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적 붙이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858
한자 符籍-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집필자 한미옥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종이에 글씨나 그림, 기호 등을 그려 넣은 부적을 몸에 지니거나 벽 등에 붙임으로써 재앙을 막고 복을 비는 행위.

[개설]

부적이란 종이에 글씨, 그림, 기호 등을 그린 것으로 재앙을 막아주고 복을 가져다준다고 믿는 주술적 도구이다. 부적은 일반인들이 아닌 종교직능자, 즉 승려나 역술가, 무당들이 만든다. 대개 종이로 만들지만 돌, 나무, 청동, 바가지, 대나무 등으로 만들기도 한다.

[내용]

부적의 그림은 용·호랑이·독수리 등의 동물과 해·달·별 등이 많으며, 이외에도 추상적인 와문형(渦紋形)·탑형·계단형 등 다양하다. 글자는 일월(日月)·천(天)·광(光)·왕(王)·금(金)·신(神)·화(火)·수(水)·용(龍) 등이 많은데, 부적 전체가 한자(漢字)로 된 것도 있지만 한자의 파자(破字)를 써서 여러 가지로 결합하고 여기에 줄을 긋는 형태들이 많다. 이런 경우에는 부적의 꼭대기에 ‘칙령(勅令)’이라는 글자를 적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적의 종류는 사용 목적과 기능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주력(呪力)으로써 좋은 것을 증가시켜 이(利)를 성취할 수 있게 하는 부적이고, 다른 하나는 사(邪)나 액(厄)을 물리침으로써 소원을 이루는 부적이다. 이러한 부적은 아픈 곳에 붙이거나 불살라서 마시기도 하고 벽이나 문 위에 붙이거나 몸에 지니고 다닌다.

화순군에서 부적은 크게 세시 의례와 관련된 것과 개인적인 재수구복(財數求福)을 위한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세시 의례와 관련된 대표적인 것으로는 가정의 일 년 평안을 위해 정월에 큰 방 문 위에 붙이는 부적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그해 가족들 모두의 운수가 사납지 않도록 한다. 개인적인 재수구복을 위한 부적 사용은 개인적인 것만큼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것으로는 삼재(三災) 부적을 들 수 있다. 삼재 부적은 그해 삼재가 든 사람에게 들 액운을 방지하기 위해 절이나 무속인을 찾아가 부적을 받아와 몸에 지니거나 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금년 운세가 좋지 않은 사람의 경우 부적을 써서 그 사람의 베개에 넣어두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부적에 대한 기원은 원시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인류가 바위나 동굴에 해·달·짐승·새·사람 등 주술적인 암벽화를 그린 것에서 찾을 수 있다. 통일 신라 시대에는 처용의 얼굴을 그려서 대문에 붙여 역신을 쫓았다는 기록이 있다.

[현황]

화순군 청풍면 대비리에서는 안방 문 밖 위쪽에 호랑이 그림을 부적으로 걸어두었다. 이는 성주를 모시면서 바로 걸어두었는데 더러운 것들이 함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대비리에 거주하는 이순덕 할머니의 경우에는 집안 식구들의 일이 잘 풀리지 않자 안방 문 위와 지붕 네 귀퉁이 안쪽에 각각 부적을 붙여 놓았다고 한다.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매정리의 경우 정월에 점을 쳐서 신수가 나쁘다고 하면 점쟁이에게 부적을 받아서 집에 붙인다. 부적을 절에서 받아오는 경우도 있다.

현재 화순군에서 부적 붙이기는 과거와 같이 세시 의례처럼 반드시 행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정월에 일 년의 가내 평안을 위해 부적을 붙이는 경우는 지금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또한 개인적인 차원에서 여전히 부적을 붙이거나 사용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