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십이지 속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894
한자 十二支俗信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집필자 박종오

[정의]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음력 정초(正初)에 처음으로 드는 12지 날에 행하는 풍속.

[개설]

12지 속신은 정초에 처음 드는 12지지[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에 행하는 금기를 말한다. 정초 12지가 드는 날에는 하면 좋은 일과 해서는 안 되는 금기가 있는데, 화순 지역에서도 이러한 풍속이 전한다. 특별히 정초에 드는 지지는 상(上)이라는 글자를 붙여 부르는데, 정초에 처음 드는 쥐날을 상자일(上子日)이라 부르는 것이 그 예이다.

[연원 및 변천]

우리나라 민속에는 중국에서 전래한 간지(干支)에 의해 일진을 보고 행동을 규제한다. 간지는 천간(天干)의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를 말하고, 지지(地支)란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를 말한다. 특히, 지지는 짐승으로 상징화 된다. 즉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염소, 잔나비, 닭, 개, 돼지가 그것이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보면 “정월의 첫 번째 ‘해(亥)’자가 들어가는 날은 돼지날이라고 하고 첫 번째 ‘자(子)’자가 들어가는 날은 쥐날이라고 한다.”라는 기록과 “묘일을 토끼날이라고 한다. 이날 뽑은 무명실을 토사(兎絲)라고 하며, 이 실을 차고 다니면 재앙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한다. 이날은 외부 사람과 나무로 만든 물건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여자가 집에 먼저 들어오는 것을 꺼린다.”라는 기록이 있어 정초 12지에 대한 풍속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절차/풍속]

화순 지역에 전하는 12지 속신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상자일(上子日)

쥐는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짐승이기 때문에 쥐의 눈을 밝지 못하게 하려고 ‘첫 쥐날’에는 불을 켜지 않는다. 또 이날은 돼지날과 달리 바느질을 하는데, 바늘이 쥐의 눈을 찌르는 효과가 있다고 믿었다. 또 어린 아이들에게 주머니를 만들어 주기도 하는데, 이렇게 하면 복이 들어온다고 믿는다.

2. 상축일(上丑日)

‘첫 소날’에는 작두질, 칼질, 연장 질을 하지 않는다. 이날 칼질을 하면 여름에 쟁기의 날이 부러지거나 소의 발이 아프게 된다고 여긴다. 따라서 이날 먹을 음식은 그 전날에 미리 썰어 놔야 한다.

3. 상인일(上寅日)

셋째 지지 인(寅)의 음과 사람 인(人)의 음이 같기 때문에 ‘첫 호랑이날’은 사람의 날이라고도 한다. 옛날에는 호환이 많았기 때문에 산에 가지 않았다.

4. 상묘일(上卯日)

토끼가 방정맞기 때문에 ‘첫 토끼날’은 여자들이 남의 집에 먼저 가지 않는다.

5. 상진일(上辰日)

‘첫 용날’ 아침 일찍 물을 길어오면 그해에 풍년이 든다고 한다.

6. 상사일(上巳日)

아침 일찍 샘에 가다 뱀을 보게 되면 재수가 없다고 여겨 ‘첫 뱀날’에는 아침 일찍 물을 긷지 않는다. 집에서는 ‘뱀 부적 붙이기’, ‘쑥불 피우기’, ‘배암 끄집기’ 등을 행하여 뱀이 집 안에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

7. 상오일(上午日)

‘첫 말날’에 장을 담그면 장맛과 빛깔이 좋다고 하여 조사 지역 전역에서는 말날 장을 담갔다고 한다.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연양리 양촌 마을에서는 이날 장을 담그지만 뱀날에는 장을 담그지 않았다.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양곡리 단양 마을에서는 뱀날에는 장을 담지 않고 털이 있는 동물 날은 장을 담가도 된다고 하며, 그 중에서 말날이나 닭날 장을 담그면 가장 좋다고 한다. 장 담글 때는 장독에 메주·소금물·고추·숯을 넣는다. 고추는 색깔이 고우라고 넣으며, 숯덩이는 장의 색깔이 까맣게 되라고 넣는 것이다. 한편, 메주를 싸두었던 짚은 대문 앞에 걸어둔다.

8. 상미일(上未日)

‘첫 양날’, 또는 ‘첫 염소날’에 대한 특별한 금기는 찾아볼 수 없다.

9. 상신일(上辛日)

‘첫 원숭이날’, 또는 ‘첫 잔나비날’이라고도 하는데, 이날은 귀신이 붙어 우환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일을 하지 않고 하루를 쉰다. 또 이날은 산에 가지 않는다.

10. 상유일(上由日)

‘첫 닭날’은 아침에 마당에 물을 뿌리지 않는다. 닭을 키우는데 해(害)가 되기 때문이다. 또 이날은 머리를 빗지 않는데, 닭이 지붕 위에 올라가 지붕을 헤치기 때문이다. 이는 수확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닭이 지붕을 헤치는 것이 그해 추수한 곡식을 헤치는 것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또 이날은 산에 가서 솔방울을 따 집에 가져오는데, 닭이 알을 많이 낳고 병아리가 잘 크기 때문이다.

11. 상술일(上戌日)

‘첫 개날’인 상술일에는 논과 밭에 거름을 낸다. 그러면 그해 곡식이 개꼬리의 털처럼 한 가지에 수북하게 맺히기 때문이다.

12. 상해일(上亥日)

‘첫 돼지날’에는 조사 지역 전역에서 바느질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날 바느질을 하게 되면 일 년 내내 손가락이 아린다고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정초의 12지 속신은 농업이 주업이었을 당시 지키던 일종의 금기였다. 정초는 한 해가 시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조심히 하려고 했던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의 화순 지역에서 이러한 풍속은 거의 사라지고 없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