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진염불」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436
한자 -念佛
이칭/별칭 잦은염불,잦은산염불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7년 - 「자진염불」 예산문화원에서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 「자진염불」예산문화원에서 발행한 『예산문화』 제26집에 수록
채록지 예산군 - 충청남도 예산군
가창권역 예산군 - 충청남도 예산군
성격 서도민요
토리 수심가토리
박자 구조 자진굿거리장단

[정의]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불리는 서도민요의 하나.

[개설]

「자진염불」「산염불」을 부르고 이어 부르는 노래이며, 황해도 지방에서 전승되는 민요이다. 주로 전문 소리꾼에 의해 불리는데, 자진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수심가(愁心歌)형의 빠른 노래이다. 「산염불」과 마찬가지로 불가의 노래에서 비롯하였으며, 내용도 불교적 색채를 띠고 있다. 다만 현대에 전승되는 「자진염불」의 사설은 “저승전을 지키는 십대왕(十代王)을 나열하고 지옥을 면하게 해 달라”고 비는 초창기의 사설에서 많이 벗어나 있다.

[채록/수집 상황]

「자진염불」은 1997년 예산문화원에서 예산군 지역의 소리꾼이 부르는 노래 가사를 채록한 것이다. 채록 당시 구연자, 채록 상황, 일시 등을 상세히 밝혀 두지 않아 사설만 『예산문화』 제26집에 실려 있다.

[구성 및 형식]

「자진염불」은 사설과 후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후렴구를 먼저 부르고 사설로 들어가는 구성을 보인다. 사설은 전반부에서 석가여래와 아미타불에게 지옥을 면하게 해 달라고 기도하고, 후반부에서는 사바세계에서 선심공덕을 쌓아 죽은 뒤 극락세계에 이르기를 소망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내용]

[후렴] “에헤에 어허미 타아 어허야 불이로다”

[사설] “긴염불은 고만두고 자진염불 넘어간다 // 석가여래가 원불인가 칼산지옥만 면합소서 // 인제 가면 언제 오료 오는 한이나 일러주오 // 서산일락 지는 해는 나의 감회를 도오는 듯 // 백팔염주는 목에 걸고 명산대찰을 찾어간다 // 아미타불이 원불인데 발설지옥만 면합소서 // 제일전에 진광대왕 제이급에 초강대왕 살았을 적에 선심공덕 사후영천에 극락가네 // 세상 번민 다 떨치고 산중으로 들어가서 후세 발원을 하여 볼까 // 지성으로 염불하면 자연 감응 있으리라 // 교만방자 불의행사 장차 영겁을 어이하리 // 사바세계서 공을 닦어 사후 연화대 가리로다”

[의의와 평가]

예산 지역에 전해지는 「자진염불」은 일반인들이 부르는 토속민요가 아니라 악기 반주에 맞추어 전문 소리꾼들이 부르는 통속민요이다. 「산염불」과 짝을 이루는 황해도의 대표 민요이면서 전승 과정에서 경기민요의 창법이 가미된 노래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