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운월정을 짓고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2099
한자 雲月亭-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집필자 김미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2년 - 「운월정을 짓고서」 『화순 시총』에 수록
성격 칠언시
작가 정두섭(鄭斗燮)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강가에 운월정을 짓고 정두섭이 읊은 한시.

[개설]

한시 「운월정을 짓고서」의 작가 정두섭(鄭斗燮)의 호는 동광(東狂), 본관은 창원으로 생몰 연대나 활동 상황 등은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강동원이 정리한 『화순 시총』에 시가 수록되어 있어 화순군 동복면에 정자를 짓고 그곳에서 활동 했으리라는 것 정도만 알 수 있다.

시의 배경인 운월정은 현존하지 않은 정자라, 『화순 시총』의 기록을 통해 이러한 정자가 있었다는 것만 알 수 있고, 건립 시기나 형태 등은 알 수 없다.

[구성]

칠언시로, 앞부분에는 정자 옆에 흐르는 나한강의 아름다음을 표현했다. 이후 정담을 나누고, 생선을 먹는 등 정자에서의 평화로운 생활을 묘사하였다. 그리고 다시 물새들이 노니는 정자 주위 풍경을 묘사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었다.

[내용]

한강수색염여람(漢江水色艶如藍)[나한강 물빛 곱기가 쪽빛과 같고]

운숙헌창월인담(雲宿軒窓月印潭)[구름은 창에 들고 연못에 달 비추네]

홍경자이무가증(弘景自怡無可贈)[홍경이니 스스로 보살펴 부족함이 없고]

적선미침차의담(謫仙未寢且宜談)[이태백 되어 잠 못 들고 이야기로 밤새우네]

임간식영학염형(林間息影虐炎迥)[수풀 사이로 그림자 쉬니 무더위 물러가고]

강상할인풍미감(江上割鱗風味甘)[강가에서 고기를 자르니 그 맛이 감미롭네]

사조부지인세사(沙鳥不知人世事)[물새들은 세상일을 알지 못하고]

쌍쌍대욕벽파함(雙雙對浴碧波涵)[쌍쌍이 푸른 물결에 노니는도다]

‘홍경(弘景)’은 유(儒)·불(佛)·도(道)에 능통했던 중국 남조(南朝)의 양(梁)나라 학자이고, ‘적선(謫仙)’은 당나라 때 시인 이태백을 가리킨다.

[특징]

담(潭), 담(談), 감(甘), 함(涵)의 운자를 사용하였다.

[의의와 평가]

운월정은 현존하지 않으며, 관련된 다른 기록도 거의 없다. 그렇기 때문에 화순 지역의 나한강 가에 운월정이라는 정자가 있었다는 사실과 정자가 지어진 당시의 풍경이 어떠했는지는 이 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나한강의 물빛, 물새들의 모습 등이 아름답게 묘사되어 있으며, 강가에서 생선을 천렵(川獵)하며 즐기는 현실적인 모습도 볼 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