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삼척시 엑스포로 50번지에 소재한 영화관. 가람영화관은 공공 문화시설로 지역의 상설 개봉관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영상문화 향유권 격차 해소는 물론 문화생활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2016년 9월 8일 건립되었다. 삼척시에 수년간 영화관이 없어 주민들이 동해시까지 영화 관람을 위하여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주민의 문화예술 향유 공간...
-
조선 후기 삼척도호부 관내 봉산과 관양산의 송감(松監) 및 산직 명단. 『각면송감직안』은 1858년(철종 9) 1월 당시 삼척도호부 관내 봉산과 관양산에 해당하는 각 산의 감관과 산직 명단이다. 겉표지에 ‘관상(官上)’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삼척도호부에서 업무에 참고하기 위하여 자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규격은 24.0⨯9.8㎝이다. 형식은 8면 접철이며,...
-
조선 후기 삼척도호부 각 면의 면주인(面主人) 명단. 『각면주인안』은 1858년 1월 현재 삼척도호부 산하 12면의 면주인 명단이다. 겉표지에 ‘관상(官上)’이라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삼척도호부에서 업무 참고용으로 자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규격은 28.5⨯11.0㎝이다. 형식은 6면 접철이며, 지질은 저지(楮紙)이다. 문서 겉과 안의 표제는 ‘함풍팔년정월일각면주...
-
조선 후기 삼척도호부 산하 풍헌·면임 명단. 1858년 1월 현재 삼척도호부 산하 12개 면 풍헌 23명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또 속지에는 같은 해 6월 현재 12개 면 면임 23명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표지에 ‘관상(官上)’이라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삼척도호부에서 업무 참고용으로 자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각면풍헌안』의 규격은 23.8⨯12.5㎝이다....
-
조선 후기 삼척도호부 소속 관노비 명단. 『관노비관안』은 경인년 6월 현재 삼척도호부에 소속된 관노비 명단이다. 삼척도호부에서 업무에 참고하기 위하여 자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규격은 27.2⨯14.0㎝이다. 형식은 8면 접철이며, 지질은 저지(楮紙)이다. 겉표지의 제목은 ‘관노비관안(官奴婢官案)’으로 되어 있으나 본문 첫머리에는 ‘경인유월일관노비관안(庚寅六...
-
조선 후기 삼척도호부에 유배(流配)되어 온 죄인 명단. 『도류안』은 1858년 당시 삼척도호부에 유배되어 있던 죄인 10명의 명단이다. 겉표지에 ‘관상(官上)’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삼척도호부에서 유배되어 온 죄인들의 관리를 위하여 자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규격은 25.5⨯8.5㎝이다. 형식은 12면 접철이며, 지질은 저지(楮紙)이다. 표제는 ‘도류안(徒流案...
-
조선 후기 삼척도호부 소속 사령 명단. 『사령안』은 1858년 1월 당시 삼척도호부 소속 사령 26명의 명단이다. 겉표지에 ‘관상(官上)’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삼척도호부에서 업무 참고용으로 자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규격은 28.7⨯92.0㎝이다. 형식은 8면 접철이며, 지질은 저지(楮紙)이다. 문서 겉과 안 모두 표제는 ‘함풍팔년정월일사령안(咸豐八年正月日...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 불상. 본래 있던 곳은 미로면 고천리 속칭 ‘대방골’의 만달사라는 절 뒤편 벼랑 위에 있었지만 1970년대 후반에 산당들을 철거할 때 불상의 목이 부러졌고, 그 후 무속인들에 의해 벼랑 옆으로 옮겨졌다. 1997년 4월 초순 삼일중학교 교사 노조현의 신고로 삼척시립박물관에서 현지 확인하고, 4월 28일 삼척시립박물관으로 옮겨 수장고로...
-
강원도 삼척시 엑스포로 69에 위치한 삼척세계동굴엑스포 주행사장의 대표 시설. 2002년 삼척 세계동굴엑스포의 주행사장에 있는 대표 시설물이다. 동굴신비관 1~2층은 동굴과 다양한 주제들이 전시되어 있고, 3~4층 주제 영상관에서는 대형 I-MAX 영상으로 환상의 동굴을 간접 경험할 수 있다. 2002년 동굴엑스포 행사를 수행하기 위한 전시, 학술 행사, 영화 상영 등을...
-
강원도 삼척시 엑스포로 45에 있는 공연 및 전시 시설. 삼척문화예술회관은 문화 예술 기반 시설로 시립박물관과 동굴신비관, 2016년에 개관한 가람영화관과 함께 문화 시민의 요람으로 자리 잡고 있다. 삼척문화예술회관 앞마당 격인 엑스포광장은 2002년 세계동굴엑스포가 개최된 주행사장으로, 2007년부터는 삼척 정월대보름제 주행사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총 부지...
-
강원도 삼척시 엑스포로 50-1에 위치한 청소년 수련 기관. 청소년 삶의 질 향상과 수요자 중심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삼척시가 마련한 청소년수련관이다. 주요 업무는 청소년 공부방, 청소년 국제 교류 추진, 청소년 봉사상 업무 추진, 청소년 포상제, 특성화 프로그램 운영, 지역 연계 사업 추진, 프로그램 공모 사업, 교육문화 프로그램, 청소년문화해설사 양성, 그외 청소년...
-
강원도 삼척시 엑스포로 54번지에 위치한 시립박물관. 1994년 8월 시립 박물관 건립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1995년 12월 착공하여 총 사업비 82억 7600만 원을 들여서 1999년 6월 건축 공사를 마쳤다. 2000년 1월에 전시시설을 준공하고, 그해 3월에 개관하였다. 1994년 8월 시립박물관 건립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1995년 12월 건축 공사에 들어갔다....
-
강원도 삼척시 성남동 일원에 2002년 동굴엑스포 성공 개최를 위하여 조성된 시설. 삼척엑스포타운은 2002년에 열린 삼척 세계동굴엑스포의 성공 개최를 위하여 중심 시설인 동굴탐험관을 비롯한 부대시설 조성의 일환으로 꾸며졌다. 동굴탐험관은 시설 외부에 박쥐 날개 모습을 한 태양열 집열판을 설치하였다. 동굴 탐사 장비를 전시하고 동굴 탐험 영상 등 동...
-
강원도 삼척시에서 황영조 선수의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 우승을 기념하여 개최되는 마라톤 대회. 삼척 출신 황영조 선수의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 경기 우승을 기념하여 삼척시엑스포광장 일원에서 열리는 국제 마라톤 대회이다. 삼척황영조국제마라톤대회는 강원도 삼척시 출신의 황영조 선수가 1992년 바르셀로나 마라톤 경기에서 우승한 것을 기념하여 매년 4...
-
강원도 삼척시에 속하는 법정동. 성남동은 본래 노암(盧岩), 갈암(葛岩), 가암(柯岩) 등으로 불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강과 앵끝을 합하여 성남리(城南里)로 개칭하였다. 삼척읍성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조선 숙종 때 하동정씨, 연일정씨, 삼척김씨 등이 이주했다고 전한다. 이후 읍상동에서 살던 정상영 등이 이주했다...
-
강원도 삼척시 성남동에 있는 돌리네. 돌리네는 석회암이 용식작용을 받아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움푹 들어간 대접 모양의 와지로 가장 대표적인 카르스트 지형 중의 하나이다. 성남동 돌리네는 강원도 삼척시 성남동남산 주변에 발달하여 행정구역 이름을 따 붙여졌다. 삼척시는 석회암이 널리 분포하는 지역이다. 우리나라의 석회암은 거의 전부 고생대의 조선누...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준경묘와 영경묘의 수호에 필요한 업무 규정집. 1899년(광무 3) 11월에 영건청 당상 이중하가 고종의 명을 받고 작성한 것으로, 준경묘·영경묘 두 묘소의 수호 사항 전반에 관한 업무 지침을 수록하였다. 『수호절목(守護節目)』은 1899년에 준경묘(濬慶墓)와 영경묘(永慶墓) 두 묘의 묘역 정비 공사를 할 때 영건청(營建廳) 당상(堂上)...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준경묘와 영경묘의 사적을 정리한 책. 1899년(광무 3)에 대한제국은 삼척에 있는 목조(穆祖)이안사(李安社)[?~1274] 부모의 묘를 준경묘(濬慶墓)·영경묘(永慶墓)로 묘호를 정하여 국릉으로 추봉하고 묘역 정비 사업을 벌였다. 이때 영건당상을 맡아 공사를 감독한 장례원(掌禮院) 소경(少卿) 이중하(李重夏)[1846~1917]가 공사가 끝난 후 1...
-
연호 이규황이 그린 민화. 연호(蓮湖) 이규황(李圭璜)[1868~1926]은 소남이희수(李喜秀)[1836~1909]의 영향을 받은 민화 작가로, 삼척을 중심으로 민화 양식을 형성하게 한 핵심 인물이다. 이규황은 할아버지 때 울진 평해에서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부남리로 이주하였고, 삼척 지역에서는 ‘이초시 노인’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
이종하가 그린 민화. 이종하(李鍾夏)[1895~1968]는 이규황(李圭璜)[1868~1926]의 장남으로, 아버지 이규황에게서 석강황승규(黃昇奎)[1886~1962]와 함께 그림을 배웠다. 이종하는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부남2리에 살았다. 이종하의 작품은 상당히 많이 남아 있어 친척, 후손, 마을 사람들은 이종하의 작품을 제례용 또는 혼례용 병풍으로 사용하고...
-
조선 후기 삼척도호부 소속 서리 명단. 『인리관안』은 1859년 1월 당시 삼척도호부 소속 서리 총 67명의 명단이다. 겉표지에 ‘내상(內上)’이라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부사의 서리층 파악과 관리를 돕기 위하여 삼척도호부가 자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규격은 32.5⨯12.7㎝이다. 형식은 12면 접철이며, 지질은 저지(楮紙)이다. 겉과 안의 표제는 ‘함풍구년기미정...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준경묘와 영경묘를 수봉(修封)한 내용을 기록한 의궤. 『조경단준경묘영경묘영건청의궤』는 전주시에 있는 조경단 조성, 삼척시에 있는 준경묘·영경묘 추봉 및 묘역 정비 공사와 관련된 모든 사항을 자세하게 기록한 의궤이다. 1899년(고종 36) 9월부터 1901년(고종 38) 12월까지 전주에 조경단을 조성하고, 이와 함께 삼척 노동·동산에 있...
-
조선 후기 삼척도호부 소속 기생 명단. 『주탕안』은 1853년 1월에 작성된 삼척도호부 소속 기생 10명의 명단이다. 삼척도호부에서 업무 참고용으로 자체 작성한 문서로 보인다. 규격은 29.7⨯9.7㎝이다. 형식은 6면 접철이며, 지질은 저지(楮紙)이다. 1853년(철종 4) 1월에 작성된 삼척도호부 소속 기생 명단으로, 표제는 ‘함풍삼년계축정월일주탕안(咸豐三...
-
강원도 삼척시 성남동에 있는 정자. 강원도 삼척시 성남동 삼척문화예술회관 광장에 위치하고 있다. 죽서정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된 6각형 정자이며, 지붕은 기와로 이었다. 죽서정(竹西亭)에서 북쪽으로 쳐다보면 관동팔경의 하나인 죽서루(竹西樓)와 함께 죽서교(竹西橋)가 있고, 이 다리 밑을 유유히 흐르는 오십천의 물결을 내려다볼 수...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준경묘와 영경묘의 수호와 관련된 업무 규정 문서. 『준경묘영경묘사례절목』은 1906년 4월 준경묘 수봉관 이정곤이 영경묘 수봉관 이동익과 협의하여 작성한 문건으로, 두 묘소의 수호와 관련된 여러 사항에 대한 업무 수행에서 지켜야 할 규칙이나 방법 등을 규정해 놓았다. 준경묘 수봉관(守奉官) 이정곤(李政坤)은 준경묘와 영경묘의 수봉 사업과...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준경묘와 영경묘 소속 위토를 묘소별로 정리하여 엮은 책. 『준경묘영경묘위토성책』은 1899년 10월에 영건청에서 준경묘와 영경묘 위토 14결 5부 1속 4모를 묘소별로 정리하여 엮은 책이다. 1899년(광무 3) 7월에 영건청(營建廳) 당상(堂上) 이중하(李重夏)의 건의로 삼척군의 옛 평릉역 역토(驛土) 가운데에서 준경묘에 7결 29부 3...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준경묘와 영경묘 재관 24명의 명단. 『준경묘영경묘재관선생안』은 1899년 10월부터 1948년 8월까지 준경묘·영경묘 재관을 역임한 24명의 명단이다. 『준경묘영경묘재관선생안(濬慶墓永慶墓齋官先生案)』은 후배 재관(齋官)들이 선배 재관들을 존중하고, 또 재관으로서의 긍지를 갖기 위하여 작성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함께 훗날...
-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한 준경묘·영경묘 정자각 관련 기물에 관하여 정리한 문헌. 1905년 10월 당시 준경묘 수봉관(守奉官) 이정곤(李政坤)과 영경묘 수봉관 이동익(李東翼)이 두 묘소의 정자각 전내에 보관하고 있는 의장과 제기, 재실에 보관하고 잇는 서적과 집물을 체계화해서 관리하기 위하여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겉표지까지 포함하여 총 16면이다. 1권의 책으로 엮었다....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준경묘와 영경묘의 제향에 쓰는 제기, 제물 종류를 기록한 문서. 『준경묘영경묘제기성책』은 1899년에 작성한 문건으로, 준경묘와 영경묘의 제향에 쓰는 제기, 제물의 종류 및 수량을 기록하였다. 준경묘와 영경묘의 제향에 사용하는 제기(祭器)를 체계화해서 관리하고, 제물(祭物) 마련에 신중을 기하기 위하여 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준경묘와 영경묘 제향의 제물 진설도. 삼척 준경묘·영경묘의 청명제향(淸明祭享)과 고유제향(告由祭享) 때의 제물(祭物) 진설도(陳設圖)이다. 제향 때 참고하기 위하여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진설도의 개정이 있을 때 제작하였다. 크기가 다른 진설도 5장을 묶었다. 겉표지의 규격은 가로 17.8㎝, 세로 29.3㎝이다. ‘청명제향진설지도(...
-
강원도 삼척 출신의 황승규가 그린 민화. 황승규(黃昇奎)[1886~1962]는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서 거주하면서 이 초시로 알려진 이규황(李圭璜)[1868~1926]으로부터 민화를 처음 배웠다. 황승규는 해서, 행서, 초서 등 글씨에도 조예가 깊은 예술가였다. 황승규의 본관은 평해(平海), 호는 석강(石岡)이다. 호보다는 황노인이라는 별칭이 더 잘 알져져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