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석정 처사 유거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0563
한자 石亭處士幽居圖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영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회화
작가 전충효(全忠孝)
소유자 개인
관리자 개인

[정의]

조선 후기 전충효석정 처사(石亭處士) 김한명(金漢鳴)이 사는 화순군 이서면 보산리 석정 마을을 그린 그림.

[개설]

석정 처사 김한명[1651~1718]은 광산 김씨로 전라남도 화순 지역 보암산(寶岩山) 아래 석정 마을에서 태어나 이곳에서 생을 마쳤다. 김한명의 자(字)는 대재(大哉), 호(號)는 석정(石亭)이다. 화순군 이서면 보산리에 위치한 석정 마을 입구 노송이 우거진 반석 위에 석정 정사(石亭精舍)를 세우고 학문을 닦고 후학을 지도하였다. 사회의 규범을 존중하고 후학을 길러낸 학자이며 효자로 추앙받았을 뿐만 아니라 많은 글과 시를 남겼다. 그가 사는 곳을 그린 「석정 처사 유거도」는 17세기 후반 전충효(全忠孝)[?~?]가 비단 위에 수묵으로 그린 산수화로, 세로 131.5㎝, 가로 81.3㎝ 크기이다.

[형태 및 구성]

화면의 맨 위쪽에 ‘석정 처사 유거도’라는 전서체(篆書體) 제목이 쓰여 있고, 우뚝 솟은 주산 아래에 세 채의 건물과 그 안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겨져 있다. 화면 아래로는 강물이 마을을 감싸고 흐르는 모습을 높은 곳에서 내려다 본 부감법을 사용하여 그리고 있다.

김한명의 문집 『석정만흥(石亭漫興)』에는 서툰 솜씨로 그린 ‘석정물형도(石亭物形圖)’가 실려 있는데, 「석정 처사 유거도」와 화면 구성이 상당히 유사하다. 그림 속의 유거지는 실제의 형국에 가까운 모습이지만 풍수지리상 명당(明堂)의 형국으로 표현되었다. 화면 상단 오른쪽에는 두 개의 인장(印章)이 찍혀 있다. 주문 방인(朱文方印)과 백문 방인(白文方印)으로 위쪽의 것은 판독이 불가능하고 아래쪽의 것은 묵호(墨毫)라고 판독되어 전충효(全忠孝)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석정 처사 유거도」는 전통적인 회화식(繪畫式) 지도(地圖)의 표현 방식으로 그려진 그림으로 당시 지방에 은거하던 문인들의 삶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화면에 담긴 유거지(幽居地)는 속세에 분리된 이상향으로 문인들이 삶의 터전을 풍수적 방식으로 인식하여 그리고 있어서, 주인공이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지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사상과 의식이 표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