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의 자연 풍광을 읊은 노래. 「계곡가」는 『계곡향우회지』에 실린 노래이며, 구전으로 전해 온 것이다. 작자 미상의 곡인데, 가사를 알고 있는 사람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계곡가」는 2011년 계곡면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계곡면지』 268쪽에 수록되어 있다. 최사규의 구전을 빌어 기록하였다고 전한다. 자료는 해남군 계곡면 강절...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금강리에서 베를 짜기 위해 물레를 돌리면서 부르던 노래. 해남군 송지면 금강리는 뒷산에서 흘러내린 물이 강이 되어 마을 앞으로 흐르고 있는데, 강의 이름을 따서 마을 이름이 붙여졌다. 「금강마을 물레타령」은 금강리 아낙네들이 물레를 돌려 실을 자으며 부르던 노래이다. 「금강마을 물레타령」은 2009년 송지면지편찬위원회가 펴낸...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일터로 나가면서 서로 부르던 노래. 「길노래」는 우수영부녀농요 중 하나이다. 부녀자(婦女子)들이 아침에 들에 일하러 나가거나 저녁에 들에서 돌아올 때 부르던 노래이다. 「길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14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는 별도로 표기되어 있지 않다. 다만 19...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딸을 여러 사물에 빗대어 표현한 노래. 「꽃노래」는 꽃에 대한 노래를 불러 보자고 시작하여 딸 자랑을 하는 내용으로 끝나는 노래이다. 「창부타령」, 「심청가」 등의 여러 노래의 가사가 섞여 있다. 「꽃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28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 제보자 등에 대한 자료는...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보리타작을 할 때 부르던 노래. 「돌깨노래」는 도리깨를 이용하여 보리타작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도리깨를 이용하여 보리를 타작한다는 점에서 「타맥요(打麥謠)」, 「보리타작소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돌깨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15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는 별도로 표기되어...
-
전라남도 해남군에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이자 애정요. 「둥게야노래」는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놀이를 할 때 부르던 유희요이자 남녀 사이의 사랑을 노래한 애정요이다. 아이를 어르거나 달랠 때 부르는 「둥게소리」와 달리 해남 지역에서 전해 오는 「둥게야노래」는 유희요로 널리 불리고 있다. 「둥게야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여성들이 즐겨 부르던 노동요이자 유희요. 「둥당애타령」은 해남군에서 여성들이 즐겨 부르던 노래인데, ‘물방구’나 ‘활방구’ 같은 기구를 악기로 사용하여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둥당애타령」이라는 명칭은 “둥덩에당 둥덩에당 당기둥덩애 둥덩애당”이라는 후렴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둥당애타령」은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딸을 달래거나 기쁘게 할 때 부르던 노래. 「딸 어르는 노래」는 해남군에서 칭얼대거나 보채는 아이를 어르거나 놀이를 행할 때 불러 주던 노래이다. 첫 소절에 “둥둥둥 내 딸이야”라고 시작함으로써 딸에 대한 노래임을 제시하고 있다. 「딸 어르는 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26쪽에 수록되어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유희요로 전해 내려와 부르는 노래. 「방아타령」은 “방아로구나”라는 가사 때문에 노래 제목이 붙었지만 실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는 노래는 아니다. 「방아타령」은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15~516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는 별도로 표기되어 있지 않다. 다만 1972년 전국민속경연대회 때의...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사랑을 소재로 전해 오는 유희요. 「사랑타령」은 사랑하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노래이다. 해남군에서 전해 오는 「사랑타령」은 4음보 율격으로 되어 있고, 유희요로 널리 불리고 있다. 「사랑타령」은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27~528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 제보자 등에 관한 내용은...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놀이를 할 때 주로 부르던 유희요. 「산아지타령」은 해남군에서 사람들이 모여서 놀 때 주로 부르던 유희요이다. “산아지로구나”라는 가사가 있기 때문에 「산아지타령」이라 이름이 부른 것으로 보인다. 「산아지타령」은 남도민속학회 하계 현지 조사 중 1996년 7월 17일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에 있는 박공심의 가게에서 조사자 김인숙,...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숫자가 새겨진 엽전으로 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살랭이놀이는 상평통보(常平通寶) 같은 옛날 동전 뒤에 새겨진 숫자로 서로 잡고 잡히는 민속놀이이다. 살랭이놀이는 음영식(吟詠式)의 「살랭이노래」를 통해 놀이가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1부터 10까지 동전의 숫자가 암시하는 노래를 부르면서 놀이를 진행하는데, 노랫말에 한자어가 많이 들어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 「상엿소리」는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노래이다. 상여는 망자(亡者)를 묘지까지 운구하기 위한 도구이다. 보통은 10여 명 내외의 청장년 남자들이 상여를 메고 장지(葬地)까지 가는데, 여러 사람이 발걸음을 맞추어야 운반이 용이하다. 「상엿소리」는 여러 명의 상여꾼들이...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아들을 달래거나 함께 놀아 줄 때 부르던 노래. 「아들 어르는 노래」는 해남군에서 칭얼대거나 보채는 아이를 어르거나 놀이를 행할 때 불러 주던 노래이다. “둥둥둥 내 아들아”를 반복함으로써 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노래임을 표현하고 있다. 「아들 어르는 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26쪽에 수록되어...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서 밭에서 김을 매면서 부르던 노동요. 「우수영 들소리」는 밭에서 김을 맬 때 여성들이 부르던 농업 노동요이다. 노래를 부르면 속도가 일정해지고 손놀림을 맞출 수 있어 일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주로 여성들의 고된 생활과 삶의 희로애락에 관한 내용으로 사설이 구성되어 있다. 「우수영 들소리」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전승되어 놀이판 등에서 부르던 유희요. 「우수영 아리랑타령」은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부녀자들이 놀이판 등에서 흥을 돋우기 위해 즐겨 부르던 노래이다. 흔히 「진도아리랑」이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으로 “아리 아리랑 스리 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라는 후렴구가 붙는다. 「우수영 아리랑타령」은 2013년 문내면지...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의 부녀자들이 농사일을 하면서 부르던 노래. 우수영부녀농요는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의 부녀자들이 농사일을 하면서 부르던 민요이다. 1972년 대전에서 열린 제1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경선에서 국무총리상을 받았고, 1987년 8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다. 우수영부녀농요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6박 진양조장단에 맞추어 부르던 향토민요. 「육자백이」는 서도소리 「수심가」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 민요이다. 「육자백이」라는 명칭은 6박 진양조장단에 맞기 때문에 지어진 듯하다. 진양조는 박자가 매우 느려 한스럽고 서정적인 가락을 지니나, 억양이 강하고 구성지다. 임정순이 부른 「육자백이」는 1997년 남도민속학회에서 발간한 『...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전해지는 여성의 음부를 표현한 노래. 「음부타령」은 해남군에 전해 내려오는 민요인데, 여성의 음부(陰部)를 표현한 노래이다. 「음부타령」은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31쪽에 「음경타령」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는 별도로 표기되어 있지 않다. 「변강쇠가」에는 변강쇠가 옹...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여성들이 춘향각시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춘향각시노래」는 명절 때 춘향각시놀이를 행하면서 일종의 주문(呪文)처럼 부르는 노래이다. 춘향각시놀이를 할 때는 춘향의 이름과 나이와 생일 등을 물으면서 춘향의 혼이 술래에게 내리기를 기원한다. 춘향각시놀이를 ‘춘향이놀이’라고도 한다. 「춘향각시노래」는 2013년 삼산면지편찬위원회에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신흥마을에서 여성들이 주로 부르던 노래. 「흥글소리」는 혼자 흥얼거리듯이 부르던 노래이다. 느리게 흥얼거리며 부른다 하여 「흥글소리」라고 한다. “엄매 엄매 우리 엄매 무엇하러 날 낳던가”로 시작되는 신세타령의 일종이다. 「흥글소리」는 2009년 송지면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송지면지』 291~292쪽에 「물레타령」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