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0824
한자 李昇馥
영어공식명칭 Lee Seung-bok
이칭/별칭 평주(平州),이징복(李徵馥)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근대/일제강점기
집필자 이성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5년 5월 18일연표보기 - 이승복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0년 - 이승복 『청구신문』 활자를 운반하다 일제에 체포되어 투옥
활동 시기/일시 1923년 - 이승복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 의거에 연루되어 투옥
활동 시기/일시 1926년 9월 - 이승복 정우회 집행위원으로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27년 11월 - 이승복 신간회 예산지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41년 - 이승복 민주일보사 부사장 취임
몰년 시기/일시 1978년 10월 31일연표보기 - 이승복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80년연표보기 - 이승복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 수훈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이승복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
출생지 이승복 출생지 - 충청남도 예산군
묘소 이승복 묘소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방산리 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정우회 집행위원|동아일보사 이사|민주일보사 부사장

[정의]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이승복(李昇馥)[1895~1978]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군자금 모집 활동을 벌였으며, 신사상연구회와 신간회 예산지회, 조선교육협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가계]

이승복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호는 평주(平州), 초명은 이징복(李徵馥)이다. 할아버지는 한말의 항일운동가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이고 아버지는 이충구(李忠求)이다. 아들은 6.25전쟁에 참전하여 순국한 이장원이다. 할아버지 이남규로부터 손자 이장원까지 4대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고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활동 사항]

이승복은 1895년 5월 18일 예산에서 태어났다. 1919년부터 노령(露領)과 북만주에서 이동녕(李東寧)·이회영(李會榮)·이시영(李始榮)·이상설(李相卨) 등과 함께 독립운동을 하였다. 1920년 노령에서 박은식(朴殷植)과 함께 『청구신문(靑丘新聞)』을 발행하고 신문 활자를 운반하던 중 체포되어 6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같은 해 7월 형 이민복(李敏馥)이 박용만(朴容萬)·조성환(曺成煥) 등과 조직한 대한국민군(大韓國民軍)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로 들어와 군자금 모집 활동을 벌였으며, 1921년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연통제를 조직하는 데 주력했다. 1923년 7월에는 홍명희(洪命熹)·김찬(金燦) 등과 함께 사상 단체 신사상연구회(新思想硏究會)를 조직하였으며, 같은 해 의열단원 김상옥(金相玉)의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 의거에 관련되었다는 혐의를 받고 투옥되었다.

이승복은 1926년 9월된 사상단체 정우회(正友會)의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정우회 선언을 통해 사회주의와 민족주의가 연합해 민족협동전선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1927년 1월 신간회 결성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같은 해 11월 이관용(李灌鎔)·권태석(權泰錫) 등과 함께 신간회 예산지회를 조직하였다. 1928년 6월 조선교육협회(朝鮮敎育協會)의 평의원으로 선출되어 민족교육 활동을 벌였다. 1927~1931년 『동아일보』 이사 겸 영업국장으로 재직했으며, 1931년 만보산사건(萬寶山事件)의 진상을 보도한 일로 안재홍(安在鴻)과 함께 체포되어 징역 8월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1946년부터 1948년까지 민주일보사 부사장으로 활동하였으며, 1951년 낙향하여 농사지으며 한학을 연구하였다. 1978년 10월 31일 서울에서 사망하였다.

[묘소]

이승복의 묘소는 예산군 대술면 방산리에 있다가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승복의 공적을 기려 1980년 건국포장,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