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973
한자 農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김삼진

[정의]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농사일의 고단함을 해소하고 풍년을 기원하면서 부르는 노래.

[개설]

화순군은 전라남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전체 면적 중에서 임야가 70%에 달하는 산간 지역이며 밭이 논보다 많은 지역이다. 화순군의 논 노래는 평야 지대가 많은 도곡면, 능주면, 이양면, 춘양면에서 채집된다. 모를 찔 때 부르는 모 찌는 노래의 가창 지역은 찾기 힘들고 「모심기 노래」와 「논매는 노래」가 채집되었다.

「모심기 노래」는 농부가로 알려진 늦은 상사 소리와 잦은 상사소리의 변형으로 전 지역에서 부르고 있다. 「논매기 노래」는 지역마다 다양한 노래들을 부른다. 이양면 묵곡리에서는 ‘산아지 타령’을 부르고, 춘양면 우봉리에서는 중중모리 장단의 ‘더덜기 타령’, 중모리 장단의 ‘난초 타령’, 진양 장단의 ‘세월이 타령’을 부르고, 능주면 천덕리에서는 ‘세우자 소리’, ‘매화 타령’, 개 타령‘을 부른다. 도곡면에서는 '새타령', '양산도', '매화 타령', '휘몰이 타령'을 부르고 화순읍에서는 ‘양산도’와 ‘사거리’ 등을 부른다. 육자배기조의 선율로 한 사람이 메기고 여러 사람이 받는 방식으로 부른다. 메기는 선율과 받는 선율의 분량이 같다.

화순군의 논매기 노래가 다양한 이유는 가족과 마을 단위 농작으로 인하여 논 노래의 교류가 적었기 때문으로 해석한다.

밭매기 노래는 특정한 장단과 유형이 나누어져 있지 않는 흥글 노래형의 노래를 부른다. 가사의 내용은 대부분 가난과 인생무상, 고된 시집살이를 한탄하는 내용이다.

[농요]

1. 모심기 노래

1) 늦은 상사소리[이양면]

여~ 여~ 여~ 여~루 상~ 사~ 뒤~ 여/ 이 배미 쫒고 저 배미 꽂고 장구배미로 건너 가세/ 여~ 여~ 여~ 여~루 상~ 사~ 뒤~ 여/ 오든 길로 가라 말고 가다가도 멈추고서 각기 합동으로 꼽아 보세/ 여~ 여~ 여~ 여~루 상~ 사~ 뒤~ 여

2) 잦은 상사소리[춘양면]

어~아 어~어루 사~앙사 뒤~ 요/ 떠들어온다 떠들어온다 점심 바구리 떠들어온다/ 어~아 어~어루 사~앙사 뒤~ 요/ 서마지기 논배미가 반달만큼 남었네

2. 논매기 노래

1) 더덜기 타령[춘양면]

어허~ 허야 더~ 덜~ 기야/ 저 달 뒤에는 별 따라 가고/ 어허~ 허야 더~ 덜~ 기야/ 우리 님 뒤에는 날 따라 가네

2) 난초 타령

허~ 허~ 허히히히 걸~고 난~초 로~ 다/ 마파람 불고 비가 올 줄 알면 어떤 잡년이 빨래질 갈게/ 허~ 허~ 허히히히 걸~고 난~초 로~ 다/ 오동추야 달도나 밝고 임의 생각 에루화 저절로 난다

3) 사랑 타령[동복면]

에야~ 디야~ 에헤헤헤야~ 에~ 야 디~ 어라~ 사랑이로~ 구나~/ 놀고만~ 가는 것~은 졸장~ 부~ 요/ 잠자고~ 가는 것~ 이 대장부로~ 구나~/ 에야~ 디야~ 에헤헤헤야~ 에~ 야 디~ 어라~ 사랑이로~ 구나~/ 저 건너~ 갈미봉~ 에 비 묻어~ 온다~/ 우장 삿갓을 허리에다 매고~ 아 논~ 에 엎~져서 잔디춤을~ 매세~

4) 세화자 소리[도암면]

에헤야 헤 나헤 에헤야 세에헤 에헤 에루나 보오세/ 잘도 허네 다 잘도 허네 우리나 군사들 다 잘도 허네/ 에헤야 헤 나헤 에헤야 세에헤 에헤 에루나 보오세/ 임은 가고 봄은 오니 언제 또다시 만나를 볼게

3. 밭매기 노래

밭매러 가세 밭매러 가세/ 우리 친구들은 논 빠지고 나 두고/ 우리밭 매고 헐렁헐렁 세상을 살아보세/ 못 다 맬 밭을 다 매고 갈라다/ 금봉채 한쌍을 잊어뿌오[춘양면]

사래 질고 창찬밭을 못 다 맬 밭을 다 잡아 매다/ 금봉채럴 잃었댔오/ 광해창실은 다 죽었냐 금봉채 값은 내당 험세/ 늴리리 닐리닐리리야 니나노 날실로 내가 돌아간다[한천면]

한재 넘어 한 가구야 두재 넘어도 두 가구야/ 사래질은 청천밭을 나 혼자만 다 매라네/ 집이라고 들어간께 삼년 묵은 간장에다/ 비상가리 타서주네 골방에는 들어가서/ 석자시치 명지수건 목에 걸고 죽어보세[화순읍]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