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오 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1917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집필자 김성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8년 5월 15일 - 「싸오 소리」 채록
채록지 원평지 마을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지도보기
성격 민요
출현음 미, 라, 시, 도, 레
기능 구분 노동요[민요]
형식 구분 선후창 방식
가창자/시연자 황덕주[67세, 남, 앞소리]|오길현[63세, 남, 앞소리]|황삼주[59세, 남, 뒷소리]|김문선[60세, 남, 뒷소리]|최원석[58세, 남, 뒷소리]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 마을에서 부르는 논농사 민요.

[개설]

「싸오 소리」마령면 평지리 원평지 마을에서 김매기 할 때 부르는 논농사 민요이다. 김매는 일을 끝내기 위해서 마지막 남은 곳을 둥그렇게 둘러싸면서 부른다. 이런 류의 노래를 부르는 명칭은 ‘에위싸오’, ‘호요 타령’, ‘외얌 소리’, ‘몰아가는 소리’, ‘어화둘레’ 등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쌈싸는 소리」라고 한다. 마치 상추쌈을 쌀 때처럼 둥그렇게 모이는 모습을 형상화한 명칭이다. 하루 일과를 마친다는 보람과 해방감이 충만할 때라 노래가 구령처럼 우렁차고 거뜬거뜬한 맛이 있다.

[채록/수집 상황]

「싸오 소리」는 1998년 5월 15일~16일에 마령면 원평지 마을에서 토박이인 황덕주[67세, 남, 앞소리]와 오길현[63세, 남, 앞소리], 황삼주[59세, 남, 뒷소리], 김문선[60세, 남, 뒷소리], 최원석[58세, 남, 뒷소리] 등으로부터 채록하였다. 앞소리의 가창자인 황덕주는 육자배기 토리에 능했고, 오길현은 기운찬 성음이 특징이었다.

평생을 농사일에만 종사한 황덕주는 근동에서 소문난 앞소리꾼이었던 그의 선친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소리를 익혔다고 한다. 오길현은 우체국 직원으로 근무한 바 있는데 마을의 토속 민요에 대한 애정이 대단히 깊다. 오길현은 소리하는 항성이 크고 우렁차며 매우 신명이 있다. 농요는 젊어서 어른들이 하는 소리를 듣고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었으며, 마을 농요가 마지막으로 불리던 때를 그의 나이 스물 서너 살 때쯤이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1960년대 초중반으로 보인다.

[구성 및 형식]

「싸오 소리」는 주로 하루 김매는 일을 끝낼 때 부르는 노래지만 점심을 먹기 위해서 오전 일을 끝낼 때도 부른다. 한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면 나머지 사람들이 후렴구를 받아 부르는 선후창 방식이다. F음을 밑음으로 하는 ‘미 라 시 도 레’의 미음계로 전형적인 남도 계면조 선법의 노래이며, 라음으로 시작하고 라음으로 종지한다. 이 노래에는 중중모리 장단이 내재되어 있다.

[내용]

원평지 마을에서는 앞소리 메기는 사람을 ‘베루’라고 부른다. 베루는 맨 앞에서 앞소리도 메기고 동시에 김매기 작업 일체를 통솔하는 역할까지 수행해야하니까 목구성도 좋아야하고 리더십도 있어야 한다. 베루는 전체적인 작업 분량을 점검하면서 일의 속도를 늦추기도 하고 재촉하기도 하고 뒤처지는 사람을 독려해서 몰아치기도 한다. 베루는 항상 논두렁의 제일 가까운 쪽에 선다. 그래야 작업하는 전체적인 상황을 조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베루는 다른 사람보다 적은 분량을 맨다. 그래야 앞소리를 하면서도 항상 몇 걸음씩 앞서나감으로써 전체를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싸오 소리」에서 베루의 역할은 절대적이다.

「싸오 소리」는 메기는 소리[앞소리]와 받는 소리[후렴]로 구성된 노래이다. 먼저 앞소리꾼이 “에 휘 싸오”라고 메기면 나머지 일꾼들이 모두 함께 “에 휘 싸 호”라고 똑같이 받아서 노래한다. 그러면 앞소리꾼이 본격적인 사설을 매기고, 나머지 사람들이 “에 휘 싸 호”로 받는다. 앞소리 사설은 “무주 군수는 천엽쌈 싸고”, “장수 군수는 곤달로 쌈으로”, “순창 과부는 이불쌈 싸고”, “진안 군수는 삼추쌈 싸고”, “우리 농부는 주먹쌈 싸고”, “이 논배미에 풍년쌈 싸세” 등이다.

[현황]

원평지 마을의 ‘논매는 소리’가 농경 현장에서 사라진 시기는 1970년대이다. 결정적인 계기는 제초제의 보급으로 더 이상 집단 김매기의 필요성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싸오 소리」를 부를 수 있는 주민들은 마을을 지키고 있어서 그 후에도 논매는 민요는 가창되었다. 1990년에 MBC 한국 민요 대전을 통해서 음반으로 녹음되었고, 전라북도립 국악원에서 녹음 및 보고서를 출간하기도 하였다. 또 7월 백중 술멕이 때는 여흥으로 간혹 부르곤 했다. 다만 현재는 앞소리를 메기는 사람들이 매우 고령인데다 건강까지 좋지 못하고, 또 「싸오 소리」를 부를 기회가 거의 없어 더 이상의 자연 전승은 힘든 상황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앞서 언급한 ‘베루’와 관련하여 경우에 따라서 재미있는 놀이가 펼쳐질 때가 있다. ‘엎어치기’와 ‘베루 모가지 끊어먹기’가 그것이다. 김매기 할 때 적어도 일하는 동안에는 베루에게 거의 절대적인 권한이 주어져 있다. 베루가 몰아치면 꼼짝없이 따라가야 하고, 늦다고 호통을 당해도 속절없이 감당해야 한다.

그런 환경이라고 해서 장난과 놀이가 없을 수 없다. 일꾼들이 심사가 뒤틀릴 때가 있다. 그러면 베루를 골탕 먹이기로 작정하고 장난을 펼친다. 베루가 꽤 멀리 앞서가면서 빨리 따라붙을 것을 재촉하면 느닷없이 논배미 일부를 안 매고도 맨 것처럼 순식간에 내달리는데, 이를 엎어치기라고 한다. 이렇게 일부를 빼먹어버리면 김매야할 논은 쉽게 줄지만 논주인은 속이 탄다. 따라서 논주인은 베루한테 잘 보이기 위해서 술과 음식을 극진히 대접한다. 그래야 베루가 일꾼들을 알뜰히 잘 다루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베루가 일을 독려하기 위해서 앞서나가기도 하지만, 논의 지형적인 구조상 기역자로 꺾어지는 부분에서는 미리 꺾어 돌아야 대열을 유지한 채 돌아나갈 수 있다. 이때 일꾼들이 보조를 맞추지 않고 베루와 같은 속도로 치고 나가면 결국 베루가 돌아나갈 길목이 차단 당하게 된다. 베루가 꼼짝없이 갇히는 꼴이다. 그렇게 되면 베루의 위신이 땅에 떨어져 망신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베루 모가지 끊어 먹기’라고 한다. 힘겨운 노동 과정에서도 유머와 여유를 찾을 수 있는 대목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