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다지리 다산 샘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804
한자 茶智里茶山-祭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다지리 다산 마을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마을 공동 제의
의례 시기/일시 음력 2월 1일 오전 10시경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다지리 다산 마을에서 매년 음력 2월 초하룻날에 거행되는 마을 공동 제의.

[개설]

화순읍 다지리 다산 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2월 1일 오전에 마을 뒤편에 위치한 언덕과 마을 중앙에 있는 ‘큰 샘’에서 ‘샘제’를 지낸다. 제의를 지내는 사람인 제관, 축관, 제주는 마을 회의를 통해 선정하며 제비는 마을 기금으로 충당한다. 제의는 샘굿을 치르면서 축제적 분위기 속에서 유교식 제차에 따라 엄숙하게 거행된다.

[연원 및 변천]

샘제를 언제부터 지내기 시작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아주 오래 전부터 해오던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지금까지 꾸준히 제를 지내고 있다. 과거와 비교해보면 오늘날 제의 지내는 장소가 바뀌었고, 제의 절차도 간소화 되었지만 마을 사람들은 샘제를 지내고 샘굿을 하기 때문에 항상 물이 풍부하다고 믿고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샘제를 지내는 곳은 마을 뒤편에 위치한 언덕과 마을 중앙에 있는 ‘큰샘’이다. 여느 마을과 달리 신당이나 신체는 따로 없으며, 언덕과 큰샘 앞에 제물을 진설하고 제를 지내고 있다.

[절차]

음력 2월 초하룻날 오전 10시경이 되면 제관과 축관을 비롯하여 풍물패 20여 명이 제주 집에서 준비한 제물을 가지고 마을 뒤 언덕으로 이동한다. 그곳에 간단히 제물을 차리고 절을 한 뒤 굿을 한다. 이곳에서 과거 언덕 너머에 있던 옹달샘에서 물을 담아 오며 샘굿을 하던 의례를 대신하는 것이다. 제물로는 삼실과, 마른 명태, 막걸리 한 잔을 올린다. 축을 읽거나 소지를 올리지는 않는다. 이곳에서 제가 끝나면 굿을 하면서 마을 중앙에 있는 큰샘으로 이동한다. 큰샘의 상단에는 작은 굴처럼 생긴 공간이 있는데 이곳 앞에서 제를 지낸다. 제물은 위쪽에서 올린 것보다 더 많은데, 메 한 그릇과 북어국 한 그릇, 막걸리 한 잔, 명태포, 쌀, 온시루[백설기], 삼실과, 삼채, 가닥 미역을 올린다. 이곳에서는 제의 절차를 갖추어 제를 지낸다. 분향 → 초헌 → 아헌 → 독축 → 종헌의 차례로 진행하고 끝나면 밤, 대추, 명태 머리를 흙 속에 묻는다. 다음 해에 지낼 때는 먼저 번의 것을 꺼내고 새 것을 묻는다. 이렇게 제가 끝나면 풍물패는 신나게 굿을 한 뒤에 마을 회관으로 돌아와 마련한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축문]

축문의 내용은 옥방토지지신(玉方土地之神)에게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것으로 원문은 다음과 같다.

유(維)

세차 이월 삭 초일일 유학(歲次 二月 朔 初一日 幼學)

감소고우 옥방토지지신 천존지비 삼재오행지중(敢昭告于 玉方土地之神 天尊地卑 三才五行之中)

수덕위수 수신최령 억조인명 개뢰어수(水德爲首 水神最靈 億兆人命 皆賴於水)

군도백신 역뢰어수식 용왕지신 기비대재(郡徒百神 亦賴於水食 龍王之神 豈非大哉)

시고인무수왕 하이위생 수왕무인 하이위귀(是故人無水王 何以爲生 水王無人 何以爲貴)

복우자일 중동성인 근이주과 건고우신(卜于玆日 衆同誠人 謹以酒果 虔告于神)

자금이후 천원혼혼 취지무금 용지불갈 상(自今以後 泉源混混 取之無禁 用之不竭 尙)

향(饗)

[부대 행사]

샘제를 지내는 동안과 이후에 굿을 쳤으나 이후 마을에서는 상쇠를 맡을 사람이 없어 지방 무형 문화재로 지정된 화순 한천 농악 팀이 와서 샘굿을 해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