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생활 도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247
한자 衣生活道具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경희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옷을 만들거나 관리하는 데 사용하였던 도구.

[개설]

우리나라는 계절에 따라 옷을 달리 해 입어 왔기 때문에 의생활 관련된 다양한 도구들이 만들어져 왔다. 예산 지역도 예외는 아니었으나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지역 간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다른 지역과 거의 비슷한 실정이다. 의생활 도구는 옷감 짜는 도구, 바느질 도구, 옷감의 구김살을 펴는 도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옷감 짜는 도구]

1. 물레: 삼 삼은 것을 감아서 베를 짜기 위한 실을 잣는 도구이다.

2. 삼쳇다리: 삼을 삼기 전에 대마를 쪄서 올려놓는 도구이다. 모양은 두부를 짤 때의 쳇다리와 같다.

3. 베틀: 삼은 실을 이어 베를 짜는 틀이다.

4. 벳솔: 찌고 난 대마에 풀을 발라 두기 위한 것이다. 삼 삼은 실에 풀을 쑤어 벳솔로 풀을 찍어 바르면 물레로 실을 감을 때 목화·삼베 실에 털이 없어져서 빳빳하고 곱게 된다.

5. 전짓게: 삼을 삼는 삼틀의 이름이다. ‘삼전지’라고도 한다.

6. 전짓다리: 삼 삼을 때 한 쌍의 전짓다리를 세워 놓는다. 전짓다리는 넓적한 나무 바탕의 한가운데에 35㎝ 정도의 막대기를 세워서 ‘ㅗ’ 자형을 이루고 있다. 양쪽에 하나씩 서 있어 전짓다리라고 하는 것이다. 전짓다리의 위쪽 끝이 움푹 파여져서 ‘V’ 자 꼴이 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삼실을 걸쳐 놓고 삼을 삼는다. 전짓다리를 무릎에 대고, 삼을 이빨로 끊어 그 끝을 무릎 살 위에 놓고 비벼서 꼬아 잇는다.

7. 조선톱: 삼실의 이은 곳을 긁어 훑는 도구이다.

[바느질 도구]

1. 참척, 대척: 침척은 바느질자이며, 대척은 옷감을 재는 자이다. 침척[길이 27.2㎝]은 대척[1자 길이 30.3㎝]보다 짧다. 자에는 각각 10개의 긴 줄과 줄들 사이의 한가운데에 작은 줄 10개가 그러져 있다.

2. 바늘: 규중칠우(閨中七友)로 일컬어지는 일곱 가지 바느질 도구 중에서도 가장 귀중하게 취급되던 애장품이다. 옷을 지으려면 자로 재고 가위로 잘라 바늘로 일일이 꿰매야만 비로소 완성품이 되는데, 바늘로 꿰매는 일이 가장 더디고 공을 많이 들여야 하였기 때문이다. 보통 바늘은 24개를 종이로 납작하게 싸서 파는데, 이를 한 쌈이라고 한다.

3. 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주로 무명실을 사용하였다. 보통 바느질용으로 쓰인 무명실은 이합사(二合絲)였고, 이불을 시칠 때나 튼튼하게 바느질을 하기 위해서는 삼합사(三合絲)를 사용하였다. 고운 바느질을 할 때는 당사(唐絲)라고 하여 꼬아서 곱게 만든 실을 썼고, 비단 천을 이용하는 바느질에는 반드시 명주실을 사용하였다. 색깔 옷을 지을 때는 옷감의 색에 따라 색실을 사용하였고, 옷감의 종류에 따라 실의 종류를 달리 선택하여 이용하였다.

[옷감의 구김살을 펴는 도구]

1. 다듬잇돌과 다듬이 방망이: 옷감을 두드려서 다듬는 데 쓰이던 밑에 받치는 돌 틀과 다듬이질을 하는 나무 방망이이다. 다듬잇돌 밑에는 다듬이 방석을 깔고 다듬이질을 한다.

2. 쇠화로: 숯불을 담아 방에 들여놓는 난로이다. 바느질할 때 구김살을 펴는 인두를 얹어 두는 인두받침으로도 쓰인다.

3. 인두: 바느질할 때에 구김살을 펴는 기구이다. 바느질감의 구겨진 곳에 인두를 뜨겁게 데워서 문지른다.

4. 다리미: 숯불을 담아 쇠를 뜨겁게 한 뒤에 다림질을 하는 무쇠로 만든 기구이다. 요즘에는 전기다리미를 사용하고, 무쇠 다리미와 인두는 쓰지 않게 되었다.

5. 홍두깨는 둥글게 깎아 옷감을 감아서 다듬이질하는 기구이다. 대개 박달나루로 지금 7㎝ 내외, 길이 100㎝ 내외가 되게 만든다. 홍두깨에 옷감을 감아서 하는 다듬이질이 ‘홍두깨 다듬이’이다. 다듬잇돌을 앞쪽이 내려가게 비스듬히 올려놓고 그 위에 피륙을 감은 홍두깨를 얹고서 다듬이 방망이로 두드리면 홍두깨가 앞으로 돌면서 다듬이질이 된다. 지금은 홍두깨 다듬이질은 하지 않고 있다.

[현황]

오늘날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시장이나 백화점에서 기성복을 구입해서 입고, 용도에 따라 세탁소에 맡겨 옷을 세탁하는 등 직접 옷을 만들거나 관리하는 일이 드물기 때문에 의생활 도구를 집에 갖추어 놓고 사용하는 일은 거의 사라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