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화순 대곡리 유적 출토 쌍두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0557
한자 和順大谷里遺蹟出土雙頭鈴
이칭/별칭 화순 대곡리 유적 출토 쌍령두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312|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산83-3]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조진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토|발굴 시기/일시 1971년 12월 24일 - 화순 대곡리 유적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긴급 수습 조사
문화재 지정 일시 1972년 3월 2일 -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국보 제143호로 지정
출토|발굴 시기/일시 2008년 2월 - 화순 대곡리 유적 국립 광주 박물관에서 재발굴
현 소장처 국립 광주 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산83-3]
원 소장처 국립 중앙 박물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출토|발견지 화순 대곡리 유적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312 지도보기
성격 쌍두령
재질 청동
크기(높이,길이,너비) 17.8~17.9㎝[전체 길이]
소유자 국립 중앙 박물관
관리자 국립 광주 박물관
문화재 지정 번호 국보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된 청동기·초기 철기 시대의 의기.

[개설]

화순 대곡리 유적 출토 쌍두령은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에서 조사된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되었다. 1971년 대곡리에 살던 구재천이 헛간의 배수로 작업을 하다가 세형동검 3점과 팔주령 2점을 비롯한 11점의 청동기를 발견하였다. 이때 발견된 청동기들은 1972년 3월 2일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이라는 이름으로 국보 제143호로 지정되었다.

2008년 국립 광주 박물관에서 재발굴 조사를 실시하여 세형동검 2점을 추가로 수습하였다. 1971년 수습 유물은 국립 중앙 박물관의 소장 유물로, 2008년 출토 유물은 국립 광주 박물관의 소장 유물로 등록되어 있으며, 지금은 모두 국립 광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발견자의 기억에 따르면 쌍두령 2점은 팔주령 2점과 함께 피장자의 머리 위쪽에서 부장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대곡리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된 쌍두령 2점은 크기와 형태가 거의 흡사하다. 전체적인 형태는 중앙부가 두텁고 양쪽 가장자리로 가면서 가늘어지는 속이 빈 둥근 막대형 손잡이의 양쪽 끝에 영부(鈴部)가 1개씩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아령 모양을 띠고 있다. 손잡이 중앙에 있는 장방형 구멍은 앞뒤로 관통되어 있고 양 옆에 있는 방형 구멍은 한쪽에만 뚫려 있다. 영부에는 장타원형 구멍 4개가 쌍을 이뤄 뚫려 있으며, 울림통 안에는 구슬이 들어 있다. 쌍두령의 크기는 각각 17.8㎝와 17.9㎝로 거의 비슷하다.

[특징]

화순 대곡리 유적 출토 쌍두령은 함평 초포리 돌무지덧널무덤 출토 쌍두령과 함께 구조가 확실한 유구에서 출토되었다.

[의의와 평가]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된 쌍두령 2점으로 세형동검, 동부, 동사, 잔줄무늬 거울, 팔주령과 함께 출토되어 그 시기가 비교적 분명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세형동검 문화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유물로 평가된다. 시기는 세형동검 문화에서도 비교적 이른 기원전 3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