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545
한자 百庵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표윤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7년 - 「백암」 예산군에서 발간한 『예산군지』에 수록
관련 지명 상가리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지도보기
관련 지명 가야사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176 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이인좌|황진기
모티프 유형 지명유래담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에 전해지는 백암이라는 암자에 얽힌 설화.

[개설]

가야사 주변에 백 개의 암자와 절이 세워지면 모두 망한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었는데, 백 번째 암자인 백암이 들어서면서 실제로 모두 불타 없어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백암」덕산면 상가리 가야사 주변에 있었던 암자인 백암에 얽힌 지명유래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백암」은 1987년 예산군에서 발간한 『예산군지』에 실려 있다.

[내용]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가야사 주변에 아흔아홉 개의 절과 암자가 있었다. 백 개를 채우면 모두 망하게 되니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었다. 그런데 터가 매우 좋은 자리가 있어 백 번째 암자인 백암을 세우는 바람에 가야사와 주변에 있던 모든 절과 암자가 불타 없어졌다고 한다. 백암은 영조(英祖)[1694~1776] 때 일어난 이인좌(李麟佐)[?~1728]의 난과도 연관이 있다. 이인좌가 충청도 호서 지역을 거점으로 삼아 인근의 유력 인사들을 유인하고 난에 동참하게 하였던 것이다. 이인좌의 난이 실패로 돌아간 후 종적을 감춘 황진기(黃鎭紀)가 백암에서 승려로 변장하여 숨어 있었다는 증언이 있었다. 그 일로 인하여 백암이 문을 닫고 없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상가리에서 옥양봉 쪽으로 오르는 등산길을 백암사길이라 하고, 백암이 있는 봉우리를 백암봉이라 이른다.

[모티프 분석]

「백암」백암이라는 암자에서 유래한 백암사길과 백암봉에 얽힌 지명유래담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