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112 |
---|---|
한자 | 大述面 |
영어공식명칭 | Daesul-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 |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법정면.
[개설]
예산군의 동부에 있는 면으로, 예산군 2읍 10면 중 하나이다. 북쪽은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서쪽은 예산읍·대흥면, 남쪽은 신양면, 동쪽은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과 접하고 있다.
[명칭 유래]
1914년 군면 폐합 당시 한갓골 또는 한삭골이라 부르던 대지동(大枝洞)과 술곡(述谷)의 이름을 따서 대술면(大述面)이라 부르게 되었다.
[형성 및 변천]
백제 때는 오산현에 속하였고, 통일신라 때는 임성군의 영현인 고산현에 속하였으며, 고려 때는 예산현에 속하였다. 조선 초에도 예산현에 속하였고, 조선 말에는 고산군의 지역으로서 한갓골의 이름을 따서 대지동면(大支洞面)이라 하여, 비동 외 30개 동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군면 폐합 당시 술곡면(述谷面)의 시산(詩山) 외 27개 동리와 공주군 신상면(新上面)의 산북리를 병합하여 대술면이라 하여 예산군에 편입되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술곡면은 죽곡리(竹谷里)·중리(中里)·우명리(牛鳴里) 등 16개 리, 대지동면은 장복리(長福里)·외항리(外項里)·부경리(富慶里) 등 11개 리를 관할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해동지도(海東地圖)』에는 대지동면·술곡면·송치(松峙)·나분치(羅分峙) 등이 묘사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우명리(牛鳴里)[소고리]·이치리(梨峙里)[배틔]·웅동(熊洞)[곰실]·석적리(石積里)[돌무덤이]·저평리(楮坪里)[닥나무뜰]·양산리(陽山里)[양지말]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2018년 1월 현재, 법정리로는 궐곡리, 농리, 마전리, 방산리, 산정리, 상항리, 송석리, 시산리, 이티리, 장복리, 화산리, 화천리 등 12개를 관할하고 있고, 행정리 19개를 관할하고 있다. 현재 면사무소[행정복지센터]는 화천리에 있다.
[자연환경]
대술면의 동부에 봉수산(鳳首山)[535.0m]·천방산(千方山)[479m]·극정봉(極頂峰)[424m], 서부에 안락산(安樂山)·토성산(土城山)[406m] 등이 솟아 있어 군내의 다른 지역에 비해 다소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다. 그 밖의 대부분 지역도 150m 내외의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고, 달천(達川)이 대술면의 중앙을 흘러 지류인 궐곡천(蕨谷川)과 합하여 남서류하면서 유역에 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현황]
2018년 1월 31일 현재 면적은 60.64㎢이고, 가구는 1,370가구, 인구는 2,776명[남자 1,488명, 여자 1,288명]이고, 그 중 외국인 인구는 113명[남자 99명, 여자 14명]이다. 세대당 인구는 2.0명이고, 65세 이상 고령자는 1.044명이다. 인구밀도는 45.78명/㎢이다.
주요 교통망을 보면, 국도32호선, 지방도616호선[대술동로], 지방도616호선[대술로], 지방도618호선, 기타도로[상항방산로] 등이 개설되어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쌀과 무·배추·잎담배·사과 등을 많이 생산한다. 주요 시설로는 대술초등학교, 대술중학교, 대술면행정복지센터 등이 있다.
유적과 유물로는 예산 수당 고택[국가민속문화재 제281호], 예산 상항리 석불[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9호], 이광임 선생 고택[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3호], 장복리 삼층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6호], 강민첨장군묘[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19호], 강민첨 장군 유적지, 아계 영당(鵝溪影堂), 연령군 태실[궐곡리 고새울], 고새울 사지, 된절이 사지, 묵지동 사지, 불당골 사지, 삼베실골 사지, 상항리 사지, 샘골 사지, 송석리 사지, 절골 사지, 집성사지(集成祠址), 묘법사, 약수암, 천방사, 해국사, 평원정, 한곡정, 돌무덤 백자 가마터, 수골 백자 가마터, 화산리 백자 가마터,배치 백자 가마터, 소거리 가마터, 당거리 분청사기 가마터, 샘골 청자 가마터, 이티리 가마터, 화천리 고인돌[화천리 선돌], 고새울 고분군 등이 있다. 민속으로는 장복리 동제, 송석리 산신제, 숲실 산신제 등을 지내고 있으며, 설화로는 「베틀바위」가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