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에 본사 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면서 맑은 물에 콩나물, 두부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2000년 환경 농산물 신고를 하고 ISO 9001 인...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에 있는 조선 후기 적송 정지준이 경영했던 누정. 현재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 산 111-1 앞산에 위치해 있다. 원래는 적벽을 마주하는 강의 둔덕에 있었으나 동복댐이 들어서면서 수몰될 위기에 처하자 지금의 자리로 이건한 것이다. 망미정(望美亭)은 정지준(丁之雋)[1592~1663]이 건립하였는데, 적벽 앞에서 적벽을 마주보고 있던 정자였기...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에 달의 빛깔이나 모양 등을 보고 그해 농사의 풍흉을 미리 예측해 보는 풍속. 정월 대보름 밤 달의 빛깔이나 모양, 혹은 달이 뜨는 지점 등을 살펴보아 그해 농사의 풍흉을 알아보는 풍속으로 ‘망월 점보기’ 혹은 ‘달 점치기’라고도 한다. 언제부터 망월점을 통해 농사의 풍흉을 가늠해보는 풍속이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동국...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에 달의 빛깔이나 모양 등을 보고 그해 농사의 풍흉을 미리 예측해 보는 풍속. 정월 대보름 밤 달의 빛깔이나 모양, 혹은 달이 뜨는 지점 등을 살펴보아 그해 농사의 풍흉을 알아보는 풍속으로 ‘망월 점보기’ 혹은 ‘달 점치기’라고도 한다. 언제부터 망월점을 통해 농사의 풍흉을 가늠해보는 풍속이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동국...
-
근래에는 초상이 나면 주로 장례식장에서 상장례를 치루기 때문에 점차 전통적인 상여와 「상엿소리」가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도장 마을에서는 여전히 마을 「상엿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2012년 봄, 흘미댁 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도 도장 마을에서는 꽃상여가 나가고 「상엿소리」가 불려졌다. 마을 「상엿소리」가 다음 세대로 이어지게 된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1980년대 중...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자경(子擎), 호는 사송(四松). 양팽손(梁彭孫)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양효용(梁孝容)이고, 어머니는 송제민(宋齊民)의 딸이다. 양주남(梁柱南)[1610~1656]은 안방준(安邦俊)의 문인으로, 김집(金集), 송준길(宋浚吉), 송시열(宋時烈)의 문하(門下)에도 출입했다고 한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스승인 안방준의...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쇠·징·장구·북 등의 악기를 연주하며 행하는 놀이. 화순 지역에서는 농악[풍물]을 매구라고 부른다. 매구패의 편성은 쇠·징·장구·북·소고 등을 연주하는 악기수, 영기나 농기 등을 드는 기수, 나발과 쇄납을 부는 취수, 악기를 연주하지 않고 가장하여 놀이하는 잡색 등으로 구성된다. 매구의 연행은 마을의 청장년층 남성들이고, 연행 시기는 정...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쇠·징·장구·북 등의 악기를 연주하며 행하는 놀이. 화순 지역에서는 농악[풍물]을 매구라고 부른다. 매구패의 편성은 쇠·징·장구·북·소고 등을 연주하는 악기수, 영기나 농기 등을 드는 기수, 나발과 쇄납을 부는 취수, 악기를 연주하지 않고 가장하여 놀이하는 잡색 등으로 구성된다. 매구의 연행은 마을의 청장년층 남성들이고, 연행 시기는 정...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에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더위를 파는 풍속. 정월 대보름 아침에 상대방의 이름을 불러 상대방이 대답하면 ‘내 더위, 니 더위’라고 말을 하여 그해 자신이 탈 더위를 상대방에게 전가시키는 데, 이를 더위팔기라 한다. 한편 상대방이 대답 대신에 ‘내 더위, 니 더위’라고 말을 하면 이름을 부른 사람이 상대방의 더위를 대신 받게 된...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는 상매정·중매정·하매정 등 3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매정리의 이름은 매정 마을에서 유래하였다. 매정은 원래 매화정이라 하는데 이는 마을 뒷산 형세가 매화 형국이라 이렇게 부른다고 전하기도 하며, 산 밑에 위치하므로 뫼정이라 했다고도 한다. 1759년 『여지도서』에는 하동변면(下東...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 상매정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매정리 상매정 고인돌 떼는 이양면 매정리 282에 위치한 밭 가운데 있는 2기의 민묘 주변에 6기의 고인돌이 북서·남동 2열로 분포되어 있다. 매정리 상매정 마을 고인돌 군은 보존 상태가 불량하여 하부가 매몰되어 있거나 상석이 기우려져 확인된다. 지표상에 확인된 고인돌은 장...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 상매정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매정리 상매정 고인돌 떼는 이양면 매정리 282에 위치한 밭 가운데 있는 2기의 민묘 주변에 6기의 고인돌이 북서·남동 2열로 분포되어 있다. 매정리 상매정 마을 고인돌 군은 보존 상태가 불량하여 하부가 매몰되어 있거나 상석이 기우려져 확인된다. 지표상에 확인된 고인돌은 장...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를 중심으로 세거하는 죽산 안씨 집성촌. 매정리는 본래 매화정이라 부르는데 마을 뒷산 형세가 매화 형국이라 한다. 죽산 안씨 안익지(安益之)[1608~1678]를 입향조로 하여 세대를 이어오는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 집성촌이다. 1628년(인조 6) 무렵 안익지는 보성군 우산리에서 분가하여 능주목 도림면 매정리로 입향하여...
-
조선 후기 화순에서 활동한 문인. 본관은 진주. 자는 맹경(孟警), 호는 백파(白波). 김시춘(金始春)의 손자이고, 수락재 김응복(金應福)의 아들이다. 김재탁(金再鐸)[1776~1846]은 효성이 깊어 부모의 상에 몸소 시묘(侍墓)를 하였다. 어려서 남애(南厓) 정지로(鄭至老)에게 배우고, 1827년(순조 27)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다. 온면당(穩眠堂)을 중건하여...
-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북면 맹리는 자연 마을인 맹촌(孟村)·월곡(月谷)으로 구성되어 있다. 맹리의 지명은 맹촌 마을에서 유래하였다. 맹촌 마을은 처음에는 마을을 의미하는 마을골·말골·마골·맏골로 불리다가 후에 한자로 표기하면서 맏 맹(孟)자를 취하여 맹리(孟里)라 한 것으로 보인다. 마을 이름과 관련되어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이월 초하룻날 행하는 풍속. 화순 지역에서는 2월 초하룻날이 되면 “머슴들이 썩은 사내끼[새끼줄]를 가지고 산에 목매달려 올라간다.”는 말이 있다. 이때부터가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날은 콩을 볶아 먹기도 하고, 노래기를 쫒는 등 다양한 풍속이 행해진다. 이월 초하루는 중화절이라 하여 임금이 대나무나 향나무로 만든...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 일원에서 일제 강점기 당시 추었던 흥 풀이 춤. 덧배기 춤은 능주천[충신강]의 영벽정(映碧亭)과 송석정(松石亭)에서 추던 춤으로, 굿거리장단과 살풀이장단에 맞추어 일정한 형식 없이 흥 풀이로 행했던 춤이다. 이 춤은 조종언(曺鐘言)[1871~?, 조웅석의 큰할아버지]이 가장 잘 추었다고 한다. 덧배기 춤의 특징은 춤사위가 크고...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메기를 주재료로 하여 채소를 넣어 끓인 탕국. 메기탕은 잘 손질한 메기와 시래기, 채소류를 넣고 살이 물러질 때까지 삶은 다음 마른 고추, 다진 마늘, 다진 양파, 다진 생강 등의 양념장을 넣고 끓여 만드는 국이다. 국은 어패류나 채소류 등을 넣고 끓인 국물 요리이다. 곰에서 찌개와 국으로 분화되어 발달되었으며, 찌개는 국보다 국물이 적고 건더기가 많...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에서 주춧돌을 놓을 때 땅을 메로 치면서 부르는 노래. 메소리는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에서 전승된 민요이다. 집터를 다듬고 주춧돌을 놓으면서 땅을 메로 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집을 짓는 과정에서 불리우는 집짓기 노래의 하위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집터를 다지기 위해서 지경다지기 노래를 부르지만 주춧돌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주춧돌 놓을 터를 다지는...
-
1947년 5월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사평리에서 노동자와 농민들이 메이 데이[노동절] 기념식을 하던 중 경찰의 급습으로 다수가 체포되었던 사건. 미군정기 화순군에서의 좌익 활동은 1946년 10월 30일 화순 탄광 파업이 시작되며 극에 달했다. 11월까지 이어진 파업 중에 전라남도 각지에서는 크고 작은 시위가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났다. 이른바 11월 봉기가 발생한 것이다. 11월...
-
전라남도 화순군의 13개 읍면에서 면민의 화합과 결속을 위해 개최되는 행사. 화순군의 13개 읍면에서 면민들의 화합과 우의를 다지기 위해 읍면별로 특정한 날을 정하여 ‘면민의 날’ 또는 ‘읍민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화순군 체육회 주최로 1961년 4월에 개최된 제1회 군민 체육 대회는 읍면 대항 축제였다. 이후 형편상 개최하지 못하다가 19...
-
조선 후기 화순 지역에 입향한 문신. 본관은 흥덕(興德). 자는 면부(勉夫), 호는 일심재(一心齋). 안경공(安敬公) 장연우(張延祐)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사직(司直) 장몽량(張夢良)이며 부인은 보성 선씨(寶城宣氏)이다. 장희성(張希聖)[1558~1613] 충청도 공주(公州) 유구리(維鳩里)에서 출생하였으며, 천성이 강직하고 바르며 재주가 명민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
조선 전기 화순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도숙(道肅), 호는 면수재(勉修齋). 강성군(江城君) 문익점(文益漸)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경숙공(敬肅公) 문상행(文尙行)이고, 아버지는 문목(文穆)이며, 어머니는 여산 송씨(礪山宋氏) 송양승(宋良升)의 딸이다. 문자수(文自修)[1420~?]는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여 6세에 효경에 능통하고, 문사(文詞)가 부섬...
-
조선 후기 동복 현감을 지낸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이고, 자는 명보(明甫),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1591년 동복현감을 지냈고, 익산 군수, 충청도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 순절하였다. 황희(黃喜)의 5세손이고, 지중추부사 황사효(黃事孝)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부사직 황개(黃塏)이고, 아버지는 증좌의정 황윤공(黃允恭), 어머니는 방씨(房氏)이다....
-
조선 후기 이인좌의 난 때 활약한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명여(明汝), 호는 죽계(竹溪). 모봉(茅峯) 박지수(朴枝樹)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박태빈(朴泰彬)이다. 박상철(朴尙喆)[?~?]은 『손자 병법(孫子兵法)』과 『오자 병법(吳子兵法)』을 습득하였다고 한다. 1728년(영조 4)에 발생한 무신난(戊申亂)[이인좌의 난] 때 의병을 모집하여 난을...
-
조선 후기 화순에서 활동한 의병장. 본관은 제주, 자는 명우(明宇)이다. 할아버지는 양팽손(梁彭孫)이고,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양응필(梁應畢)이다. 양산욱(梁山旭)[1551~1606]은 임진왜란 때 화순의 유위장(留衛將)으로 단양역까지 진군하여 창의사 김천일(金千鎰), 의병장 최경회(崔慶會)에게 인솔해 간 군졸을 귀속시키고 군량을 실어 보내는 등 왜군 격퇴의 일익을...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고유의 명절에 만들어 먹는 음식. 명절은 일 년을 보내면서 일정하게 지키어 즐기거나 기념해야 하는 날을 정한 것이다. 이는 정착 생활을 시작한 농경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매년 반복되는 주기성을 갖고 있다. 역사적으로 명절로 여기는 절기의 수가 시대에 따라 다르게 전승되어 왔고 현재는 설과 추석을 가장 대표적인 명절로 본다. 명절 음식은 기풍(祈豊), 제...
-
조선 후기 이괄의 난 진압 때 활약한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명진(明眞), 호는 월포(月圃). 아버지는 참의(參議) 김극복(金克福)이다. 의병 활동을 함께 했던 김완(金完)은 재종형(再從兄)이다. 김식(金湜)[?~?]은 1582년(선조 15)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다. 1624년(인조 2)에 발생한 이괄의 난 때 창의(倡義)하여...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차리에 있는 이경덕을 기리기 위해서 세운 누정. 원래 명학정 있던 자리는 이경덕(李敬德)[1765~1838]의 유허지인데, 그의 손자 이지무(李枝茂)[1857~1912]가 할아버지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건물을 세웠다. 자는 성보(聖甫), 호는 덕암(德庵)이다. 명학정에는 현재까지 세 편의 제영시가 전해오고 있는데, 이지무가 지은 원운은 다음과 같다...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차리에 있는 명학정을 짓고 이지무가 읊은 한시. 「명학정을 짓고서」의 작가 이지무(李枝茂)는 전라남도 화순군 출신으로, 본관은 공주, 자는 영일(永日), 호는 옥산(玉山)이다. 공숙공(恭肅公) 이명덕(李明德)의 후손이며, 야은(野隱) 이문수(李文洙)의 아들이다. 이지무의 구체적인 생몰 연도와 활동 사항 등은 알 수 없지만 면암(勉庵) 최...
-
임진왜란 시 순절한 화순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무중(茂仲), 호는 모봉(茅峰). 밀양군(密陽君) 박중손(朴仲孫)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찰방 박영걸(朴永傑)이고, 아버지는 사맹공(司猛公) 박억서(朴億瑞)이다. 박지수(朴枝樹)[1552~1593]는 자질이 빼어나고 일찍부터 강개한 뜻이 있었으며, 1580년(선조 13) 별시(別試) 문과에 병과(丙科)...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는 모산(牟山)·도산(道山) 2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모산리의 지명은 모산 마을의 모(牟)자와 도산 마을의 산(山)자를 각각 취하여 명명되었다. 1593년 안방준[1573~1654]이 이 고을에 와서 마을 형태가 소가 누워있는 형국 같다고 해서 모산리라 불렀다고 전해 온다. ‘모산...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에 있는 신라 시대 기와 가마터. 모산리 가마터의 위치는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 588·591로 현재 화순~능주 간 도로 중 공림사지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1999년 5월 11일부터 2000년 9월 15일까지 전남 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화순-능주 간 도로 확장·포장 공사 구간 발굴 조사에서 모산리 가마터가 발굴되었다....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모산리 고인돌 떼는 모산 마을과 금전 마을에 있다. 모산 마을 고인돌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서 능주 2교를 지나 죽수 서원으로 들어가는 길 좌측의 논 가운데와 모산 마을에서 하천 건너편으로 금전 마을 앞 경지 정리에서 제외된 정지등이라 부르는 곳에 있다. 금전 고인돌은 금전 교회 뒤쪽...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모산리 고인돌 떼는 모산 마을과 금전 마을에 있다. 모산 마을 고인돌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서 능주 2교를 지나 죽수 서원으로 들어가는 길 좌측의 논 가운데와 모산 마을에서 하천 건너편으로 금전 마을 앞 경지 정리에서 제외된 정지등이라 부르는 곳에 있다. 금전 고인돌은 금전 교회 뒤쪽...
-
근대 화순 출신의 학자.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경오(敬五), 호는 모암(茅巖). 면수재(勉修齋) 문자수(文自修)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묵헌(默軒) 문병환(文炳煥)이고, 어머니는 죽산 안씨(竹山安氏)이다. 문재희(文載熙)[1868~1941]는 타고난 자질이 강직하고 명백하며, 총명과 지혜가 뛰어났다. 7세에 능히 문자를 알았으며, 면암 최익현(崔益鉉)에게 나아가서 의...
-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활약한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인동(仁同)이고, 자는 운경(雲卿). 호는 모의당(謀義堂)·미달당(未達堂). 충헌공(忠獻公) 장정필(張貞弼)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장경흡(張景洽)이다. 장익(張翼)[?~?]은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삼호(三湖) 최명해(崔鳴海) 등 같은 고을의 여러 선비들과 창의하였다. 청주(淸州)까지 북상했으...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일대에서 전해지는 효자에 관한 이야기. 「보암리 효자 이야기」는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보암리에서 어머니를 지극히 봉양하였던 정자근노미의 효행담이다. 1981년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발행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에 「효자 정자근과 적벽」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보암리 효자」라는 제목으로...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의병이자 문인.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구보(懼甫), 호는 모재(慕齋). 정여해(鄭汝諧)의 현손이고, 아버지는 내자시주부(內資寺主簿) 정천구(鄭天球)이고 어머니는 남평 문씨(南平文氏) 문탁(文倬)의 딸이다. 정열(鄭悅)[1575~1629]은 임진왜란에 김천일(金千鎰)·송제민(宋齊民)·양산숙(梁山璹)·임환(林懽) 등과 함께 창의하여 의병과 군량을...
-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활약한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유(伯由) 호는 모재(慕齋). 완창 대군(完昌大君)의 9대손이며 순양군(順陽君) 이석공(李石公)의 고손(高孫)이고, 아버지는 임진왜란 때 거의(擧義)한 이사종(李嗣宗)이며 어머니는 남평 진씨(南平陳氏)로 주부(主簿) 진복흥(陳復興)의 딸이고 부인은 나주 오씨(羅州吳氏) 오진남(吳進男)의 딸이다....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짚이나 새 따위로 이은 마을의 정자로 사람들이 쉴 수 있도록 지은 건물. 모정은 누정(樓亭) 문화의 한 형태이다. 여기서 누정은 누각(樓閣) 또는 누대(樓臺)와 정자(亭子)가 결합된 말로, 일반적인 살림집 주거가 아닌 별도의 공간에 지은 건조물이다. 다시 말해 ‘누각’이란 규모가 크고 사방이 탁 트이게 높이 세운 다락집이고, ‘정자’는 이에 비해 그...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에 있는 모호산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모호산 유래」는 동복 가관(假官)이었던 김성원이 정유재란 당시 노모와 처자를 데리고 피난을 가던 중 왜놈을 만나 격투를 벌이다 최후를 맞이한 후 후세 사람들에 의해 산의 명칭이 모호산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산악 유래담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모후산 유래...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과 남면, 전라남도 순천시와의 경계에 있는 산. 전라남도 화순군의 중동부에 위치하며 화순군 동복면과 남면, 순천시 주암면과 송광면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산세가 웅장하고 수려하다. 모후산은 섬진지맥 중 제7지맥의 한 봉우리로 백아산의 산줄기를 타고 내려와 동복천을 앞에 두고 멈춰 선 곳이다. 주암댐이 보이고 무등산·조계산·백아산 등이 조망...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모후산 일대에서 생산되는 고로쇠 수액. 고로쇠나무는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전라남도 장성군 백암산, 광양군 백운산, 구례군 지리산 등 큰 산 자락에 주로 군락을 이루고 있다. 화순군에서는 사평면 소재 모후산에 고로쇠나무가 다수 식생하고 있으며, 백아산에서도 식생하고 있다. 삼국 시대부터 지리산 일대에서 주민들이 하늘과 산에 안녕과 풍년을 기...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에 있는 생태 숲 탐방로. 모후산 명품 숲길은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고려 인삼 시원지인 사평면 유마리 모후산에 연인원 5만 2000명을 동원해 숲 가꾸기를 실시하고 조성한 4.5㎞의 생태 탐방로이다. 모후산 명품 숲길은 화전으로 황폐화되었던 불모지를 복구하여 조림(造林)한 숲이다. 약 50년 된 편백나무·삼나무·소나무 외에 참나무·단풍...
-
오지호(吳之湖)[1905~1982]는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출신의 서양화가이다. 본관은 동복 오씨로 호는 모후산인(母后山人)이고 본명은 점수(占壽)이다. 1905년 12월 24일 한말에 보성 군수를 지낸 오재영(吳在永)과 김선군(金宣君) 사이에서 태어났다. 오지호는 1912년까지 서당에서 한학을 배웠으며, 1913년 동복 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192...
-
전라남도 화순 출신의 서양화가. 본명은 점수(占壽), 호는 모후산인(母后山人). 아버지는 한말 보성 군수를 지낸 오재영(吳在永)이고 어머니는 김선군(金宣君)이다. 서구의 인상주의 회화 양식을 추구하며 빛과 색이 이루어내는 자연을 맑고 밝은 색채로 그려냈다. 오지호는 서구의 인상주의를 한국적 풍광과 정감으로 토착화시킨 화순 출신의 대표적인 서양화가이다. 오지호(...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절산리에 있는 활터. 모후정은 화순군 사평면 지역민의 궁도 활동을 도모하고자 마련된 궁도장이다. 모후정은 사평면 지역 주민과 화순 군민의 궁도 발전을 도모하고자 건립되었다. 모후정은 본래 화순군 사평면 사평리 다리 인근에 사장(射場)을 개설하였는데, 비가 많이 오면 수몰되어 궁도 활동에 지장을 주었다고 한다. 이에...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나무를 주재료로 하여 만드는 공예품. 화순의 공예품은 옛 기록으로 보면 도자기, 돗자리, 부채, 목공예가 있었다. 이중 목공예 부분에는 송추만[1903~1991]이 있었다. 송추만은 화순군 동복면 천변리 출생으로 보통학교 시절에 아버지의 일을 도운 것이 계기가 되어 평생을 목공예로 보내게 되었으며, 1984년 중요 무형 문화재 제55호 소목...
-
전라도 화순군의 지방관. 지방관은 중앙에서 지방을 통치하기 위해 왕이 임명하여 지방으로 보낸 관리이다. 화순 지역은 고려 시대 주현인 능성현에 현령이 파견되었고, 동복현과 화순현에 감무가 파견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능성, 동복, 화순 모두 현이었지만, 능성은 종5품의 현령이 파견되었고 동복과 화순은 종6품의 현감이 파견되었다. 능성은 인조 때에 목으로 승격되어 정3품의...
-
조선 후기 정유재란 때 주인을 따라 죽은 화순 출신의 충노(忠奴). 목산(木山)[?~?]은 하대붕(河大鵬)의 노(奴)이다. 정유재란 때 하대붕의 부인인 오씨(吳氏)가 하대붕이 왜병에 포로로 잡혔다는 소식을 잘못 전해 듣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에 목산은 “외주(外主)는 피로(被擄)되었고, 내주(內主)는 스스로 목숨을 끊으니 내 어찌 혼자 살겠는가.”하고 주인을 따라...
-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 옥리에서 고려 왕족인 왕씨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목이 잘린 황새 바위 이야기」는 고려의 왕족인 왕씨가 온갖 세도를 부리던 중 집에 찾아온 노승을 박대하여 황새 바위의 목을 자르고 망하게 되었다는 신앙 전설로 풍수와 관련된 이야기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목이 잘린 황새바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 옥리에서 고려 왕족인 왕씨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목이 잘린 황새 바위 이야기」는 고려의 왕족인 왕씨가 온갖 세도를 부리던 중 집에 찾아온 노승을 박대하여 황새 바위의 목을 자르고 망하게 되었다는 신앙 전설로 풍수와 관련된 이야기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목이 잘린 황새바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원화리 화남 마을에 있는 목전 바위에 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목전 바위 이야기」는 억울하게 죽은 처녀의 죽음을 밝혀낸 나주 고을 원님의 이야기로 영웅담과 지명 유래담이 합쳐진 이야기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목전 바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또한 1991년 전라남도에서 발행한 『전남의 전설』과...
-
김양기 씨는 올해로 딱 아흔이다. 도장 마을에 태를 묻고서 살아온 아흔 해 동안 할아버지의 반쪽인 구순임 씨는 장에 가서 아직 돌아오지 않는다. 추운 바람을 이고 할머니를 기다리던 할아버지는 결국 다음 버스를 기약하며 전동스쿠터를 타고 집으로 갔다. 김양기 씨를 만난 날, 겨울을 재촉하는 찬바람이 세차게 불었고 그날 도장 마을은 막바지 추수로 텅 빈 듯했다....
-
개항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몽뢰(夢賚), 호는 사월헌(沙月軒). 집의(執義) 민회참(閔懷參)의 9세손으로 아버지는 사복시 정(司僕寺正) 민제익(閔濟益)이다. 민상동(閔相東)은 재주가 뛰어나고 지혜가 총명하여 향시에 열 번 합격하여 문장으로 지역에 알려졌다. 죽은 뒤 학행이 빼어나다고 하여 도신의 계로 1869년(고종 6) 동몽 교관으로 제수하였...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과 이서면과 동복면을 연결하는 고개. 묘치는 화순군 동면 북쪽 경치리에서 화순군 이서면 서리로 넘어갔다가 바로 화순군 동복면 읍애리로 이어지며, 국도 15호선과 합류해 통과하는 고개이다. 화순 지역 중부 내륙의 주요 도로인 남북 방향의 국도 15호선과 동서 방향의 국도 22호선이 통과하는 고개로서 교통의 요지라고 할 수 있다. 묘...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무당이 굿을 하는 과정에서 부르는 노래. 무가(巫歌)는 굿의 처음부터 끝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불린다. 굿 전체의 분량만큼 무가의 양도 많아지며 장단이 바뀔 때마다 무가의 형식도 달라진다. 무가를 장르에 따라 구분한다면 서정 무가, 교술 무가, 서사 무가, 극무가로 나눈다. 화순의 무가는 풍부한 사설과 작품성을 갖추고 있다. 굿에서 보이는 음악적 흥취나...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 자는 무경(武京), 호는 세심정(洗心亭). 두문재(杜門齋) 임선미(林先味)의 후예로, 아버지는 임낙기(林洛基)이다. 임상우(林相雨)[?~?]는 재주와 행실이 뛰어나서 도내 선비들이 예조에 천거하여 1834년(헌종 즉위년)에 건원릉(健元陵) 참봉과 같은 해 돈령부 도정을 지냈다. 「도솔산 대참사 고사(兜率山大懺寺古寺)...
-
전통적으로 무당을 배출하고 무속을 계승한 전라남도 화순 지역 세습 무당들의 관계와 계보. 전라남도 화순 지역은 전통적으로 세습무 활동이 활발했던 곳이다. 특히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은 세습 무계(巫系)의 활동이 활발한 곳으로 유명하다. 조씨, 공씨, 안씨 무계를 비롯해 여러 성씨들이 지역 기반을 갖고 무업에 종사해왔다. 얼마 전까지도 세습무의 활동이 많았으나 지금은 박정...
-
전라남도 화순이 배출한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문관과 무관 문무 관인이란, 문관이나 무관을 역임한 관인을 말한다. 고려나 조선 시대의 관직 운영은 크게 문관과 무관의 두개의 반열을 두었고, 이를 합쳐 양반이라 불렀다. 조회 시에 국왕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문반, 서쪽에는 무반이 정렬하였기 때문에 이를 동반 혹은 서반이라 부르기도 했으며, 이런 제도는 고려에서부터 비...
-
전라남도 화순 지역의 무속 의례에 사용되는 의례 도구. 호남 무속 권역인 화순굿은 정통 세습무가 활동하던 지역이다. 그러한 영향으로 인해 무당이 소지하는 무구(巫具)는 소수에 불과하며, 그 보다는 의례를 위해 제작하는 무구의 숫자가 많다. 또한 일상 용구가 무구로 전용되어 일시적으로 종교적인 성격을 띠기도 한다. 무구에는 신칼과 정주가 있다. 신칼은...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 서식하는 개구리목 무당개구리과에 속하는 양서류. 무당개구리는 무당개구리과[Discoglossidae]에 속하는 한 속으로,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일대에 분포한다. 무당개구리는 몸길이가 약 4~5㎝ 정도이며 보통 연못에서 생활한다. 등을 비롯한 윗부분은 어두운 녹색과 검은색이 섞인 얼룩무늬가 있고, 배 부분은 붉은색과 검은색이 섞인 얼룩무늬가 있어서...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과 광주광역시 동구와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에 걸쳐 있는 산. 무등산은 화순군 이서면과 광주광역시 동구,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동경 126°06′~127°01′, 북위 35°06′~35°10′에 위치한다. 높이는 1,187m이며, 면적은 30.23㎢[광주광역시 27.03㎢, 전라남도 3.20㎢]이다. 북쪽의 나주 평야와...
-
전라남도 화순군과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담양군에 걸쳐 있는 국립 공원. 무등산[1,187m]은 화순군과 광주광역시 및 담양군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무악(武岳)·무진악(武珍岳)·서석산(瑞石山)·입석산(立石山)이라고도 한다. 무등산 국립 공원의 총 면적은 예전 도립 공원 지정 면적 30.2㎢의 2.5배 규모인 75.4㎢로, 여기에서 화순군 지역에 속하는 부분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와 광주광역시 동구 용연동 일대 무등산 정상부와 주변 산정부 주변에 있는 기둥 모양의 바위들. 무등산을 오르면서 가장 많이 찾고 회자되는 것이 기둥 모양의 바위들이다. 서구에서는 ‘오르간 파이프’라고 부르지만 우리는 서석대·입석대로 부른다. 모두 주상 절리(柱狀節理)라는 기둥 모양의 지형을 가리키는 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특별자...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서태리에 있는 골프장. 동광 레저 개발 주식회사가 건설하여 회원제로 운영하고 있는 골프장이다. 무등산 컨트리클럽은 총면적 1.58㎢[47만 6669평]에 27홀 회원제 골프장으로 모든 홀에서 무등산을 조망하면서 라운딩을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국의 세계적 골프 코스 디자이너 데이비드 데일(David M. Da...
-
무등산 규봉암 아래 영평리에서 시작하여 이서천을 따라 동쪽으로 가면 야사리가 있고, 동북쪽으로 창랑리가 있는데, 주로 이 세 마을에서 실학자들이 활동하였다. 그 중 중간에 위치한 야사리 야사 마을은 조선 후기 실학자 나경적(羅景績)과 규남(圭南) 하백원(河百源)[1781~1844]의 출신지로서, 실학 마을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 나경적은 서양식 시계인 자...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주사에 있는 석탑. 운주사는 한 계곡에 수많은 석불과 석탑이 무리지어 있다는 점이나 토속적인 조형성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신비스러운 곳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처럼 운주사는 워낙 신비스러운 사찰인지라 석탑의 건립 배경이나 건립 연대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가 있다. 양식적으로 보면 운주사의 석탑은 대부분 고려 중기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
조선 후기 동복 현감을 지낸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이고, 자는 명보(明甫),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1591년 동복현감을 지냈고, 익산 군수, 충청도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 순절하였다. 황희(黃喜)의 5세손이고, 지중추부사 황사효(黃事孝)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부사직 황개(黃塏)이고, 아버지는 증좌의정 황윤공(黃允恭), 어머니는 방씨(房氏)이다....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굿을 연행할 때 무녀가 입는 옷.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굿을 주도하는 무녀(巫女)와 보조하는 무녀가 입는 무복(巫服)은 기본으로 입는 백색 한복 치마저고리와 그 외에 추가로 입는 고깔과 백색 장삼(長衫), 남색 전복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호남 지역의 세습 무녀는 기본적인 전통 한복 치마저고리 외에도 불교 복식이면서 무복의 역할을 하는 장...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유석(類碩), 호는 무사재(無邪齋)·관수재(觀水齋). 박영주(朴永柱)[1803~1874]는 한평생 가난하였고 세 아들이 앞서 죽어 불우하였다. 그러나 학문은 고명하고 실천이 독실하였으며 의리(義理)를 매우 치밀하게 분별하였다. 일찍이 송치규(宋穉圭)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는데, 송치규는 늘 “나를 일깨워 주는 사람”이...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에 있는 우석(愚石) 이진백(李鎭白)이 강학하던 정사. 누정은 건립 주체에 따라 지방 관아에서 필요에 따라 지은 관가의 누정과 향리의 사족이나 벼슬하던 사대부들이 사사로이 경영하는 사가의 누정으로 구분한다. 사가의 누정은 건립자의 의도에 따라 그 쓰임을 달리하였는데, 소요음영(逍遙吟詠)을 위한 별서 역할을 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 밖에 강학...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무당을 중심으로 민간에 전승되는 민속 신앙. 세시 풍속으로 자리 잡은 정월의 액막이 등의 세시 의례와 인간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삶의 전 영역에서 펼쳐지는 무속 의례들을 통칭해서 무속 신앙이라고 한다. 무속 의례를 주관하는 무당은 성격에 따라 조상 대대로 이어받은 세습무(世襲巫)와 신 내림을 받은 강신무(降神巫)로 구분한다.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는...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무숙(茂叔), 호는 삼괴(三愧). 양도공(襄度公) 이천우(李天祐)의 후예이며, 아버지는 충의위(忠義衛) 이제(李濟)이다. 이상회(李相檜)[1679~1748]는 어려서부터 자질이 아름다웠고 실덕(實德)을 근본으로 삼아 영화(榮華)를 추구하지 않았다. 성장하여 송시열(宋時烈)의 학통을 이은 손재(遜齋) 박광일(朴光一)...
-
전라남도 화순이 배출한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문관과 무관 문무 관인이란, 문관이나 무관을 역임한 관인을 말한다. 고려나 조선 시대의 관직 운영은 크게 문관과 무관의 두개의 반열을 두었고, 이를 합쳐 양반이라 불렀다. 조회 시에 국왕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문반, 서쪽에는 무반이 정렬하였기 때문에 이를 동반 혹은 서반이라 부르기도 했으며, 이런 제도는 고려에서부터 비...
-
1498년 훈구파(勳舊派)가 사림파(士林波)를 정치적으로 탄압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 훈구파는 성종 때 이후 등장한 신진 정치 세력인 사림파에 대비되는 용어이며, 세조의 왕위 찬탈 과정에서 공을 세워 정치 권력을 장악한 정치 집단을 말한다. 이들은 조정의 요직을 차지하고 세조 대에서 성종 대까지 여러 가지 관찬 사업(官撰 事業)에 큰 공헌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국가로부터 공신전...
-
고려 후기 화순 출신의 승려. 자는 영을(永乙), 자호는 무의자(無衣子). 아버지는 최완(崔琬)이며, 어머니는 배씨(裵氏)이다. 속명은 최식(崔寔)이다, 혜심(慧諶)[1178~1234]은 1201년(신종 4) 사마시에 합격한 후 태학에 들어가서 입신출세의 길에 들어섰으나 어머니 병환 때문에 고향에 되돌아와 족형 배광한(裵光漢)의 집에 머물며 간병하였다. 부친이 일찍 사망...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승려. 자는 무이(無二), 법호는 연담(蓮潭). 속세의 성은 천씨(千氏)이다. 유일(有一)[1720~1799]은 화순군 적천리에서 태어났다. 『통감』·『대학』·『맹자』·『중용』 등 유가 경전을 공부하였다. 1737년 18세에 승달산 법천사(法泉寺)의 성철(性哲)을 따라 출가하였고, 이듬해 안빈 노사(安賓老師)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
임진왜란 시 순절한 화순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무중(茂仲), 호는 모봉(茅峰). 밀양군(密陽君) 박중손(朴仲孫)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찰방 박영걸(朴永傑)이고, 아버지는 사맹공(司猛公) 박억서(朴億瑞)이다. 박지수(朴枝樹)[1552~1593]는 자질이 빼어나고 일찍부터 강개한 뜻이 있었으며, 1580년(선조 13) 별시(別試) 문과에 병과(丙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