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있는 사회 운동 단체. 바르게 살기 운동 화순군 협의회는 정직한 개인, 더불어 사는 사회, 건강한 국가를 만들어 가는 국민정신 운동인 바르게 살기 운동을 화순군에서 전개하는 단체이다. 진실·질서·화합의 3대 이념을 바탕으로 올바른 사회와 국가 만들기 운동을 위한 전회원의 일심단결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바르게 살기 운동을 통해 선진 국...
-
전라남도 화순군에 있는 인터넷 불교 신문. 인터넷을 이용하여 대중들에게 불교를 알리고 소식을 전하고자 2011년 12월 7일 창간했다. 인터넷을 통해 불교와 전라남도 화순군 지역 뉴스를 제공한다. 홈페이지 상단에 ‘뉴스 광장’, ‘불교 소식’, ‘불교 학당’, ‘법문·염불’, ‘시마당’, ‘사찰/단체’, ‘역사/전설’, ‘독자 마당’, ‘인명사전’ 등의 메뉴가 있다. ‘...
-
개항기 화순 출신의 가야금의 명인. 박경식(朴京植)[?~?]은 박경석(朴景錫)으로도 알려졌다. 가야금 산조 및 풍류의 명인인 한수동(韓壽童)에게 가야금을 사사했다. 1930년대 화순의 토반(土班)으로 거부였던 오판기(吳判基)가 집안에 풍류방을 꾸며놓고 많은 악사를 불러들여 즐겼는데, 이를 오판기 풍류방이라 한다. 이방의 풍류객으로 박경식(朴京植), 정남옥(鄭南玉), 한수...
-
개항기 화순 출신의 가야금의 명인. 박경식(朴京植)[?~?]은 박경석(朴景錫)으로도 알려졌다. 가야금 산조 및 풍류의 명인인 한수동(韓壽童)에게 가야금을 사사했다. 1930년대 화순의 토반(土班)으로 거부였던 오판기(吳判基)가 집안에 풍류방을 꾸며놓고 많은 악사를 불러들여 즐겼는데, 이를 오판기 풍류방이라 한다. 이방의 풍류객으로 박경식(朴京植), 정남옥(鄭南玉), 한수...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출신의 판소리 명창. 박기채(朴基彩)[1911~?]는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에서 태어났다. 보성 소리의 대부인 정응민의 수제자로 정응민의 문하생 가운데 박춘성과 함께 가장 먼저 소리를 배웠다고 전해진다. 박기채는 판소리 5바탕을 두루 잘 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심청가」와 방아소리가 장기였다. 박기채의 애절한 계면조의 성음은 많은 청중들의...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장동리 출신의 국악인 박농월(朴弄月)[1922~?]은 화순군 동면 장동리에서 태어나 광주광역시 남도 권번에서 기예를 닦았으며, 면모가 아름답고 품행이 방정하였다. 전라남도 화순군 출신인 박기홍 문하에서 15세인 박송희와 함께 단가 「뒷동산」, 「인호상이」, 「만고강산」 그리고 「흥보가」 중 ‘흥보 쫓겨나는데’, ‘흥보 집터 잡는데’, 「심...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마산리 출신의 국악인 박농주(朴弄珠)[1925~?]는 품행이 단정하고 예의가 바르다고 하여 주위의 존경을 받았다. 목포 권번에서 승무와 고법을 가르치던 명무이자 명고수인 이대조에게 소리를 배웠으며, 판소리 다섯마당 가운데 「심청가」와 「춘향가」를 잘했다. 1953년 박농주는 국악인 조정애에게 박정자를 소개받아서 「유관순전」을 가르쳤다. 현...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한계리에 있는 조선 시대 부농의 가옥. 박병옥 가옥은 한천 마을 입향조 박유(朴瀏)[1627~1675]의 아들인 박헌가가 건립한 가옥이다. 함양 박씨 박유는 1658년경 보성군 미력면 반룡 마을에서 처가인 이곳 한천 마을에 정착하였고 지금도 이 마을에는 그의 많은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다. 현 소유자 박병옥은 박헌가의 9대손이다....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교리 출신의 국악인. 박봉선(朴鳳仙)[1917~?]은 화순군 화순읍 교리에서 태어났다. 명창 박초선과 사촌간이며 강남중과 살았다 한다. 박동실에게 판소리를, 김종기에게 가야금을 배웠다 고 전한다....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강정리에서 살았던 박 부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박 부자와 개 이야기」는 박팔만이라는 부자가 집에서 키우던 개가 밤마다 짖는 이유를 알지 못해 죽이고 후원에 있던 구렁이를 죽이려다 뱀에게 물려 죽은 후 그 집안 역시 망하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박 부자와 개」라는 제목으로 수...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출신의 문 장식을 전문으로 하는 장식장(裝飾匠). 박삼칠(朴三七)[1880~?]은 1880년 화순군 백아면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철 장식을 시작하였고, 문 장식 스승을 만나 기술을 터득하였다. 문에 하는 장식은 다양하여 수복 문양, 사군자 문양 등 갖가지 정교한 문양은 보는 사람들로 감탄하게 하였다. 전(殿)·각(閣)·사우(祠宇) 등의...
-
조선 후기 이인좌의 난 때 활약한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명여(明汝), 호는 죽계(竹溪). 모봉(茅峯) 박지수(朴枝樹)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박태빈(朴泰彬)이다. 박상철(朴尙喆)[?~?]은 『손자 병법(孫子兵法)』과 『오자 병법(吳子兵法)』을 습득하였다고 한다. 1728년(영조 4)에 발생한 무신난(戊申亂)[이인좌의 난] 때 의병을 모집하여 난을...
-
조선 전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박숙(博叔), 호는 동강(桐江). 할아버지는 진사 하한(河漢)이고, 아버지는 맹산 훈도(孟山訓導) 하언식(河彦湜)이며, 부인은 동복 오씨(同福吳氏)이다. 하대붕(河大鵬)[1533~1605]은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였으며, 문장이 넉넉하고 행의(行義)가 독실하였다. 1585년(선조 18)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
-
개항기 화순 출신의 국악인이자 무용인. 박영구(朴永求)[?~?]는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훈리 출신이다. 남도 검무의 일인자로 알려졌으며 호남 국악계의 대표적 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검무 이외에도 승무 등 무용에 능했으며 대금·양금·가야금 등의 악기에도 조예가 깊었다. 광주 남정 권번에서 후진을 양성하였는데 예절 교육과 철저한 법도를 세워 큰스승으로 존경받았...
-
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 일원에서 박영구가 추었던 대표적인 춤. 오늘날 추어지고 있는 호남 검무는 이장선·이창조·신갑도의 검무를 체계화 시킨 한진옥류 검무와 이대조·이창조의 검무를 체계화 시킨 이매방류 검무 등이 있다. 그러나 박영구가 잘 추었다는 검무는 현재 남아 있지 않아 알 수가 없다. 그러나 이매방은 박영구에게 북 가락을 배워 오늘날 이매방 승무의 법고무가 탄생되었...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유석(類碩), 호는 무사재(無邪齋)·관수재(觀水齋). 박영주(朴永柱)[1803~1874]는 한평생 가난하였고 세 아들이 앞서 죽어 불우하였다. 그러나 학문은 고명하고 실천이 독실하였으며 의리(義理)를 매우 치밀하게 분별하였다. 일찍이 송치규(宋穉圭)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는데, 송치규는 늘 “나를 일깨워 주는 사람”이...
-
일제 강점기 화순 출신의 독립 운동가. 본관은 밀양. 박원경(朴元景)[?~1928]은 일본 메이지 대학[明治 大學]을 졸업하고 프랑스를 거쳐 미국으로 건너가 미시간 대학에서 수학하고 상항 조선 회사에 입사하였으며, 서재필(徐載弼)과 함께 독립운동을 벌이다 1928년 9월 29일 사망하였다. 미국에서 발간된 『국민보』와 『신한 민보』에 따르면, 유럽을 거쳐 19...
-
근대 화순 출신의 계몽 운동가. 본관은 밀양. 호(號)는 효강(曉岡). 박원조(朴元祚)[1884~1923]는 일본 큐슈[九州] 대학을 수료하고 도쿄 메이지[明治] 대학 재학 중 노백린(盧伯麟)을 만나 교유하였다. 귀국 후 그는 비밀 결사인 화순 우국 동지회를 조직하고 노채필(盧彩弼)·안교일(安敎日) 등과 함께 1919년 3월 24일 화순 장날에 만세 시위를 계획하였으나...
-
개항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건서(建瑞), 호는 동계(東溪). 추암(楸巖) 박필혁(朴必赫)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박상태(朴相台)이고, 어머니는 남평 문씨(南平文氏)이다. 박장현(朴璋炫)[1861~1907]은 11세에 『소학(小學)』을 배워 예법에서 벗어나지 않았고, 육경(六經)과 백가(百家)의 서적을 섭렵하였으며, 몸소 농사짓고 나무하면서 음영(吟...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무관.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치삼(致三), 호는 취우당(醉愚堂). 모봉(茅峰) 박지수(朴枝樹)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박해진(朴海鎭)이다. 박종규(朴鍾圭)[?~?]는 풍채가 뛰어났으며, 작은 일에 구애되지 않았다. 고종 때 무과에 급제하여 전라 병마우후(全羅兵馬虞候)에 제수되었다....
-
임진왜란 시 순절한 화순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무중(茂仲), 호는 모봉(茅峰). 밀양군(密陽君) 박중손(朴仲孫)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찰방 박영걸(朴永傑)이고, 아버지는 사맹공(司猛公) 박억서(朴億瑞)이다. 박지수(朴枝樹)[1552~1593]는 자질이 빼어나고 일찍부터 강개한 뜻이 있었으며, 1580년(선조 13) 별시(別試) 문과에 병과(丙科)...
-
화순의 한천 농악을 이끌던 국악인. 박천한(朴天漢)[1915~1984]은 전임 상쇠인 이선일의 예능을 물려받아 대외 활동을 활발하게 하면서 한천 농악[전라남도 지정 무형 문화재 제6호]을 널리 알렸다. 가락이 항상 신명이 넘치고 쇠를 다루는 솜씨가 뛰어나 너름새가 좋고 쇠를 멋있게 잘 치던 상쇠라고 전한다. 가락이 좋고 보풀이 짓을 잘 했으며 판을 이끄는 솜씨...
-
일제 강점기 화순 출신의 가야금 산조 명인. 박춘섭(朴春燮)[1922~1955]은 화순군 화순읍 만연리에서 태어났다. 1934년 13세 때 안기옥(安基玉)에게 가야금 산조를 3년 동안 사사하였다. 16세 때부터 놀음청에 드나들며 명인으로 이름이 알려졌다. 정기석에게서 한숙구제 산조를 2년간 학습한 뒤 20세 때부터 순천 권번의 가야금 선생으로 활동했다....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학자이자 효자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성지(聖至), 호는 활효재(活孝齋). 청백리 박수지(朴遂智)의 후손이고, 보성에서 능주로 이거한 박류(朴瀏)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박태함(朴泰咸)이고, 아버지는 박사신(朴思愼)이며, 어머니는 광산 김씨(光山金氏) 김광연(金光淵)의 딸이다. 박헌가(朴獻可)[1713~1772]는 천성이 순효(純孝)하여 아버지가...
-
일제 강점기 화순 출신의 화순 탄광을 개광한 실업가. 박현경(朴賢景)[1883~1949]은 7세부터 김여빈(金汝彬) 문하에서 한학을 수학하였으며, 누이 박농선과 인척 박영효(朴泳孝)의 후원을 받으며 다양한 사업을 벌였다. 1905년 4월 5일 광업권을 등록하여 정부의 허가를 받아 1908년 채탄을 시작하였으며, 1909년 2월 탄광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해 도일하였다....
-
전라남도 화순군 출신의 경제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박현채(朴玄埰)[1934~1995]는 광주 서중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이던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화순 백아산에 입산하여 빨치산 소년 돌격 부대 문화부 중대장으로 활동하였으며, 1952년 하산하다 군경에 체포되었다. 1954년 전주 고등학교 3학년에 편입한 그는 1955년 서울 대학교 경제학과에...
-
일제 강점기 화순 출신으로 학생 운동과 건국 운동에 참여한 인물. 박형기(朴炯琦)[1909~1950]는 광주 고등 보통학교 5학년 재학 중이던 1929년 광주 학생 독립 운동이 일어나자 11월 3일과 12일의 만세 시위에 적극 참여하다 일경에 체포되었다. 1930년 2월 26일 광주 지방 법원에서 열린 재판에서 금고 4개월 집행 유예 5년을 언도받아 3개월간 옥고를 치렀...
-
조선 후기 화순에서 활동한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반계(盤溪). 충의공(忠毅公) 김문기(金文起)의 12세손이고, 덕준(德俊)의 아들이다. 김학린(金學隣)[?~?]은 성품이 순수하였고, 아우 김성린(金聖麟), 김벽린(金堛麟), 김필린(金弼麟), 김명린(金命麟), 김수린(金壽麟)과 함께 어버이를 효성으로 봉양하였다. 머리카락을 팔아 쌀을 구해 정성으로 모셨다. 어...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한천면 반곡리는 현재 신촌·오곡(梧谷)[봉동]·내원동의 3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반곡리의 지명은 반룡촌 마을의 반(盤)자와 오곡 마을의 곡(谷)자를 각각 취하여 반곡리라 하였다. 오곡 마을은 마을 뒷산이 봉황새 형국이라 하여 봉동(鳳洞)이라 하였으며 후에 봉황은 오동과 대나무가 아니면 먹지 않...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반곡리 신촌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반곡리 고인돌 떼는 한천면 반곡리 신촌 마을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두 곳에서 확인되는데, 마을 회관 뒤쪽과 전주 이씨의 묘역에 분포하고 있다. 기존에는 고인돌이 10여기가 마을 입구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경지 정리 시 매몰 또는 파괴되었고 지표면에서 확인되는 것은 두 개소에서...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반곡리 신촌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반곡리 고인돌 떼는 한천면 반곡리 신촌 마을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두 곳에서 확인되는데, 마을 회관 뒤쪽과 전주 이씨의 묘역에 분포하고 있다. 기존에는 고인돌이 10여기가 마을 입구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경지 정리 시 매몰 또는 파괴되었고 지표면에서 확인되는 것은 두 개소에서...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운영하는 각종 지원 사업 등을 안내하기 위해 화순군청에서 발간하는 홍보 자료. 화순군청에서 매월 간행하는 소식지로 화순군에서 운영하는 각종 주민 대상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있다. 2013년 5월 현재 185호까지 발행되었다. 화순군청이 매달 진행되는 반상회에서 주민 대상 각종 지원 사업을 소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간하여 각 주민...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의 비봉산 아래 발광정이란 지명과 조광조에 얽힌 이야기 「발광정과 조정암 이야기」는 기묘사화로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 유배를 와 있던 조광조에 얽힌 이야기다. 역신을 보는 능력을 지닌 조광조 덕분에 죽었던 아이가 살아났고, 그 후부터 사람들이 병을 얻으면 조광조를 찾아가 부적을 얻어 붙여두면 나았다고 하여 그와 관련된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북면 방리는 자연 마을인 양지·방촌(芳村)·새터로 이루어져 있다. 방리의 지명은 방촌 마을에서 유래하였다. 방촌 마을은 산 아래 형성되어 있어서 곶모실이라 하였는데 후에 산을 의미하는 곶이 꽃으로 와전되었고, 한자로 꽃 방(芳)을 사용하여 방촌이라 부르게 되었다. 양지 마을은 해가 비치는 양지바른 곳에...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에 있었던 시장. 이서 시장은 『호남 읍지』[1871]에 석보시(石保市)로 불리우고 있고 『동복지』[1915]에 내서면[현재의 이서면] 도석리에서 매순 4일·9일에 열린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서 시장은 장이 위치해 있던 지명을 따라 방석굴장 또는 방석보장이라고도 불렸다. 이서장이 열리던 방석보[옛 도석리]도 1984년에 지역이 수몰...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에 있었던 시장. 이서 시장은 『호남 읍지』[1871]에 석보시(石保市)로 불리우고 있고 『동복지』[1915]에 내서면[현재의 이서면] 도석리에서 매순 4일·9일에 열린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서 시장은 장이 위치해 있던 지명을 따라 방석굴장 또는 방석보장이라고도 불렸다. 이서장이 열리던 방석보[옛 도석리]도 1984년에 지역이 수몰...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의 매체를 통해 음성이나 영상을 전파로 내보내는 일. 한국 언론 재단의 『매스컴 용어 사전』에 의하면 오늘날 방송은 전파에 의한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로 이해되고 있다. 방송은 단순한 전파의 발사가 아니라 전파의 물리적 특성을 매개로 하여 인간의 가치관, 사상, 감정, 기타 제반 사회 현상을 음성, 음향, 영상으로...
-
전라남도 화순군 지역에서 전승되는 방아 타령 민요. 전라남도 화순군 지역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방아 타령이 전승되고 있다. 하나는 논매는 소리로 불리는 방아 타령이고, 다른 하나는 방아 찧는 소리로 불리는 방아타령이다. 능주면과 한천면의 논매는 소리로 방아타령이 불리고 있다. 논매는 소리로 불리는 방아타령은 주로 전라북도 지역에서 활발하게 전승되며 전라남도 경...
-
근대 화순 지역 출신의 문신. 자는 윤중(允仲), 호는 성재(醒齋). 아버지는 방환종(房煥鍾)이다. 방채규(房采奎)[?~?]는 1893년에 사헌부 감찰을 거쳐 한말에 동복군 주사(主事)를 지내며 ‘성옹정(醒翁亭)’이라는 별서를 경영하였다. 1908년, 1909년 두 차례나 항일 의병들의 습격을 받기도 하였으며 1914년 조선 총독부에서 목배(木杯)를 수여받았다. 1939...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장동리 우평 마을에 있는 선돌. 우평 마을에서는 선돌 2기를 액운을 막아 주는 돌이라는 의미로 ‘방풍맥이’라고 불러 오고 있다. 이 중 한국 전쟁 이후에 세운 선돌[새마을 회관 앞 선돌]을 마을에서는 ‘효녀(孝女)’ 또는 ‘열녀비(烈女碑)’라고도 칭한다. 장동리 우평 선돌이 우평 마을에 2기가 있다. 현재 선돌의 위치는 1기는...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장동리 우평 마을에 있는 선돌. 우평 마을에서는 선돌 2기를 액운을 막아 주는 돌이라는 의미로 ‘방풍맥이’라고 불러 오고 있다. 이 중 한국 전쟁 이후에 세운 선돌[새마을 회관 앞 선돌]을 마을에서는 ‘효녀(孝女)’ 또는 ‘열녀비(烈女碑)’라고도 칭한다. 장동리 우평 선돌이 우평 마을에 2기가 있다. 현재 선돌의 위치는 1기는...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밭을 매면서 부르는 노래. 화순군은 전남의 중앙부에 위치한 내륙의 산악지대이다. 무등산의 지맥으로 동북부에 백아산, 옹성산, 천운산, 오악산이 자리하고 서북부에 고연산, 앵무산이 자리하며, 서남부에 화학산, 천태산, 봉황산 등이 사방으로 솟아있어 능주평야를 제외하고는 첩첩산중이 많다. 그래서인지 화순에는 논농사를 지으며 부르는 논농사요 보다...
-
조선 시대 화순에서 활동한 효자. 부모에게 효도하고 십호정(十皓亭)을 지어 고을 사람들에게 학문을 권하니 고을에서 천거를 받았다. 본관은 달성(達城). 자(字)는 중초(重初). 배을서(裵乙瑞)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배서(裵恕)이다. 배경복(裵景復)[?~?]은 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에 대한 우애가 지극하였다. 부모님께 병이 생기자 정성을 다하여 보살폈다. 부모님의 상(喪)...
-
조선 후기 화순에서 활동한 문인.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유선(由善), 호는 후송(後松). 충간공(忠簡公) 배문우(裵文祐)의 후예이고, 아버지는 참봉 배윤덕(裵允德)이다. 배경생(裵慶生)[?~?]은 기골(氣骨)이 크고 재주가 명민하였다. 정구(鄭逑)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의리(義理)를 강구하였다. 1618년(광해군 10)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고 1624년(인조...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邱). 자는 재이(載而), 호는 제강(霽江). 교관 배상진(裵尙紾)의 후손으로, 배우(裵瑀)의 증손이고, 할아버지는 배찬선(裵纘先)이며, 아버지는 배광진(裵光震), 어머니는 오정숙(吳廷肅)의 딸이다. 배경후(裵慶垕)[1680~?]는 효도하고 우애함이 독실하였으며, 종족과 인척을 구휼하였고, 홀로 있을 때에도 여럿이 있는 것과...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여옥(如玉), 호는 천은(川隱). 충간공(忠簡公) 배문우(裴文祐)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배수철(裴壽鐵)이고 아버지는 배응인(裴應絪)이다. 배구(裵玖)[1569~1640]는 사림의 천거로 사옹원 참봉을 제수받았다. 병자호란이 일어난 1636년(인조 14)에 조수성(曺守誠)과 함께 창의하여 화순 지역에서 병사 50여명...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이루어지는 배드민턴 활동과 현황. 화순군에서 배드민턴은 가장 대표적인 체육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종목에 비해 가장 많은 인원이 배드민턴 선수 및 동호회, 클럽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배드민턴 전용 구장을 비롯한 체육 시설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화순군에서는 전국 규모의 배드민턴 대회뿐만 아니라 세계 규모의 대회가 활발하게 개최되어 높...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주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대리 주암 고인돌은 산의 완만한 경사면에 마을과 함께 입지하고 있다. 주암 고인돌은 2개 지역에서 발견되었는데, 가군은 마을 내의 민가 텃밭과 대밭에 3개 군을 이루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하나의 군집을 이루고 있다. 행정 구역상 위치는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274, 277, 295번지...
-
개항기 화순 지역에 우거한 문인.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시보(時寶), 호는 관호당(觀湖堂). 할아버지는 찰방 배두유(裵斗有)이고, 아버지는 주부 배서(裵緖)이다. 배상진(裵尙紾)[?~?]은 위정 척사(衛政斥邪) 의식을 실천하여 주목을 받았다. 마침내 그 학행을 높이 평가한 순찰사(巡察使) 이영욱(李永旭)으로부터 천거되어 동몽 교관(童蒙敎官)에 제수(除授)되었으나 벼...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음력으로 정월 초하룻날이나 추석 때 조상의 묘소를 찾아가 돌보는 풍속. 설이나 추석에 조상의 묘소를 찾아 절을 하고 묘를 살펴보는 것을 말한다. 묘소가 잘 있는지 살펴보러 간다는 의미에서 ‘전묘(展墓)’, ‘상묘(上墓)’, ‘상분(上墳)’, ‘배소례(拜掃禮)’라고 하는데, 묘제(墓祭) 또는 성묘(省墓)의 의미이다. 묘소에서 간단하게 제사...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으로 호조 참판으로 증직된 인물 본관은 달성. 자는 형택(亨澤), 호는 계당(桂堂). 충간공(忠簡公) 배문우(裵文祐)의 후예로 아버지는 배응신(裵應紳)이다. 배충신(裵忠信)은 효우(孝友)가 순독한 데다 학문(學問)을 부지런히 갈고 닦으니, 향당(鄕黨)이 천거하였다. 유생들의 추천으로 가선 대부(嘉善大夫)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증직(贈)되었다....
-
근대 화순에서 활동한 학자.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사원(士遠), 호는 인산재(仁山齋). 충간공(忠簡公) 배문우(裵文祐)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의당(義堂) 배상룡(裵相龍)이다. 배현기(裵玄基)[1881~1954]는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과 월파(月坡) 정시림(鄭時林)의 문하에도 출입하여 본원을 탐구하고 성명(...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달성(達城). 충간공(忠簡公) 배문우(裴文祐)의 후손이며 유일(遺逸) 배상진(裴尙紾)의 6세손이다. 초명은 윤선(胤先)이다. 배홍립(裵弘立)[?~?]은 병자호란이 일어난 1636년(인조 14)에 청강(淸江) 조수성(曺守誠)과 함께 창의하였다. 병량미를 많이 모아서 운량관(運糧官)이 되었고, 여산회맹(礪山會盟)에서 주병 대장(鑄兵隊長)...
-
조선 전기 기묘사화로 화순 에 낙향하여 은거한 문신. 중종 때의 문신으로, 조광조의 칭찬을 받았으나 사직하고 낙향하였으며,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은거하였다. 본관은 창녕(昌寧). 호는 백서(白墅). 옥천군(玉川君) 공희공(恭僖公) 조흡(曺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시어사(侍御史) 조연(曺衍)이며, 아버지는 화순 입향조인 사의(司議) 조온(曺穩)이다. 경주인(慶州人) 이...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술(伯述), 호는 석문(石門). 문헌공(文憲公) 최충(崔沖)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최경장(崔慶長)이고, 아버지는 통덕랑 최홍유(崔弘有)이다. 어머니는 진원 박씨 박근효(朴根孝)의 딸이고 부인은 전의 이씨(全義李氏) 이근(李勤)의 딸이다. 최계헌(崔繼憲)[1590~1643]은 화순 출신으로, 재주가 남달랐고, 학...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과 능주면 일원에 백신 산업의 육성을 위해 설치된 특별 구역. 백신 산업 특구는 바이오 클러스터와 메디컬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백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백신 산업 특구는 2010년 11월 18일 옛 지식 경제부[현 산업 통상 자원부]에서 주관한 지역 특구 사업에 신규로 지정되면서, 화순읍과 능주면 일원에 총면적 98...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에 있는 산. 백아산(白鵝山)[810m]은 화순군 북동부의 백아면에 소재하고 전라남도 곡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화순군 서쪽에 있는 무등산과 멀리 동쪽의 지리산 천왕봉까지 조망될 만큼 시야가 트여 있는 산이다. 산의 암석은 호남에서는 드물게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석회암이 흰색을 띠고 있어 이것이 백아산 명칭의 유래가 되었으며, 과거 고...
-
한국 전쟁 시기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의 백아산을 근거지로 한 빨치산 활동에 대한 국군의 토벌 작전. 화순 지역은 무등산·백아산·만연산·모후산·말봉산·화학산 등 험준한 산악 지역인데다 광주 지역 인근 전라남도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어 6·25 전쟁 이전부터 군경 토벌대와 빨치산 간의 격전지가 되었던 곳이다. 6·25 전쟁 시기 유엔군의 인천 상륙 작전으로 궁지에 몰린 조...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노기리에 있는 관광 목장. 백아산 관광 목장(白鵝山觀光牧場)은 한우를 사육하는 기존의 아산 목장(鵝山牧場)에 더하여 가족 공원 성격의 관광 목장을 추가로 설립한 것이다. 백아산 관광 목장의 부지 면적은 약 9만 9100㎡이며, 목장에서 생산한 한우를 자체 소비하는 한우 전문 식당을 비롯해 눈썰매장·물썰매장·물놀이장·숙박 시설[객실 8개]...
-
한국 전쟁 시기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의 백아산을 근거지로 한 빨치산 활동에 대한 국군의 토벌 작전. 화순 지역은 무등산·백아산·만연산·모후산·말봉산·화학산 등 험준한 산악 지역인데다 광주 지역 인근 전라남도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어 6·25 전쟁 이전부터 군경 토벌대와 빨치산 간의 격전지가 되었던 곳이다. 6·25 전쟁 시기 유엔군의 인천 상륙 작전으로 궁지에 몰린 조...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노치리 백아산에 있는 산림 휴양 시설. 백아산 주능선이 남쪽을 향하여 팔을 벌린 듯이 감싸고 있는 동화 석골 계곡의 휴양 시설이다. 광주광역시의 배후 휴양지로 1996년 건립 개장하였다. 백아산[약810m]은 6·25 전쟁 때 빨치산 사단 병력이 버티던 천연 요새의 산이다. 무등산 동쪽과 차일봉, 밤실산,...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천암리에 있는 문재희의 강학소. 문재희(文載熙)[1868~1941]가 강학의 장소로 사용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자는 경오(敬五), 호는 모암(茅菴), 본관은 남평(南平)이다. 면수재(勉修齋) 문자수(文自修)의 후손이며, 묵헌(黙軒) 문병환(文炳煥)의 아들로서 최익현(崔益鉉)의 제자이다. 백암 정사는 백암사(白巖祠)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능주면 백암리는 백암동(白巖洞)·점촌의 2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백암 1리는 백운동 마을, 백암 2리는 점촌 마을이다. 백암리의 지명은 백암동 마을에서 유래되었다. 백암동 마을의 뜻은 마을 앞에 흰 바위 2개가 있어 그렇게 부른다고 전한다. 마을을 세분하면 웃샘을 이용하는 너메몰과 아랫샘을 이...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백암리에 있는 삼국 시대 무덤 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백암리의 능주천과 화순천이 합류하여 지석천을 이루는 지점에서 2㎞가량 떨어진 구릉 말단부에 위치한다. 2003년 국립 광주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고분의 존재를 확인하고 토기 편을 채집하였으며, 2005년 전남 대학교 박물관에서 측량 조사를 실시하여 직경 19m, 높이...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백암리 백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백암리 백암 고인돌 떼는 마을의 북동쪽 구릉의 남사면에 고인돌 3기, 과수원에 2기, 민묘에 1기가 위치하고 있다. 백암리 백암 고인돌은 지표상에 확인된 고인돌은 3기로서 상석의 평면 형태는 타원형이며, 장축 방향은 북동·남서이다. 상석의 길이는 270~240㎝, 너비는 21...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백암리 백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백암리 백암 고인돌 떼는 마을의 북동쪽 구릉의 남사면에 고인돌 3기, 과수원에 2기, 민묘에 1기가 위치하고 있다. 백암리 백암 고인돌은 지표상에 확인된 고인돌은 3기로서 상석의 평면 형태는 타원형이며, 장축 방향은 북동·남서이다. 상석의 길이는 270~240㎝, 너비는 21...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백암리에 있는 청동기·초기 철기 시대의 유적. 백암리 유적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백암리에 위치한다. 유적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서 능주면으로 이어지는 국도 29호선의 동쪽에 있는 높이 68m 정도의 구릉에 있다. 송국리형 주거지는 구릉 능선상에, 적석 목관묘는 구릉 능선의 말단부에 자리하고 있다. 남서쪽으로 4㎞ 정도 떨어져 전라...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천암리에 있는 문재희의 강학소. 문재희(文載熙)[1868~1941]가 강학의 장소로 사용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자는 경오(敬五), 호는 모암(茅菴), 본관은 남평(南平)이다. 면수재(勉修齋) 문자수(文自修)의 후손이며, 묵헌(黙軒) 문병환(文炳煥)의 아들로서 최익현(崔益鉉)의 제자이다. 백암 정사는 백암사(白巖祠)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동면 백용리는 백동(栢洞)·용생(龍生)·신원동 등 3개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백용리의 지명은 백동 마을의 백(栢)자와 용생 마을의 용(龍)자를 각각 취하였다. 백동 마을은 원래 잣골이라 불렀다. 이는 마을 동북편에 있는 오성산(烏城山)과 관련이 있는 지명으로 성(城)을 재·자·잣이라 부른바 이를...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백용리 백동 마을에서 음력 정월 15일에 지내는 마을 공동 제의. 화순군 동면 백용리 백동 마을에서는 음력 정월 15일 새벽 1시경에 당산 할아버지와 당산 할머니 앞에서 ‘당산제’를 지낸다. 제관은 정월 초에 마을 회의를 통해 깨끗한 사람으로 선정하며, 제비는 마을 기금과 호당 갹출하여 마련하고 제관들만 참석한 가운데 유교식 제차에 따라...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백용 1리 백동 마을에 있는 선돌. 백동 마을의 뜻은 원래 잣골이라 부르는데, 마을 동쪽으로는 오성산에서 뻗은 새암굴재가 있고, 서쪽으로 오성산에서 뻗은 매봉과 송고개, 남쪽으로 화순천이 동남쪽에서 서북쪽으로 흐르며, 북쪽으로는 오성산이 있다. 마을 남쪽에 화산이 있어 이 산을 가리기 위해 솔을 씌운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이들 소나무를...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백용리 용생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백용리 용생 고인돌 떼는 화순읍에서 동남쪽 화순천에 형성된 곡간 평지에 위치하고 있었다. 마을 앞 국도와 철도 사이의 논 가운데에 고인돌이 분포하며,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백용리 173-1번지 일대이다. 국도 22호선 확장으로 인해 전남 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고인돌 주변의 시굴...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백용 2리 용생 마을에 있는 선돌. 백용리 용생 선돌은 마을 위 동면사무소로 가는 도로 옆에 선돌 1기가 있고, 300여m 떨어진 논 가운데 다른 1기가 있다. 백용리 용생 선돌은 동면사무소 가는 곳에 위치한 선돌은 높이 166㎝, 둘레 151㎝, 폭 49㎝, 두께 39㎝이다. 마을 앞의 논에 위치한 선돌은 높이 157㎝, 위쪽...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백용리 용생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백용리 용생 고인돌 떼는 화순읍에서 동남쪽 화순천에 형성된 곡간 평지에 위치하고 있었다. 마을 앞 국도와 철도 사이의 논 가운데에 고인돌이 분포하며,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백용리 173-1번지 일대이다. 국도 22호선 확장으로 인해 전남 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고인돌 주변의 시굴...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백운리에 있는 산촌 생태 마을. 백운리(白雲里)는 백운 마을의 이름을 딴 것으로 원래 백운 마을[백운 1리], 복룡촌 마을[백운 2리] 2개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6·25 전쟁 직후 피난민들이 많이 모여 살았던 복룡촌 마을이 폐촌됨에 따라 1996년 백운 1리와 백운 2리가 백운리로 통합되었다. 백운 마을은 처음에는...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백운리에 있는 산촌 생태 마을. 백운리(白雲里)는 백운 마을의 이름을 딴 것으로 원래 백운 마을[백운 1리], 복룡촌 마을[백운 2리] 2개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6·25 전쟁 직후 피난민들이 많이 모여 살았던 복룡촌 마을이 폐촌됨에 따라 1996년 백운 1리와 백운 2리가 백운리로 통합되었다. 백운 마을은 처음에는...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청풍면 백운리는 백운(白雲)·복룡촌 2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백운리의 지명은 백운 마을의 지명을 따서 만들어졌다. 백운 마을은 처음에는 배온 마을이라 하였는데, 후에 용이 흰 구름을 타고 승천하는 형국이라 하여 백운리로 고쳤다고 전한다. 1789년 『호구 총수』에는 능주목(綾州牧) 서면(西面)...
-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활약한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유(伯由) 호는 모재(慕齋). 완창 대군(完昌大君)의 9대손이며 순양군(順陽君) 이석공(李石公)의 고손(高孫)이고, 아버지는 임진왜란 때 거의(擧義)한 이사종(李嗣宗)이며 어머니는 남평 진씨(南平陳氏)로 주부(主簿) 진복흥(陳復興)의 딸이고 부인은 나주 오씨(羅州吳氏) 오진남(吳進男)의 딸이다....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효자.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무신난(戊申亂)]에 의병을 일으켰고, 고종 무신(戊申)년에 충효가 지극하여 동몽 교관을 증하였다. 본관이 창원(昌原), 자(字)는 경천(敬天), 호(號)는 백인당(百忍堂). 판결사(判決事) 정인례(丁仁禮)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정수규(丁壽奎)이다. 정치업(丁致業)[?~?]은 아버지가 병이 들어 여름에 배를...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아이가 태어난 지 백일을 맞이하여 치르는 의례. 백일은 아이가 출생한 날로부터 100일째 되는 날을 말하며, 이날은 아이를 위한 잔치를 해 준다. 백일을 챙기는 것은 의술이 발달하지 못했던 옛날에 이 기간 중 유아의 사망률이 높아 비롯된 것이다. 백일을 지내는 것은 각 집안의 형편에 따라 다른데, 집안 형편이 넉넉할 경우에는 백일 잔치를...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아이가 태어나 백일이 되면 입는 옷. 아이가 태어난 지 백일 만에 입는 옷을 백일복이라고 한다. 과거에 화순 지역에서 백일복을 만들어 아이에게 입히는 경우는 각 가정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달랐다. 여유 있는 가정에서는 새롭게 짠 원단으로 새 옷을 지어 입히거나, 백일 전에는 흰 옷만 입히다가 백일 후에야 비로소 색상이 있는 옷을 입히기도 하였다....
-
고려 후기 무신 정권의 수탈에 대항하여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일어난 민란. 백제 부흥 운동은 전라남도 담양 지역 출신의 이연년(李延年) 형제가 1236년 10월에 산림(山林)의 무리들을 모아 지금의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에 있는 금성산성(金城山城)에서 거병하면서 일어났다. 이연년 형제가 거병한 시기는 몽골의 제3차 침입[1235년~1239년(고종 22~26...
-
고려 후기 무신 정권의 수탈에 대항하여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일어난 민란. 백제 부흥 운동은 전라남도 담양 지역 출신의 이연년(李延年) 형제가 1236년 10월에 산림(山林)의 무리들을 모아 지금의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에 있는 금성산성(金城山城)에서 거병하면서 일어났다. 이연년 형제가 거병한 시기는 몽골의 제3차 침입[1235년~1239년(고종 22~26...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행하는 풍속. 음력으로 7월 15일을 백중이라고 하고 한자로는 ‘백종(百種)’, ‘백중(百中)’, ‘백중(百衆)’ 등으로 쓴다. 이날은 일 년을 반으로 나눌 때 후반기 첫 달의 보름이기 때문에 중원(中元)이라 부르고, 또 온갖 백과(百果)가 모두 나기 때문에 ‘백종(百種)’이라 한다. 백중은 원래 불가에서 우란분재(盂蘭盆齋)가...
-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행하는 풍속. 음력으로 7월 15일을 백중이라고 하고 한자로는 ‘백종(百種)’, ‘백중(百中)’, ‘백중(百衆)’ 등으로 쓴다. 이날은 일 년을 반으로 나눌 때 후반기 첫 달의 보름이기 때문에 중원(中元)이라 부르고, 또 온갖 백과(百果)가 모두 나기 때문에 ‘백종(百種)’이라 한다. 백중은 원래 불가에서 우란분재(盂蘭盆齋)가...
-
조선 후기 화순 출신의 의병.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자정(子淨), 호는 백천(百泉). 아버지는 유덕용(柳德容)이다. 유함(柳涵)[1576~1661]은 허봉(許篈), 이수광(李睟光), 정경세(鄭經世) 등과 교유하였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발발했을 때 격문(檄文)을 보고 조수성(曺守誠)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청주(淸州)까지 북상하였으나 강화가 성...
-
조선 후기 화순에서 활동한 문인. 본관은 진주. 자는 맹경(孟警), 호는 백파(白波). 김시춘(金始春)의 손자이고, 수락재 김응복(金應福)의 아들이다. 김재탁(金再鐸)[1776~1846]은 효성이 깊어 부모의 상에 몸소 시묘(侍墓)를 하였다. 어려서 남애(南厓) 정지로(鄭至老)에게 배우고, 1827년(순조 27)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다. 온면당(穩眠堂)을 중건하여...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에 있는 백파정을 짓고 김재탁이 읊은 한시. 한시 「백파정을 짓고서」의 작가 김재탁(金再鐸)[1776~1846]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 출신으로, 본관은 진주, 자는 맹경(孟警), 호는 백파정(白波亭)이다. 문집 『백파집(白波集)』이 전한다. 시의 배경 정자인 백파정은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 마을 뒷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단층의 팔...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양념장이나 소금으로 간을 하여 구워낸 민물 장어 요리. 화순군은 북면에서 발원한 동복천, 이양면에서 발원한 지석천, 동면에서 발원한 화순천 등에서 장어, 쏘가리, 메기, 은어 등 다양한 담수어를 얻을 수 있는 자연 환경을 가지고 있다. 화순군에서 잡히는 민물고기를 복천어(福川漁)라고도 하며 이러한 민물고기를 주재료로 하는 여러 가지 탕류,...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이양면, 청풍면, 동복면, 사평면 일대에서 재배되는 버섯류. 전라남도 화순군에서는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새송이버섯이 주로 생산되고 있다. 화순군은 지리적 특성상 산지가 많아 2008년 이전부터 이양면, 청풍면, 도곡면 등에서 일부 농가들이 개별적으로 느타리버섯, 새송이버섯, 표고버섯을 재배하고 있었다. 화순군은 2007년에...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주도리 새터 마을에 있는 선돌. 새터 마을에서는 마을로 들어오는 액을 막아 주기 위해 세워진 선돌을 ‘벅수’라고 부른다. 이 마을에는 2기의 선돌이 있었는데, 1기는 유실되고 1기만이 개인 집의 담장 밑의 축대용으로 남아 있다. 주도리 새터 마을의 선돌은 현재 마을 하천 북쪽의 개인 집 담장 밑에 선돌 1기가 위치해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주도리 상촌 마을에 있었던 선돌. 액을 막는 돌로 마을에서는 ‘벅수’, ‘벅수독’ 등으로 부르고 있다. 1985년 간행된 『화순군 문화 유적 지표 조사 보고』에 의하면, 마을 입구의 좌측·우측에 위치한 선돌을 ‘벅수독’이라고 부르고, 개인 집 축대로 쓰이고 있는 선돌을 ‘벅수’라고 불렀다고 한다 주도리 상촌 선돌은 상촌 마을로 들어가는...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주도리 중촌 마을에 있는 선돌. 중촌 마을에서는 선돌을 마을로 들어오는 액을 막아주기 위해 세웠으며, ‘법수독’·‘벅수’·‘법수’ 등으로 부른다. 2기의 선돌이 마을에 전승되고 있다. 주도리 중촌 선돌은 중촌 마을로 들어가는 입구 도로 변 우측인 북쪽에 선돌 1기는 마을 버스 승강장이 있는 곳이다. 선돌에서부터 50m정도 남쪽...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감도리 하만골 마을에 있는 선돌. 마을의 남쪽에 위치한 선돌을 ‘벅수’ 또는 ‘법수’라고 부른다. 그래서 이 선돌이 있는 곳을 ‘벅수들’ 또는 ‘법수거리’라고 한다. 마을 서쪽에서 들어오는 잡귀를 물리치고 울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선돌을 세웠으며, 이 선돌을 없애면 마을에 화가 미친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이외 마을의 북쪽에 위치한 선돌은 ‘...
-
전라남도 화순 지역 마을 입구에 액막이를 위해 세워 놓은 자연석. 선돌은은 거석 문화의 한 유형으로 간주된다. 돌을 세워 놓기 때문에 마을에서는 주로 선독이라고 부른다. 선돌을 세우는 곳은 대개 마을로 통하는 길 입구이다. 즉 길거리에 세워 마을에 들어오는 액을 방지하고, 또 마을 밖으로 흘러가는 복을 차단하는 역할을 맡는다. 따라서 이것은 일종의 지역 수호신적 기능을...
-
전라남도 화순 지역 마을 입구에 수구막이를 위해 돌을 쌓아올려 만든 일종의 입석. 조탑이란 돌을 쌓아올려 만든 탑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형태는 물론 기능도 사찰의 탑과는 거리가 멀다. 형태는 돌을 원형으로 쌓아올려서 맨 꼭대기에 상대적으로 큰 돌을 세워 표식을 한다. 기능은 일반적인 입석[선돌]과 같이 마을 입구에 세워서 수구 막이 역할을 한다. 수구(水口)란 도교에서...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주도리 상촌 마을에 있었던 선돌. 액을 막는 돌로 마을에서는 ‘벅수’, ‘벅수독’ 등으로 부르고 있다. 1985년 간행된 『화순군 문화 유적 지표 조사 보고』에 의하면, 마을 입구의 좌측·우측에 위치한 선돌을 ‘벅수독’이라고 부르고, 개인 집 축대로 쓰이고 있는 선돌을 ‘벅수’라고 불렀다고 한다 주도리 상촌 선돌은 상촌 마을로 들어가는...
-
화순읍에서 국도 22호선을 타고 가다가 충의로로 접어들어야 탄광 마을에 이르게 된다. 호남정맥 길목답게 충의로 주변의 산세는 높다. 도로 오른편으로는 화순천이 계속 이어진다. 그런데 푸른산, 맑은 물, 논밭이라는 농촌 경관과는 사뭇 다르다. 도로변 주택들도 빛바랜 회색으로 활기를 찾아볼 수 없다. 천운 마을에 다다르니 아파트까지 눈에 들어온다. 일련의 경관들이 탄광 마을...
-
전라남도 화순 지역의 편평하고 넓게 트인 땅. 화순 지역은 주로 화산암과 화강편마암이 북동~남서 방향의 지질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국지적으로는 고생대 퇴적암·화강암이 사이에 끼어 있다. 이러한 지질 구조의 특성으로 화순 지역의 지질은 풍화에 강하며, 지형적으로는 산지 환경이 두드러진다. 섬진강과 영산강의 분수계를 이루는 호남정맥이 화순군을 남북 방향으로 횡단...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에서 발원하여 강정리를 거쳐 화순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벌고천은 화순읍 이십곡리의 수래바위산 남쪽 산록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대리·삼천리·강정리를 지나 화순천에 유입된다. 이십곡리의 자연 마을로는 숨은실과 압곡이 있다. 숨은실은 골짜기가 구부러져 마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숨겨져 있는 마을이라 하여 생긴 지명이다...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차리에 있는 범산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범산과 옥룡자 이야기」는 도선 국사가 명당을 잡아 운주사를 지으려 할 때 허한 기를 보충하기 위해 범산을 옮겼으나 갓 장수 며느리가 이를 보자 산이 옮겨 가다가 멈췄다는 일종의 산 이동 설화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범산과 옥룡자」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차리에 있는 범산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범산과 옥룡자 이야기」는 도선 국사가 명당을 잡아 운주사를 지으려 할 때 허한 기를 보충하기 위해 범산을 옮겼으나 갓 장수 며느리가 이를 보자 산이 옮겨 가다가 멈췄다는 일종의 산 이동 설화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범산과 옥룡자」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주도리 중촌 마을에 있는 선돌. 중촌 마을에서는 선돌을 마을로 들어오는 액을 막아주기 위해 세웠으며, ‘법수독’·‘벅수’·‘법수’ 등으로 부른다. 2기의 선돌이 마을에 전승되고 있다. 주도리 중촌 선돌은 중촌 마을로 들어가는 입구 도로 변 우측인 북쪽에 선돌 1기는 마을 버스 승강장이 있는 곳이다. 선돌에서부터 50m정도 남쪽...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감도리 하만골 마을에 있는 선돌. 마을의 남쪽에 위치한 선돌을 ‘벅수’ 또는 ‘법수’라고 부른다. 그래서 이 선돌이 있는 곳을 ‘벅수들’ 또는 ‘법수거리’라고 한다. 마을 서쪽에서 들어오는 잡귀를 물리치고 울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선돌을 세웠으며, 이 선돌을 없애면 마을에 화가 미친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이외 마을의 북쪽에 위치한 선돌은 ‘...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사평리에서 생산되는 전통 발효떡. 기정떡은 여름철에 잘 상하지 않게 곡주[막걸리]로 발효시켜 만든 전통 발효떡이다. 기정떡이 생산되는 지역은 여러 곳인데,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사평리에서 생산되며, 3대에 걸쳐 손맛을 이어오고 있다. 사평 기정떡의 유래는 고 박길순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충주 박씨 대종가의 외동딸로 태어난 박길순은 어머니...
-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전승되는 베틀 노래. 베틀 노래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전승되는 민요이며 화순군 지역에서도 활발하게 전승되었다. 1970년대 이전까지는 대체로 집에서 손수 옷을 만들어 입었기 때문에 베를 짜는 일은 매우 중요했다. 베틀 노래는 베틀의 각 부분에 대한 언급과 더불어 베를 짜는 과정, 베를 짜는 목적 등을 소개하는 서사민요이다. 베틀 노래는 『한국 구비 문학...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용두리에서 용랑과 베틀 바위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베틀 바위와 용랑 이야기」는 부모님을 여의고 베를 짜며 혼자 살던 용랑이 정유재란 당시 왜장에게 욕을 당하기 전에 왜장과 함께 예성강에 빠져 죽은 이야기와 용랑이 죽은 후 정처사가 용랑의 한을 풀어 주기 위해 정자를 지은 이야기, 그리고 용랑이 베를 짜던 굴을 베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유천리에서 벼락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벼락 바위 이야기」는 효심 깊은 며느리와 시아버지를 위해 하늘에서 벼락을 내려 구렁이를 죽이고, 그로 인해 세 쪽으로 갈라진 바위에 붙여진 명칭에 대한 암석 유래담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벼락 바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화순군 화순...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화순읍 벽라리는 하천((鰕川)·나곡(蘿谷) 등 2개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벽라리(碧蘿里)의 지명은 벽(碧)자와 나곡(蘿谷) 마을의 나(蘿)자를 각각 취한 것이다. 하천 마을은 새로 위쪽에 형성된 마을의 의미로 새윗 마을, 즉 ‘새웃물’이 되었고, 후에 새우 하(鰕)자를 취하여 하천이라고 하였다...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벽라리 서라실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화순읍 벽라리는 화순읍 대리 주암 마을과 인접되어 있으며, 화순역이 소재해 있다. 마을은 산기슭과 평지에 자리 잡고 있고, 화순천과의 사이에 비교적 넓은 평지가 형성되어 있다. 고인돌은 화순역 뒤쪽인 남쪽 ‘솔밭 거리’라 부르는 4기의 민묘 주변과 논두렁에 있다. 행정 구역 상 전라남도...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벽라리 서라실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화순읍 벽라리는 화순읍 대리 주암 마을과 인접되어 있으며, 화순역이 소재해 있다. 마을은 산기슭과 평지에 자리 잡고 있고, 화순천과의 사이에 비교적 넓은 평지가 형성되어 있다. 고인돌은 화순역 뒤쪽인 남쪽 ‘솔밭 거리’라 부르는 4기의 민묘 주변과 논두렁에 있다. 행정 구역 상 전라남도...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대곡리에서 전해오는 불효자가 잘못을 뉘우치고 병이 나았다는 이야기. 「벽력골 이야기」는 어머니의 실수로 자식을 잃은 아들이 어머니에게 불효를 저지르고 하늘의 벌을 받아 반신불구가 되었다가 후에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정성을 들인 후 병이 나았다는 이야기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벽력골의 내력」이라는 제목으로 수...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대곡리에서 전해오는 불효자가 잘못을 뉘우치고 병이 나았다는 이야기. 「벽력골 이야기」는 어머니의 실수로 자식을 잃은 아들이 어머니에게 불효를 저지르고 하늘의 벌을 받아 반신불구가 되었다가 후에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정성을 들인 후 병이 나았다는 이야기이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벽력골의 내력」이라는 제목으로 수...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일대에 있었다고 비정되는 삼한 시대 마한의 소국. 마한은 삼한 시대 한반도 중서부에 존재하였던 연맹체이다. 『삼국지(三國志)』 동이전(東夷傳)에 따르면 모두 54개의 소국이 존재하였다. 그중의 하나가 벽비리국이다. ‘비리’는 마한의 소국 이름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로서, 비리국(卑離國)·고비리국(古卑離國)·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모...
-
1894년 12월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벽송리 일대에 은신 중이던 동학 농민군이 지역 민보군과 벌인 전투. 1894년 겨울 나주와 광주 일원에서 관군에 밀린 동학 농민군의 일부는 험준한 산악 지역인 화순 지역으로 퇴각했다. 이곳에서 사태의 추이를 관망하던 농민군은 능주면을 장악하고 다시 12월 3일 지석강 아래쪽인 남평군 관아를 점령하는 등 역습에 성공한다. 그러나 곧이어 나주의...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남면 벽송리는 벽송·포란 2개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벽송리의 지명은 벽송 마을의 명칭을 취하였다. 벽송 마을은 절벽 위에 푸른 소나무가 있어 벽송(碧松) 마을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포란 마을은 마을 형국이 비봉포의 형국을 띠고 있어 마을 이름을 포란(抱卵)이라 하였다. 1789년 『호구 총수(戶...
-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벽송리 벽송 마을에서 음력 정월 14일에 지냈던 마을 공동 제의. 화순군 사평면 벽송리 벽송 마을에서는 마을 공동의 제의를 ‘당산제’라 하여 음력 정월 14일 밤에 당산 할머니 앞에서 유교식 제차에 따라 제를 지냈다. 당산제를 언제부터 지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예전에는 천룡산 정상에 좌정한 산신과 당산 할아버...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벽송리 벽송 마을에 있는 선돌. 벽송리 벽송 선돌은 마을 앞으로 흐르는 개울가에 1기가 서 있다. 마을 사람들은 선돌의 기능은 확실히 알고 있지는 않으나 수구맥이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선돌은 마을이 수세가 빼어나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김 참봉이 세웠다고 전해지고 있다. 벽송리 벽송 선돌은 벽송 마을 앞으로 흐...
-
조선 전기 화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신민(信民), 호는 벽송재(碧松齋). 입향조인 조온(曺穩)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조건(曺健)이며, 아버지는 조세명(曺世明)이고, 어머니는 나주인(羅州人) 정도(鄭覩)의 딸이다. 진원인(珍原人) 박이경(朴而儆)의 딸 및 홍주인(洪州人) 송정수(宋庭秀)의 딸과 혼인하였다. 조경중(曺景中)[1533~1584]은 화순...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도암면 벽지리는 벽동·봉동·죽동[댓골]·야산(夜山) 등 4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야산 마을은 6·25 전쟁 때 폐촌이 되었다. 현재는 벽지 1리, 벽지 2리로 구성되어 있다. 벽지리의 지명은 벽동 마을의 이름을 취한 것이다. 벽동 마을은 원래 벽지동이라 불렀는데 푸른 못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
근현대 화순 출신의 독립 운동가이자 교육자. 변극(邊極)[1903~1980]은 20세 경 불교 단체의 후원으로 상해에 유학하여 동제 대학(同濟大學)에서 수학하였다. 1923년 10월 24일 상해 교민단 동구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25년 5월 30일에는 중국인 학생들과 함께 상해역 앞에서 제국주의 타파 등의 구호를 외치며 배영 시위(排英示威)에 참여하였다. 1923년...
-
근현대 화순 출신의 독립 운동가이자 교육자. 변극(邊極)[1903~1980]은 20세 경 불교 단체의 후원으로 상해에 유학하여 동제 대학(同濟大學)에서 수학하였다. 1923년 10월 24일 상해 교민단 동구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25년 5월 30일에는 중국인 학생들과 함께 상해역 앞에서 제국주의 타파 등의 구호를 외치며 배영 시위(排英示威)에 참여하였다. 1923년...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춘양면 변천리는 변동(邊洞)·개천동(開天洞) 등 2개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변천리의 지명은 변동 마을의 변(邊)자와 개천동 마을의 천(天)자를 합하여 만들어졌다. 변동 마을은 원래 산과 들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므로 개정지라 불렀다. 또 가장자리에 위치한 마을이기 때문에 갓굴이라고 불렀는데 이...
-
1866년 프랑스가 조선의 문호 개방을 요구하며 침략함으로써 전라남도 화순 지역을 포함한 조선 전체에 영향을 미친 사건. 철종 재위 연간에 천주교에 대한 경계가 느슨해지자 프랑스 신부들은 조선에 밀입국하여 선교 활동을 강화하였다. 1861년(철종 12) 신자 수는 1만 8000명, 1865년(고종 2)에는 2만 3000명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1866년(고종 3) 1월...
-
1636년 청(淸)이 조선에 2차 침입하여 발생한 전쟁. 병자호란은 병자년에 일어나 정축년에 끝났기 때문에 병정노란(丙丁虜亂)이라 부르기도 한다. 1636년(인조 14) 청이 조선에 2차 침입하여 발생한 전쟁으로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 대항하였다. 화순에서도 조수성(曺守誠)[1570~1644]을 비롯한 의병들이 출전하였으나 화친이 이루어져 해산하였다. 1627년 후...
-
1636년 청(淸)이 조선에 2차 침입하여 발생한 전쟁. 병자호란은 병자년에 일어나 정축년에 끝났기 때문에 병정노란(丙丁虜亂)이라 부르기도 한다. 1636년(인조 14) 청이 조선에 2차 침입하여 발생한 전쟁으로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 대항하였다. 화순에서도 조수성(曺守誠)[1570~1644]을 비롯한 의병들이 출전하였으나 화친이 이루어져 해산하였다. 1627년 후...
-
전라남도 화순군 주민의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행해지는 제반 활동. 화순군의 보건 의료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공중 보건 및 보건 관련 사업을 행하는 공적 영역과 병의원, 한의원, 약국 등의 사설 의료 기관을 중심으로 하는 민간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화순군의 근대 의료 역사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살펴볼 수 있다....
-
6·25 전쟁 전후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국민 보도 연맹 및 예비 검속과 관련하여 발생한 학살 사건. 화순 지역의 국민 보도 연맹의 조직 과정, 규모와 운영을 밝혀 주는 구체적 문헌 자료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2009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약칭 진실 화해 위원회]는 다수의 관련자들로부터 1950년 7월 국민 보도 연맹원에...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백운리에 전해오는 보리타작을 재현한 민속놀이. 화순군 청풍면 백운리에서 행했던 보리타작과 이때 함께 불렀던 노동요를 재현한 놀이이다. 도리깨질과 디딜방아질, 디딜방아 세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순군 청풍면은 2007년 ‘제26회 화순 군민 체육 대회 및 고인돌 축제’ 때 보리타작 놀이를 가지고 민속놀이 부분에 출전하여 준...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백운리에 전해오는 보리타작을 재현한 민속놀이. 화순군 청풍면 백운리에서 행했던 보리타작과 이때 함께 불렀던 노동요를 재현한 놀이이다. 도리깨질과 디딜방아질, 디딜방아 세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순군 청풍면은 2007년 ‘제26회 화순 군민 체육 대회 및 고인돌 축제’ 때 보리타작 놀이를 가지고 민속놀이 부분에 출전하여 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이서면 보산리에는 자연 마을로 보암(寶巖)·석정·난산(卵山)이 있었으나 지금은 동복댐 확장 공사로 수몰되어 없어졌다. 보산리의 지명은 보암 마을의 보(寶)자와 난산 마을의 산(山)자를 각각 취한 것이다. 전승에 따르면 유마사(維摩寺)를 건립한 유마운(維摩雲)의 딸 보안(普安)이 이곳에 보안사(普安寺)를...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에서 화순읍 이십곡리를 거쳐 전라남도 보성군과 충청남도 서산시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 29호선은 보성~서산선이라고도 한다.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을 기점으로 화순과 광주광역시, 담양을 거쳐 전라북도의 남서부[순창, 정읍, 부안, 김제, 군산] 및 충청남도 서중부 지역[서천, 부여, 청양, 홍성]을 관통하여 충청남도 서산시까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일대에서 전해지는 효자에 관한 이야기. 「보암리 효자 이야기」는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보암리에서 어머니를 지극히 봉양하였던 정자근노미의 효행담이다. 1981년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발행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에 「효자 정자근과 적벽」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보암리 효자」라는 제목으로...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일대에서 전해지는 효자에 관한 이야기. 「보암리 효자 이야기」는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보암리에서 어머니를 지극히 봉양하였던 정자근노미의 효행담이다. 1981년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발행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에 「효자 정자근과 적벽」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1982년에 강동원이 편찬한 『화순의 전설』에 「보암리 효자」라는 제목으로...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순군 이서면 보월리는 자연 마을인 보령(保令)·월정(月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월리는 보령 마을의 보(保)자와 월정 마을의 월(月)자를 각각 합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보령 마을의 뜻은 평안을 보전하는 곳이란 의미이다. 월정 마을은 마을 북쪽으로 만월 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 돌정이[큰 바위가 있...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보월리 월정 마을에 있는 조탑. 보월리 월정 조탑은 마을 앞 하천 양쪽에 세워져 있는데, 하천 북쪽에 위치한 조탑은 ‘할머니탑’이라 부르며, 하천 남쪽에 위치한 조탑은 마을 앞 논 가운데에 위치하며 ‘할아버지탑’이라 부른다. 이 돌탑은 마을 지킴이로서의 성격이 강한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보월리 월정 조탑은 마을 앞 하천 양쪽에...
-
개항기 화순 출신의 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자(字)는 보인(輔仁), 호는 만초(晩樵). 집의(執義)를 지낸 송자은(宋自殷)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송처묵(宋處黙)이고 아버지는 송재창(宋載昌)이다. 송추(宋錘)[?~?]는 자품(資稟)이 강정(剛正)하고 지기(志氣)가 강개하여 동학 농민 운동 직후 많은 백성이 무고하게 핍박과 도륙(屠戮)을 당할 때 적극적으로 상소하여 군...
-
전라남도 화순군 일대의 풍치 보존과 학술의 참고 및 번식을 위하여 보호하는 나무. 보호수는 산림법 제67조 제1항에 따라 시·도지사 또는 지방 산림 관리청장의 승인에 의해 수령이 오래되어 보호가 필요하거나 보존할 가치가 있는 나무를 대상으로 지정된다. 보호수 지정은 「산림 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47조 및 동법(同法) 시행 규칙 제56조·제57조에 따라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