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명학리 종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1291
한자 鳴鶴里宗會
이칭/별칭 장수황씨 연기종회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해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1925년 - 명학리 종회 회칙 제정
시행 시기/일시 음력 10월 10일 - 입향조 황첩의 시제 및 정기종회
관할 지역 입향조 황첩의 묘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 지도보기
관할 지역 황발|황정열의 묘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용포 지도보기
관할 지역 장수황씨 종답 - 세종특별자치시 부용면 갈산2구 지도보기
관할 지역 장수황씨 종중 재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55 지도보기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 장수황씨가 세종 지역으로 입향한 이후 집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만든 모임과 조직.

[개설]

장수황씨 연기종회는 친족간 친목을 도모 하고, 종중 재산을 관리 보존하고, 선조 제향봉행 및 기념사업 시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시제]

장수황씨 세종특별자치시 입향조 황첩(黃堞)의 시제는 음력 10월 10일로, 묘소에서 지낸다. 묘소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다.

제사 음식은 종답(宗畓)[조상의 제사에 쓰는 경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종중(宗中)에서 관리하고 소유하는 논]을 사용하는 사람이 땅을 사용하는 대신 제사에 올릴 음식을 준비하며 묘소도 관리하고 있다.

종답은 세종특별자치시 부용면 갈산2구에 있으며 대략 5마지기[3,300㎡] 정도로, 전통시대까지만 하여도 후손들에게 혜택을 주었지만 얼마 전부터 다른 성씨에게 맡기고 있다.

제사를 지내고 음복한 후 부강면 부강리 55에 위치한 재실(齋室)[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집]로 가서 회의를 진행한다. 재실은 묘소를 관리하는 종답 관리인이 사는 집으로, 소유는 장수황씨 집안이다.

황윤정 아들 황발(黃發)의 제사는 황첩의 제사를 지낸 이튿날인 11일 부강면 부강리 용포 묘소에서 지낸다. 용포 묘소에서는 황발과 황발 아들 황정열(黃廷悅)이 모셔져 있다.

용포 묘소 역시 장수황씨들의 밭이 많아서 밭을 농사 짓고 대가로 음식을 마련하여 제사를 올린다. 참석 인원은 60~70명 정도가 된다.

현재는 종중의 재산이 넉넉하여 제사에 참석하는 종원들에게는 차비로 2만원씩을 주는데 참여율이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종회의 회칙과 자료]

장수황씨 연기종회는 친족간 친목 도모, 종중 재산 관리 보존, 선조 제향 봉행 및 기념사업 시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종회 회칙은 1925년에 제정된 것을 두 차례에 걸쳐 개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현재 종중에는 1925년 당시부터 현재까지 작성된 종회 결의록(決議錄)이 보관되고 있다. 내용은 회칙과 함께 임시총회 결의록 등 당시 회의 안건과 결과를 기록하고 있다.

대략적인 순서는 일시와 장소를 적고 참석인원, 개회선언, 회장인사, 감사보고, 결산보고, 회의 안건 등 토의 내용이 적혀 있다.

임원은 고문 4명, 회장 1명, 총무 1명, 재무 1명, 감사 2명으로 하고 있다. 임원 선출은 회장은 정기총회에서 참석인원의 과반수를 얻어 선출한다.

회의는 정기총회와 임시회로 하고 있다. 정기총회는 입향조 황첩의 시제일로 한다. 주요 회의 내용은 임원선출, 결산보고, 승인, 재산 취득·처분에 관한 건 등이다.

[의의와 평가]

세종특별자치시 지역 저명 성씨인 장수황씨의 동족조직과 활동을 보여 주는 묘제(墓祭)[무덤 앞에서 지내는 제사] 및 종회의 실상을 전하는 사례이다.

특히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의 회의 내용이 남겨져 있어 장수황씨의 종친회 운영과 재산 상황 등 100여 년 간 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