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01514
한자 民謠
영어의미역 Traditional Folk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집필자 김기호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민중들의 일상적인 삶을 통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 오는 노래.

[개설]

민요는 일상적인 삶 속에서 생활의 필요에 의해 생성되고 향유되어 전승되는 민간의 노래를 말한다. 따라서 울진 민요에는 울진 지역 민중들이 살아온 삶의 모습과 내용, 생활공동체의 심성과 정서, 민중의 기쁨이나 애환, 또는 그들의 사고방식이나 풍속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울진 민요는 민중들이 공동으로 일을 하면서 또는 의식을 치르면서 불렀고, 놀이를 하면서도 불렀다. 따라서 울진의 민요를 통해서 울진의 의식뿐만 아니라 울진의 피 속에서 우러나온 시 형식과 리듬 의식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다. 전통 울진 민요에 대한 복원과 이해는 울진 지역의 문학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것이라 아니할 수 없다.

[특징]

울진의 민요는 다른 지역과도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구비전승되었기 때문에 경상도나 강원도 등 전국의 민요와 유사한 것이 많지만, 울진만의 독특한 것도 있다. 울진군의 북쪽[안봉산]은 강원도 삼척과 지리적·문화적 경계를 이룬다. 울진군이 강원도 관할에서 경북으로 옮겨진 것은 1963년 1월 1일 이후부터이다. 이관 이유로는 언어, 풍속, 사회, 경제, 교육, 교통 등의 여건이 경북권에 속한다는 것이었다. 울진군의 문화가 경상도권이라는 점은 민요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즉 경상도의 대표적인 「모심기 소리」는 교환창 방법의, “이논배미 모를 심어 가지가 벌어도 장하도다. 삼대야독자 외동 아들 갓을 씌워도 영화러라”와 같은 유형인데, 울진군의 전 지역이 주로 이 노래를 부르며 모심기 작업을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아침 작업 가사 중에 다른 지역에서는, “물꼬야 철철물 흘러 놓고 주인네 양반 어데 갔소. 문어야 전복 손에 들고 첩의야 집에 놀러갔네.”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울진군에서는 “문어야 전복 손에 들고” 대신에 “담배야 솔아지 손에 들고”라며 부르는 점이 특이하다. 솔아지란 담배 넣는 담배 쌈지를 말한다.

전국적으로 볼 때 「모심기 소리」는 상당히 광범위한 분포를 가지고 있다. 반면에 「논매기 소리」는 보다 세부적인 좁은 분포도를 가지는데, 울진 남부 쪽과 북부 쪽은 다른 「논매기 소리」를 보여 주고 있다. 예컨대 남쪽인 평해읍에서는 “에야 궂이요”란 노래를, 북쪽인 죽변면에서는 “에 에이여-어”를 논 맬 때에 부른다. 생활권이 다르면 논매기 노래도 다르다는 일반 법칙이 울진군에서도 재확인되는 셈이다.

이와 같이 농요는 그 땅에 붙박아 사는 사람들이 두레 농사를 지으며 부르던 노래인 까닭에 단순한 노래로 그치지 않고, 문화사적으로 더 심층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울진 지역의 향토 민요, 특히 농요를 더욱 조사하여 기록하고 보존·전승시켜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종류]

『울진의 문화재』에 채록된 자료를 기준으로 울진 지역의 민요를 종류별로 구분해보면 기능에 따라 크게 노동요, 유희요, 의식요로 나눌 수 있다. 노동요에는 어업, 농업, 가사, 작업 등에 관한 노래가 혼재하고, 다양한 종류의 유희요가 있으며, 의식요는 상장례와 관련을 갖는다.

1. 노동요: 어업노동요에는 「뱃노래」, 「그물치기」 등이 있고, 농업노동요에는 「논매기 소리」, 「쌈싸기」, 「모심기 소리」, 「김맬 때 부르는 소리」, 「가래 소리」 등이 있다. 가사노동요에는 「베틀 노래」가 있고, 작업노동요에는 「다리종목 지짐이 소리」 등이 있다.

2. 유희요: 「정선아리랑」, 「방구 타령」, 「담방구타령」, 「화투 노래」, 「청춘가」, 「장구 타령」, 「범벅 타령」, 「육자배기」, 「칭칭이」 등이 있다.

3. 의식요: 「상여 소리」, 「덜구 소리」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