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653 |
---|---|
한자 | 獨上里- |
이칭/별칭 | 독상리 재궁동 지석묘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29-1|29-3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김승근 |
소재지 | 독상리 재궁동 고인돌 떼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29-1
![]() ![]() |
---|---|
성격 | 고인돌 |
양식 | 기반식|개석식 |
크기(높이,지름) | 380~160㎝[길이]|320~115㎝[너비]|120~27㎝[두께]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동상리 재궁동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독상 마을에서 독상 저수지 쪽으로 800m 정도 올라가면 동복 오씨 문헌 공파 제각인 효사재가 있는데 독상리 재궁동 고인돌 떼는 이 재각에서 북쪽으로 20m 정도 떨어진 곳으로 29-1번지 일원과 29-3번지 일원에 분포한다.
독상리 재궁동 고인돌 떼에서 지표상에 확인된 고인돌은 총 15기이다. 고인돌은 상석의 장축 방향이 동서이며, 장타원형으로 상석이 북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지석은 일부분에서 1~4매 정도 확인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기반식으로 판단된다. 상석의 길이는 160~380㎝, 너비는 115~320㎝, 두께는 27~120㎝이다.
독상 저수지에서 300m 정도 올라가면 동복 오씨 문헌공과 제각[31-2번지]이 나온다. 이 제각의 왼쪽 계곡 물줄기를 따라 모두 15기의 고인돌이 거의 1열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있다. 좁고 긴 계곡을 따라 이루어진 선상지 상에 조성되어 있으며, 상석의 크기가 3m가 넘는 것이 7기가 있다.
독상리 재궁동 고인돌 떼는 대규모의 군집으로 존재한다. 또한 주변에는 독상리 고인돌 군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선사 유적이 주변에 입지하고 있어 화순 지역의 청동기 시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