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979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집필자 이옥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 「메소리」『한국 구비 문학 대계』에 수집 채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메소리」 『화순의 민요』에 수집 채록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에서 주춧돌을 놓을 때 땅을 메로 치면서 부르는 노래.

[개설]

메소리는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에서 전승된 민요이다. 집터를 다듬고 주춧돌을 놓으면서 땅을 메로 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집을 짓는 과정에서 불리우는 집짓기 노래의 하위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집터를 다지기 위해서 지경다지기 노래를 부르지만 주춧돌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주춧돌 놓을 터를 다지는 과정을 별도로 가지는 것이다.

[채록/수집 상황]

메소리는 『한국 구비 문학 대계』에 2곡이 수록되었고, 『화순의 민요』에 동일한 노래 1곡이 수록되었다.

[구성 및 형식]

한 명의 앞소리꾼이 소리를 매기면 여러 명의 뒷소리꾼이 “오헤라 메이요”라고 후렴을 받는 선후창 형식의 노래이다.

[내용/메소리]

사설의 내용은 작업장의 분위기를 밝게 하는 재미있는 가사들과 작업의 과정을 알려주는 내용, 힘든 일꾼들을 독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얼려주소 얼려주소 우리 님을 얼려주소/ 오헤라 메이요/ 잘도 하네 잘도 하네 우리 님은 잘도 하네/ 오헤라 메이요/ 일녁 선산에 해는 지고서 월출봉에 달 돋는다/ 오헤라 메이요/ 얼른 가서 댐배들 먹세/ 오헤라 메이요/ 일심동력으로 소리를 맞춰보세 얼른가고서 땜배(담배)들 먹세/ 오헤라 메이요/ 일심동력으로 소리를 맞춰보세/ 오헤라 메이요/ 메를 하다가 뒤를 돌아보니 정든 낭군이 여기 왔네/ 오헤라 메이요/ 일락선산에 해는 지고 월출 동령에 달 돌아온다/ 오헤라 메이요/ 먼데사는 분 듣기도 좋게/ 오헤라 메이요/ 근방 사람들 보기도 좋게/ 오헤라 메이요/ 옳다 되었다 잘도 되었네/ 오헤라 메이요/ 거문고는 줄만 골라도 소리만 나네/ 오헤라 메이요/ 그만 저만 파향곡 하고/ 오헤라 메이요/ 찬(饌)들이나 잡읍시다/ 오헤라 메이요[『한국 구비 문학 대계』, 1984, 이양면 매정 1리, 안재경[남, 71]]

[생활 민속적 상황]

예전에는 집짓기 과정을 동네 주민들이 함께 모여 공동으로 작업을 하고 노래를 부르며 흥을 돋우었다. 공동의 작업을 통해 완성된 가옥은 그 집에 사는 사람에게도, 그 집을 짓는 데 참여한 사람에게도 의미있는 공간이 되는 것이다.

[의의 및 평가]

주춧돌 놓을 때 부르는 메소리는 전국적으로 전승이 활발하지 않은 민요 중의 하나이다. 집을 짓는 방식이 변화된 현대에는 더 이상 들을 수 없는 민요이지만 전통 가옥의 핵심인 주춧돌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