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731 |
---|---|
한자 | 李山甫 |
이칭/별칭 | 중거(仲擧),명곡(鳴谷),충간공(忠簡公),장덕군자(長德君子),명곡선생(鳴谷先生)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장신1리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조민희 |
출생 시기/일시 | 1539년 - 이산보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568년 - 이산보 증광 문과 병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76년 12월 1일 - 이산보 이조정랑 제수 |
몰년 시기/일시 | 1594년 4월 28일 - 이산보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604년 - 이산보 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고 영의정 추증 |
출생지 | 이산보 출생지 - 충청남도 보령시 |
부임|활동지 | 이산보 부임지 - 충청남도 서산군 해미읍 |
부임|활동지 | 이산보 부임지 - 함경도 |
묘소|단소 | 이산보 묘소 -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고정리 산27 |
사당|배향지 | 화암서원 - 충청남도 보령시 |
사당|배향지 | 건암서원 - 충청남도 서천군 |
사당|배향지 | 이산보 불천위 사당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장신1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한산(韓山) |
대표 관직 | 우승지|황해도관찰사|이조판서 |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에 불천지위 사당이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이산보(李山甫)[1539~1594]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이자 학자이다. 학문 뿐만 아니라 효(孝), 애민(愛民)의 행적을 보였으며,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1517~1578], 고청(孤靑) 서기(徐紀)[1523~1591], 중봉(重峯) 조헌(趙憲)[1544~1592]과 함께 충청도의 특이한 학맥을 연계하는 인물이다.
[가계]
이산보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중거(仲擧), 호는 명곡(鳴谷),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7대손이며, 할아버지는 이치(李穉)이다. 아버지는 이지무(李之茂)이고, 어머니는 능성구씨(綾城具氏)이다. 아버지가 일찍 사망하여 작은아버지인 토정 이지함에게 학문을 사사받았다.
[활동 사항]
이산보는 1539년(중종 34) 지금의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태어났다. 1568년(선조 1)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에 임명되어 관직에 나아갔다. 내직을 두루 거쳐 예조좌랑에 이르렀을 때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서 고을의 원이 되기를 청하여 해미현감으로 부임하였다. 그러나 몇 달도 안 돼서 사간원정언으로 소환되었고 다시 병조좌랑에 임명되었다. 왕명을 받고 순안어사(巡按御史)로 함경도를 순찰하고 돌아와 요직인 이조정랑에 임명되었다. 1577년 양어머니가 사망하자 벼슬을 내놓고 서천에서 시묘를 살았고, 명곡정사를 건립하여 후학들을 가르쳤다.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인 기축옥사가 일어나자 대사간의 자리에서 난국을 수습하고, 이듬해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1591년 황해도관찰사 재임 시 왕세자 책봉 문제로 정철(鄭澈) 등 서인이 화를 당할 때 연루되어 파직당하자 고향인 보령에 내려가 독서로 시간을 보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와 동궁[광해군]을 호종하였다. 이산보는 명나라 군대가 요양(遼陽)에 머물면서 진군하지 않자 명나라 장군 이여송(李如松)을 설득해 명군을 조선으로 들어오게 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명나라 원군의 군량미 조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북도와 삼남 지방의 도검찰사(都檢察使)로 나가 군량미를 모았다. 1594년 큰 흉년이 들어 백성이 기근에 시달리자 동궁의 명을 받고 밤낮으로 구휼에 힘쓰다 과로로 병을 얻어 같은 해 4월 28일 홍양 객사에서 사망하였다.
[묘소]
이산보의 묘소는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고정리 산27번지의 한산이씨 종중 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산보는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고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한흥부원군(韓興府院君)에 추봉되었다. 보령의 화암서원(花巖書院)과 서천의 건암서원(建巖書院)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1원래 보령에 있던 것을 1885년 예산군 광시면 장신리에 이전하여 다시 세운 이산보 불천지위 사당이 있다. 송시열이 지은 이산보의 비명(碑銘)에 행적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홍성에 이산보의 유적을 기리는 ‘명곡 이산보 선생 홍성유적비’가 건립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