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룡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토기 가마. 고룡동 창암 토기 가마에서는 경질토기편과 경화된 가마벽 파편, 소토(燒土)덩이가 수습되었다. 가마의 수량과 정확한 시기를 추정하기 어려우며 현재는 밭으로 사용되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남산동 신흥마을 일대에서 확인된 기왓가마터. 광주광역시 광산구 남산동 본량초등학교에서 신흥마을 방향으로 계속 올라가면 분무골이라는 계곡이 나오는데, 계곡 주변에 형성된 작은 야산의 구릉지대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기왓가마터. 광주광역시 운남동 기왓가마터는 하남로를 따라 광신대교에서 흑석 네거리 방향으로 1.2㎞ 정도 거리의 왼쪽에 있다. 현재는 운남주공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수동 수남마을 일대에 있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의 도자 가마터. 장수동 수남 도자 가마터는 광주광역시 진곡일반산업단지에서 운수나들목 방향의 장수 교차로를 지나서 장수제 저수지 위쪽 농로의 좌우편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수동 점등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 가마터. 광주광역시 하남지구에서 임곡동 방향으로 지방도 제825호선을 따라가면 점등마을이 있는데 장수동 점등 가마터는 이 점등마을의 어등산[338m]에서 북동쪽으로 내려오는 높이 57m 정도의 완만한 언덕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내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내산동 대봉 고인돌군은 대봉마을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계곡 끝부분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내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내산동 망월 고인돌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내산동 망월마을 뒤편 구릉 지대에 있고, 나군은 내산동 망월 고인돌에서 남서쪽으로 100여m 떨어진 구릉 사면에 있으며, 다군은 내산동 망월 고인돌에서 동쪽으로 100여m 떨어진 밭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내산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내산동 망월마을 고인돌은 마을 북동쪽에 형성된 구릉지에 있으며, 이곳 지형은 높이 55m의 북서향하는 구릉 정상부에 해당한다. 북서쪽으로 인접하여 몽심헌 김홍련의 비가 있다. 고인돌 일대는 높은 산지 사이에 저평한 구릉지와 곡간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릉 끝자락 여러 개소에 고인돌이 분포한다....
-
광주광역시 남구 노대동 구암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노대동 고인돌은 광주대학교에서 노대동 노대마을로 이어지는 도로 남쪽의 논 가운데 있으며, 행정 구역상 광주광역시 남구 노대동 654-2번지에 해당한다. 노대동 고인돌은 구릉 말단부에 있으며, 북쪽으로는 노대천이 동서 방향으로 흐른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대산동 가산 고인돌군은 가산마을 남쪽 논 가운데에 인접한 야트막한 구릉 아래 평지에 있고, 대산동 가산 고인돌 나는 가산 고인돌군 맞은편 산사면 밭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대산동 대야 고인돌 가군은 대야마을 구릉 지대에 있고, 나군은 진주정씨 민묘가 조성되어 있는 노송으로 둘러쌓인 구릉 정상부에 있다. 다군은 대야마을에서 남쪽으로 300여m 떨어진 한빛노인전문요양원 서쪽 논에 있으며, 라군은 대야마을 북쪽 구릉 정상부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덕림동 수성 고인돌은 칠봉산[110m]에서 곡간부로 내려오는 사면 말단부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에 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덕림동 을림 고인돌은 을림마을 남서쪽에 형성된 구릉지에 있으며, 행정 구역상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 을림마을 78-1번지에 해당한다. 고인돌 동쪽으로 560m 지점에는 평림천이 흐르며, 일대에 구릉지와 충적지가 형성되어 있다. 구릉 말단부에는 여러 고인돌군이 분포한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덕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도덕동 상지 고인돌군은 1990년 조사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현재까지 변함없이 고인돌 3기가 유지되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림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동림동 원동마을 고인돌이 분포한 원동마을은 영산강 지류인 평림천변에 있다. 마을 동쪽은 평림천 유역 충적평지를 마주하고 있고, 서쪽은 높이 100~200m의 산과 얕은 구릉으로 둘러싸여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동호동 본촌마을 고인돌은 나주오씨 선산에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행정 구역상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 299-1번지, 산22-2번지 일원에 해당한다. 동호동 본촌마을 고인돌이 있는 곳은 감도산 서쪽 사면 말단부로서 높이 30m 내외의 지역이다. 동호동 본촌마을 고인돌 서쪽 부근으로 평림천이 흐르며, 이 일대에는 넓은 충적지와...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수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산수동 용산마을 고인돌군은 용산마을 뒤편 김준태의 밭에 있다. 고인돌군이 있는 지점은 높이 36m로 구릉 정상부에 해당하며, 이 구릉 일대에는 구석기 시대~삼국 시대에 해당되는 유물산포지가 있다. 고인돌군 동쪽으로 670m 부근에 황룡강이 흐르며, 이 일대에는 저평한 구릉지와 곡간지가 형성되어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거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삼거동 삼암 고인돌군은 삼암마을 동쪽과 서쪽에 있으며, 행정구역상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거동 114, 143, 624-3번지에 해당한다. 고인돌이 있는 지형은 높이 30m에 해당하는 구릉 말단부로 곡간부와 인접한 곳이다. 고인돌 동쪽으로 평림천이 흐르며, 이 일대에는 저평한 구릉지와 충적지가 형성되어 있어 많은 유적이 분포한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거동 삼암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삼거동 삼암마을 고인돌은 가·나 2개군으로 구분된다. 가군은 삼암마을 동쪽에 형성된 높이 27m의 나지막한 구릉에 있고, 나군은 삼암마을 서쪽 김종성 묘역이 있는 높이 30~40m에 해당되는 구릉 말단부에 있다. 삼암마을 고인돌 가·나군은 독립된 구릉 남쪽 말단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600m 지점에 평림천이 흐르고 이...
-
광주광역시 광산구 서봉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서봉동 강골마을 고인돌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서봉동 강골마을 구릉 지대에 분포하였다. 이 지역 주변에 월성장서루(月城藏書樓) 터가 있으며, 강 건너 지평동 용강골 고인돌군과 마주 보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에 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신창동 매결 고인돌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은 구릉 남쪽 사면에 있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양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양동 월암마을 고인돌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양동 양산김씨 선산 구릉 하단에 2기가 분포한다. 지형상 마을 앞 농경지를 바라볼 수 있는 위치이며, 주변에는 민묘(民墓)가 산재하고 소나무 등 잡목이 우거져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옥동에 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옥동 옥연 고인돌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옥동 옥연마을 남쪽에서 동서 방향으로 진행하는 지방도 831호선 도로를 따라 서쪽으로 500m쯤 떨어진 지역의 동북쪽 모서리에 있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곡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용곡동 용곡 고인돌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복룡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구릉 지대에 자리잡은 용곡동 금곡마을[현재의 용곡마을]에서 연산동 화전마을로 가는 교차로 동북쪽 모퉁이에 1기가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에 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장덕동 성덕 고인돌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 성덕마을에 있었다. 고인돌 동쪽으로는 영산강의 지류인 풍영정천이 흐르며, 이 일대에는 저평한 구릉지가 형성되어 있어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다양한 유구가 발굴 조사되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에 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장덕동 신완 고인돌은 하남일반산업단지 도로에서 지방도 813호선을 따라 장덕동 신완마을로 가면 단위농협창고가 있는 도로 오른쪽에 1기가 있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장덕동 장자 고인돌군은 장덕초등학교와 장덕중학교 사이 구릉 동쪽 사면에 대나무숲으로 둘러싸여 3기가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수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장수동 점등 고인돌군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수동 점등마을 북쪽의 구릉 말단부에 형성된 태산박씨 민묘 주변에 있다. 고인돌이 있는 지역에는 높이 60m 내외의 저평한 구릉지와 곡간지가 형성되어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죽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지죽동 매화 고인돌군은 평동일반산업단지 북쪽 끝부분인 영천마을 입구에서 우측으로 들어가는 소로를 따라 가면 ‘은혜와평강교회’가 나오는데, 그 길을 따라 올라가는 곳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평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지평동 용강골 고인돌 가군은 서봉마을 앞 황룡강 건너편 강변을 따라 14기가 있고, 나군은 서봉마을 앞 황룡강 건너편 ‘강변정’ 식당 입구에 3기가 분포한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에 있는 고분. 대산동 우치고분은 대야마을 뒤쪽에 있는 진주정씨 문중 선산에 있다. 고분이 있는 지점은 높이 85m 부근의 구릉 사면부이며, 서쪽으로 대규모 군집을 이루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이 인접하여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 동호동 돌방무덤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 532번지에 있으며, 마을 입구에서 북쪽으로 80m 지점인 서쪽 야산에 조성되었다. 고분이 자리한 곳의 지형은 곡간부와 인접한 사면부에 해당하며, 서쪽으로 400m 지점에 평림천이 흐르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두정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 두정동 가정고분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두정동 가정마을의 남동쪽 구릉에 있다. 이곳의 지형은 가정마을 북편에 형성된 판사등산에서 남동쪽으로 흐르는 사면 끝자락으로 높이 76m에 해당된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명화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 명화동장고분은 화동마을 북동쪽 구릉 말단부인 높이 35m 내외의 저평한 구릉지에 있다. 행정구역상 광주광역시 광산구 명화동 170-5번지이며, 명화동장고분 일대는 북쪽의 복룡산에서 발원한 여러 개의 작은 하천이 만나며 저평(低平)한 구릉지와 평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 산정동 지실 고분은 어등산 동쪽에 형성된 골짜기 끝자락의 저수지 내에 있다. 고분 남동쪽으로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동쪽으로 249m 지점은 택지 개발이 이루어져 많은 유적이 발굴 조사되었다. 현재는 원래 지형을 확인할 수 없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에 있는 철기시대 옹관묘[독무덤]와 토광묘[널무덤]. 신창동 옹관묘지가 발굴된 광주 신창동 유적은 영산강이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흘러가 반원형으로 곡류하는 지점에 있다. 동쪽은 넓은 충적평야 지대이고, 서쪽은 높이 50m 내외의 낮은 구릉지이다. 신창동 옹관묘지가 있는 지점은 신창제와 인접한 서쪽 구릉지 말단부이며, 높이 35m 내외에 해당한다. 주변 일대는...
-
광주광역시 광산구 쌍암동에 있던 삼국시대 고분. 쌍암동 고분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쌍암동 응암마을 앞 논에 있었다. 고분 주변 지형은 영산강변에 형성된 충적 대지이며 고분이 자리한 곳은 높이 22m에 해당한다. 쌍암동 고분 자리에서 남서쪽으로 300m 떨어진 지점에 월계동장고분이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요기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 요기동 조산 고분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요기동 조산마을에 있다. 고분이 있는 곳은 영산강의 지류인 황룡강변 일대 충적평야 지대로 높이 14m 내외이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 운남동 고분은 풍영정천이 영산강에 합류되는 지점 부근에 형성된 높이 15m 내외의 충적지에 있다. 북쪽 구릉은 택지로 개발되어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에 있던 철기시대 옹관묘. 운남동 옹관묘는 높이 30m 내외의 나지막한 구릉지에 있으며, 서쪽으로 660m 지점에 풍영정천이 흐른다. 이 일대는 저평한 구릉지와 충적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러 개소의 유적이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 월계동장고분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장구촌마을 북편에 있다. 월계동장고분이 있는 지점은 높이 22m 내외의 구릉 말단부로서 충적지와 경계를 이룬다. 월계동장고분 일대는 저평한 구릉과 넓은 충적평야 지대이며, 북쪽으로 300m 떨어진 지점에 삼국시대 고분인 쌍암동 고분이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산동에 있는 고분. 하산동 고분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서 동곡동 간 도로변 우측에 히메기고개라 부르는 구릉에 있다. 고분은 높이 34m의 구릉 정상부에 있고, 주변은 곡간지(谷間地)가 형성되어 있어 고분이 있는 지점은 우뚝 솟은 형상이다. 고분 일대에는 서산유씨 민묘(民墓)가 들어서 있고, 잡목과 노송이 우거져 있다....
-
전라도 광주 송정리 일대에 있었던 조선시대 석축 성터. 광주광역시 고내상성지(古內廂城址)는 1397년(태조 6년) 전라도 병영(兵營)을 설치하면서 쌓았다가 1471년(태종 17년) 전라도 강진 병영으로 옮기면서 사용하지 않은 성으로 고병영성(古兵營城)이라고도 불렀다. 고병영성과 관련된 지명이 아직도 흔적이 남아 있는데, 광주비행장의 활주로는 뽕나무밭이 있었기 때문에 '성안엣들’이라...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곡동에 있는 시대 미상의 성터.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곡동 기곡저수지 북쪽 복룡산[228m] 정상 부근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 있었던 조선시대 초기의 전라병영. 전라병영은 1397년(태조 6)부터 1417년(태종 17)까지 20년 동안 전라도 광주목에 있었던 성으로, 이후 전라도 강진으로 이영(移營)하였다. 병영이 옮겨가면서 사용하지 않은 성으로 '고병영성'이라 불리었다. 전라병영이 있던 자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 일대이며, '고내상성지(古內廂城址)'란 이름으로 성(城)과...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매결 마을에서 확인된 조선시대의 건물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흘러가는 극락강이 반원형으로 곡류하는 지점에 있다. 신창동 매결 마을에서 확인된 건물지는 전남공업고등학교 남서쪽에 있는 구릉의 말단부에 있다. 구릉 북쪽은 학교가 만들어지면서 삭평과 복토가 이루어졌으며 구릉 대부분은 산죽과 소나무 숲이 형성되었고 구릉 남사면은 공동묘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곡동 일대의 복룡현 관아지로 추정되는 유적 터. 용곡동 복룡현 관아지는 광주광역시 용곡동 기곡마을과 용곡마을 사이에 있는데 평동 저수지와 직선거리로 770m 떨어져 있다. 발견 당시에는 홍태희의 가옥 좌측의 논과 광산김씨 선산이 있었다고 한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서 확인된 조선시대 회곽묘. 광주정씨 회곽묘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내촌마을 뒤편 산록에 있다. 이곳은 광주정씨의 부군 탁신(卓愼)[1367~1426]이 탁송정이란 정자를 짓고 유유자적하던 곳이나 현재는 정자터만 남아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에 있는 조선시대 회곽묘. 덕림동 회곽묘가 확인된 광주 덕림동 복만 유적과 응유 유적은 높이 40~55m의 나지막한 구릉지에 있다. 유적 동쪽으로 450m 떨어진 지점에는 평림천이 흐르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문신 범세동의 묘역. 범세동선생묘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 산 94-1번지 일원에 있다. 묘역은 높이 70m의 구릉지에서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동쪽으로 180m 떨어진 지점에 평림천이 흐르고 있다. 이 일대에는 구릉지와 곡간평지가 형성되어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거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삼거동고인돌군은 평택임씨 선산의 구릉 남쪽 사면부에 있으며, 행정 구역상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거동 산50, 51, 51-1번지 일원에 해당한다. 고인돌이 있는 곳의 지형은 높이 70m 내외의 구릉 사면부이며, 이 일대에는 높이 80m 이상의 산지와 곡간지가 형성되어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에 있는 조선시대 묘역. 양송천묘역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명한 문장가인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1519~1581]과 양응정 자손의 묘역이다. 1978년 9월 22일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8호로 지정되었고, 제주양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에 있던 조선시대 회곽묘. 운남동 회곽묘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옛 일신마을]에 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의병장 오성술의 묘. 오성술(吳成述)[1884~1910]의 본관은 나주(羅州), 호는 죽파(竹坡), 본명은 오인수(吳仁洙)이다. 전라남도 광산군 삼도면 송산리 죽산마을 양반 가문 출신이다. 어린 시절부터 한학을 익히며 한문과 유학의 기초를 닦았다. 1907년 고향마을 용진산에서 의병을 일으켜 김태원(金泰元)[1870~1908] 의진(義陣)...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에 있는 효자 김창환의 유허비. 김창환(金昌煥)의 효행을 기리고자 세운 유허비(遺墟碑)이다. 김창환은 김해김씨(金海金氏)로 관직은 동몽교관(童蒙敎官)과 조봉대부(行朝奉大夫)를 역임하고 이조참판(吏曹叅判)에 증직(贈職)되었다. 기우만(奇宇萬)이 명(銘)을 짓고 오준선(吳駿善)이 찬(撰)하였다. 이중권(李重權)이 글을 짓고, 이재춘(李載春)이 글씨를 썼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명도동에 있는 나주오씨 3대의 효행을 기려 세운 비. 나주오씨(羅州吳氏) 오상림(吳相霖), 오상림의 아들 오덕환(吳德煥)과 오직환(吳直煥), 오상림의 손자 오영기(吳永基) 등 3대의 효행을 기록한 비이다. 명도동 지역은 원래 조선시대에 나주목 적량면에 속하였는데, 행정구역이 바뀌면서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편입되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에 있는 류희달의 신도비. 류희달(柳希達)[1571~1631]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策錄)되었고 덕림사(德林祠)에 배향되었다. 신도비(神道碑)가 있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은 조선시대 때 나주목 장본면 지역이었고, 1906년 함평군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 나주군으로 다시 편입되어 본량면 동호리라 하였다. 1949년...
-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에 있는 류재만의 행적비와 모선기실비. 문화류씨(文化柳氏) 류재만(柳在萬)[1909~?]의 지극한 효성과 위선(爲先)의 정성을 기리기 위해 세운 행적비(行蹟碑)와 모선기실비(慕先紀實碑)이다. 류재만은 양일묵(梁鎰默), 오필선(吳弼善)의 문하이고 선조(先祖) 현창(顯彰)에 헌신하였다. 1964년 모친상, 1968년 부친상을 당하여 예를 다하였다. 현재 덕림동...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 기진의 유허비. 덕성군물재기공유허비(德城君勿齋奇公遺墟碑)는 입향조(入鄕祖)인 기진(奇進)[1487~1555]을 기념하기 위해 행주기씨(幸州奇氏) 덕성군(德城君) 문중에서 세웠다. 기진은 기대승(奇大升)의 아버지로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자순(子順), 호는 물재(勿齋)이다.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전라도 광주 지역으로 입향하...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수동 입석마을에 있는 선정비. 한 바위면에 구획을 하고 나주목사(羅州牧使) 2인의 비를 새긴 선정비(善政碑)와 유애비(遺愛碑)이다. 민치성(閔致成)은 1820년(순조 20) 4월 2일 나주목에 도임하여 1822년(순조 22) 7월까지 재임하였다. 이지연(李止淵)은 1830년(순조 30) 10월 1일에 도임하여 1831년(순조 31) 1월까지 재임하다가 한성판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왕동에 있는 오자치를 기려 세운 신도비. 오자치(吳自治)[1426~?]는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1467년(성종 8)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발발하자 도총사(都摠使) 이준(李浚) 휘하의 군관(軍官)으로 토벌에 참가하였다. 오자치는 난이 진압된 이후 사직을 지킨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에 책봉되었다. 이후 의흥위(義興衛) 호군(護軍), 평안도(平安道) 조전장(...
-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에 있는 밀양박씨의 효열비. 유인(孺人) 밀양박씨(密陽朴氏)의 효행과 열행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에 있는 청주한씨 부인의 효열비. 청주한씨(淸州韓氏)는 29세 때 남편이 괴질에 걸리자 성심껏 간호를 하였고, 남편이 운명하려 하자 살을 베고 피를 주어 며칠을 연명하게 하였다. 남편이 운명하자 본인도 따르려 하였으나, 나이든 시부모를 모시기 위해 상례를 잘 치렀다. 시어머니가 병이 들자 극진히 간호하였고, 좌우 손가락을 베고[斷指] 피를 입으로 넣어 연명하...
-
광주광역시 비아동에 있는 조선시대 문신 조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유허비. 취병조형유허비(翠屛趙珩遺墟碑)는 조형의 6대손 조운한(趙澐漢)이 광주목사로 부임하여 선조인 조형(趙珩)[1606~1679]을 기리기 위하여 조형이 태어난 옛터에 1873년(고종 10)에 세운 비석이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산동에 있는 평택임씨 삼강유허비. 평택임씨(平澤林氏) 임영수(林英秀)와 임영수의 아내, 임영수의 아들 임계(林桂)와 임계의 아내, 임영수의 손자 임광윤(林光胤), 임영수의 증손자 임은(林嶾)과 임두(林㞳) 등 4대에 걸친 충·효·열 삼강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기우만(奇宇萬)이 1915년에 비문을 지었고, 후손 임철주(林哲周)가 1941년에 비문 글씨를...
-
광주광역시 광산구 안청동에 있는 박노술의 광복을 염원하는 글을 새긴 석대. 풍천대(風泉臺)는 박노술(朴魯述)[1851~1917]의 항일 의적(義蹟)을 기념하는 삼층 석대(石臺)이다. 박노술은 조선 후기의 학자로 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안청동에서 태어났다. 기정진(奇正鎭) 문하에서 학업을 닦았다. 항일의식 각성을 촉구하였고, 1917년 6월 광주경찰서에 끌려갔다가 사흘 만에 의식을...
-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덕동에 있는 진주강씨의 효행을 기려 세운 비. 진주강씨(晋州姜氏)는 강이회(姜以會)의 딸로 부모를 지극한 효성으로 섬겼다. 반두명(潘斗明)에게 출가하여 시부모를 잘 봉양하였고, 반두명이 세상을 먼저 떠나자 예를 갖춰 장례를 치렀다. 낮에는 땔감을 하고 밤에는 길쌈을 하여 어려운 시가를 일으키고 시부모를 공경하였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에 있는 효자 김기삼을 기려 세운 비. 김기삼(金基三)의 효행을 기리고자 세운 기적비(紀蹟碑)이다. 비각 안에 있으며 비각 상량문의 글은 오동수(吳東洙)가 지었다. 김기삼은 어른들의 상을 당하여 시묘살이를 하였는데, 이때 동물들이 호위를 해 주었고 시묘 지역에는 풀이 나지 않았다고 한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 발견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고고학적 유물이 있는 유적지. 유물산포지는 석기(石器)나 토기(土器), 자기(磁器), 기와 등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이 지표에 드러난 곳이다. 유물산포지는 무덤이나 집 등 사람이 만든 구조물(構造物)의 흔적인 유구(遺構)가 확인되지 않아서 유적이 땅속에 존재하는지가 분명하지 않지만, 지표에 유물이 있어서 땅속에 유적이...
-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룡동 창암마을에 있는 삼국시대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고룡동은 북쪽으로는 팔랑산[121.2m], 남쪽으로 어등산[338m]에 이르기까지 남북으로 길게 자리하고 있고, 고룡동 창암 유물산포지는 팔랑산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린 구릉의 중간부로 모시골에서 창암마을의 동쪽 부분에 넓게 자리하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에 있는 철기시대 말기에서 원삼국시대 초기에 걸친 농경 복합 유적. 광주 신창동 유적은 벼농사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과 생활 그리고 무덤의 실상을 알려 주는 거대한 농경 복합 유적이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에 있으며, 영산강변에 낮게 솟은 삼각산[276m]에서 영산강[115.5㎞]의 서안을 따라 남동쪽으로 뻗어내린 구릉의 끝자락 일대에 해당한다. 현재는 호...
-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삼거동에 있는 구석기시대부터 근대까지의 복합 유적. 광주광역시 덕림동 북쪽과 서쪽으로는 병풍산에서 뻗어내린 7개의 봉우리가 솟아 있으며, 동쪽으로는 황룡강의 지류인 평림천이 남으로 흐른다. 덕림동 유적은 가암산, 만중산, 병풍산, 칠봉산, 감도산 사이의 평야 지대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천동 작은도랑실에 있는 삼국시대·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도천동은 국도13호선[사암로]을 기준으로 북쪽은 큰도랑실, 남쪽은 작은도랑실로 구분되며, 도천동 작은도랑실마을은 도촌제[도촌2제]의 서쪽에 있다. 도천동 작은도랑실 유물산포지는 도촌제의 중앙에서 북쪽으로 240m, 서쪽으로 370m 정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범위로 구릉 사면과 밭으로 사용되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천동 큰도랑실에 있는 초기 철기시대부터 원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도천동 큰도랑실마을은 도금동의 중앙에서 약간 북서쪽으로 떨어져 있다. 유물산포지는 큰도랑실마을 서쪽 구릉 말단부의 개활지에 있다. 인근 하남공단과 유물산포지 사이에는 작은 개천이 흐르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 박산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삼국시대·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은 황룡강을 끼고 형성되어 있는데 남쪽으로는 황새봉[151.3m]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는 석봉[339.8m], 북쪽으로는 마호제까지 이어져 있다. 박호동 유물산포지는 동쪽에서 형성된 산지의 구릉에서부터 황룡강 주변의 평야지대에 걸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덕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본덕동은 영산강[115.5㎞]을 끼고 동곡동과 용봉동 사이에 있다. 본덕동 창교 유물산포지는 30~40m의 구릉이 연이어 발달한 곳으로 평동천이 영산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에 있으며 창교1제와 창교2제 사이에 있는 공산[50.1m] 일대를 말한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집터와 토기 가마 유적. 광주광역시 비아동 유적의 위치는 광산나들목과 북광산나들목의 중간 지점이며, 국도 제1호선 광주광역시 구간을 따라 전라남도 장성군 방향으로 가다 보면 왼쪽 도로변의 높이 48~51m 정도의 나지막한 구릉상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동에 있는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적. 광주광역시 산월동 유적은 광주첨단과학국가산업단지에 포함되어 있는 곳으로 극락강 주변에 있다. 남쪽에는 삼각산이 있고 그 정상으로부터 북서쪽 아래 높이 40~60m 정도의 산지성 구릉이 완만한 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삼각산의 동쪽 기슭에는 월봉, 북쪽 기슭과 산 언저리에는 봉산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극락강 주변으로...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 가야마을 인근에 있는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 가야마을은 지방도 제816호선에서 호남선 철도와 접한 남쪽으로 이어지는 도로에 있다. 신정동 가야 유물산포지는 가야마을 서쪽의 구릉성 산지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고, 대부분 경작지로 개간되어 있으며 남쪽에는 가야제가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산정동 유물산포지는 북쪽으로 장수천, 동쪽으로 풍영정천이 흐르는 구릉지대에 있다. 유물산포지의 북쪽에는 하남동 유물산포지, 서쪽에는 산정 저수지와 산정동 가야 유물산포지가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광주광역시 산정동 유적 1은 영산강[115.5㎞]의 지류인 풍영정천의 지류에 해당하는 장수천 수계에 있는데, 지형은 어등산[232.7m]의 동쪽 끝자락의 나지막한 구릉이 잘 발달된 곳이며 하남동 유적 북쪽에 해당한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고룡동에 있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광주광역시 산정동 유적 2는 영산강[115.5㎞]의 지류인 풍영정천의 지류에 해당하는 장수천 수계에 있으며, 지형은 어등산[232.7m]의 동쪽 끝자락에 형성된 구릉지대에 해당한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 지실마을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은 서쪽의 어등산[338m]과 남서쪽의 동자봉[153.6m]에서 뻗어나온 언덕에서 평지로 이어진다. 산정동 지실 유물산포지는 어등산에서 분지된 계곡과 지실마을 초입부인 가야제를 중심으로 남서쪽과 동쪽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근대까지의 복합 유적. 광주광역시 삼거동 유적은 삼거동의 남쪽에 있으며, 삼거동고인돌군과 대산동 유물산포지 2에 가까이 있다. 지형은 낮은 산지 사이의 완만한 구릉 사면부에 해당하며, 동쪽으로는 사랑산이 남북으로 병풍처럼 뻗어 있어 동쪽으로 향할 수 있는 길목을 가로막고 있다. 서쪽, 또한 가암산·병풍산을 비롯한 낮은 산지가 남북으로...
-
광주광역시 광산구 서봉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서봉동은 북쪽으로 어등산[290.3m], 남쪽으로 복룡산[228.3m]을 끼고 있는 황룡강 안의 충적지이다. 서봉동 유물산포지는 황새봉[151.3m]에서 내려온 구릉의 계곡부로 황룡강과 만나는 지점이며, 국도 제22호선에서 서봉마을로 들어가는 도로 왼쪽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암동에 있는 삼국시대·조선시대의 복합 유적. 광주광역시 선암동 유적은 광주광역시 운수나들목에서 평동공단 방면으로 가다가 호남대학교 쪽으로 우회전하면 왼쪽에 있으며, 어등산[232.7m]의 말단부 사면과 황룡강의 충적층이 접하는 곳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에 있는 시대 미상의 제철유적.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은 어등산 동자봉[153.6m]에서 시작하여 송정동까지 남북으로 길게 자리하고 있다. 남쪽에는 소촌농공단지가 있으며 북쪽에는 무진대로가 동서 방향으로 지난다. 소촌동 제철유적은 동자봉에서 내려오는 구릉 끝자락과 완만한 계곡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산동 세동마을 인근 도덕동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주거지. 광주광역시 송산동 세동마을은 구릉을 등지고 평림천을 마주보며 형성된 마을로, 마을 남쪽으로는 국도 제22호선이 지나고 있다. 원삼국시대의 주거지 윤곽이 확인된 위치는 마을의 남서쪽 구릉으로 도덕동에 속한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산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적. 광주광역시 송산동 유적은 광주광역시에서 전라남도 영광군 쪽으로 가는 국도 제22호선을 따라가다 호남대학교를 지나 1㎞ 정도 거리의 지평마을 서쪽 구릉상과 사면부에 있다. 송산동 유적은 망월평야의 남쪽 끝자락 부분에 해당하며, 북쪽으로 전라남도 장성군 두월리에서 발원한 평리천이 서에서 동으로 흐르며, 동쪽으로 1㎞ 지점에서 황룡강의...
-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와 초기 철기시대의 유적. 광주광역시 수완동 유적은 광주광역시의 북서쪽에 해당하며 행정구역상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 일대에 있다. 풍영정천 좌우의 너른 평야와 곡간 충적지대로, 30~50m의 낮은 구릉의 정상부와 사면부에 해당한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 하완마을에 있는 초기 철기시대와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은 풍영정천 좌우에 너른 평야와 곡간 충적 지대, 낮은 언덕이 형성되어 있다. 수완동 하완 유물산포지는 수완동의 중앙 부분에서 동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하완마을에서 수문리로 넘어가는 서쪽 언덕과 하완마을에서 동쪽으로 떨어진 언덕의 사면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에 있는 초기 국가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신룡동 신촌 유물산포지는 판사등산[342.9m]에서 남동쪽 아래 높이 263m 지점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는 구릉에 있다. 구릉 계곡부 아래에는 두정 저수지가 있고 서쪽으로는 황룡강이 있다. 유물산포지에서 북쪽으로 600m 거리에 신룡동오층석탑이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연산동 일대에 있는 신석기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광주광역시 연산동 유적은 광주광역시 평동역에서 전라남도 나주시로 가는 길을 따라 연산동 방향으로 1.8㎞ 정도 떨어진 연산제 일대에 있다. 연산동 유적은 '산정 유적 A~C', '기용 유적', '화전 유적'으로 나뉘며, '산정 유적 A'는 연산제 남동쪽 높이 40~45m의 구릉사면, '산정 유적 B'는...
-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에 있는 초기 철기·삼한·삼국시대의 집터와 고려시대·조선시대의 건물지 유적. 광주광역시 오룡동 유적 A·B지구는 오룡동 미산마을 일대에 있으며, 영산강[115.5㎞] 주변의 배후습지 및 충적지보다 약 10~20m 정도 높은 곳으로 영산강을 남동쪽으로 내려다 보는 위치이다. 오룡동 C지구는 오룡동 신점마을 일대로 불대산 지류의 저평한 계곡 사이에 형성된 낮은 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요기동 상정마을과 두산마을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요기동 일대는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과 인접해 있으며, 영산강[115.5㎞]의 영향으로 나지막한 구릉이 발달해 있다. 요기동 유물산포지는 요기제 옆 상정마을 뒤편 구릉 일대부터 두산마을에 이르기까지의 구릉과 밭 일대이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곡동 용곡마을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삼국시대·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용곡동은 복룡산[228.3m]에서 남쪽으로 펼쳐진 구릉에서부터 평야지대로 이어지는데 용곡 유물산포지는 용곡동의 남쪽에 있다. 용곡동 용곡 유물산포지의 북쪽으로는 평동 저수지에서 흘러나온 평동천이 흐르며 주변에는 얕은 구릉이 형성되어 있다. 연산동 금곡 유물산포지의 북쪽 지점과 접해...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곡동 용광마을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용곡동은 복룡산[228.3m]에서 남쪽으로 펼쳐진 구릉에서부터 평야지대로 이어진다. 용곡동 용광 유물산포지는 평동산업단지에서 대산삼거리 방향으로 내려오는 지방도와 인접한 용광마을 동쪽 구릉 사면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동 관동마을 일대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용동은 북서쪽으로는 복룡산[228.3m]에서 뻗어내린 높은 산지성 구릉이 있고, 동쪽으로는 죽천제가 있다. 유물산포지는 높이 168m의 구릉에서 남동쪽으로 뻗어내린 능선의 말단부와 논과 밭에 있다. 구릉의 북쪽 능선부 말단은 민묘, 동쪽은 밭과 과수원 등으로, 서사면은 논으로 이용되...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봉동에 있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해당하는 경작 유구가 발견된 유적. 광주광역시 용봉동 유적은 광주광역시 용봉마을과 본덕마을 사이의 높이 50m 정도의 구릉에서 흘러내린 하단부의 평지로, 평동천의 서남쪽 충적대지에 해당한다. 용봉동 유적은 2개 지구로 나뉘는데 영산강[115.5㎞] 유로 방향과 직교한 기준토층을 기준으로 북동쪽이 '용봉동 유적 가' , 서쪽이...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에 있는 삼한시대와 고려시대의 유적.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은 광주광역시의 북서쪽으로 영산강[115.5㎞]의 지류인 극락강이 흐르고 낮은 평야가 펼쳐져 있으며, 높이 30m 내외의 나지막한 구릉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운남동 유적은 하남로를 따라 광신대교에서 흑석네거리 방향으로 1.2㎞ 정도 떨어진 거리의 왼쪽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에 있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운수동 유물산포지는 광주광역시 운수동의 남서쪽에 있으며, 책상봉[108.9m]의 정상부에서 남동쪽으로 뻗어내린 구릉의 말단부에 있다. 운수동 유물산포지 북서쪽에는 높이 100m 정도의 여러 개의 산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국도 제22호선이 지나고 남동쪽에는 광주광역시 보문고등학교가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자라몬들에 있는 삼국시대의 이형유구(異形遺構). 광주광역시 월계동은 광주광역시 서북부에서 전라남도 담양군으로 이어지는 분지성 평지의 시작 부분이며, 50m 내외의 구릉이 넓게 발달한 지역으로 구릉 사이에 장구촌마을과 내촌마을이 있다. 자라몬들은 장구촌마을의 서북서쪽에 있는 낮고 평평한 구릉지대이며, 광주광역시 숭덕고등학교 맞은편 월계교회 뒤편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동과 우산동 경계 지점에 있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월곡 유물산포지는 전라남도 장성에서 흘러드는 풍영정천과 극락강이 합수하여 광주광역시를 관통하는 영산강 중·상류 지역에 있다. 하천변에 보논들·장산들·락생이들·고래실들 등 비교적 넓은 충적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물산포지는 월곡공원 동쪽의 구릉에서 확인되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전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적. 광주광역시 월전동 유적은 평동일반산업단지 인근의 송정교에서 평동출장소 사이의 평지에 해당하며 범람원과 배후 산지가 접하는 지점과 산기슭 침식면인 높이 18~40m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 성덕마을에서 확인된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은 영산강의 지류인 풍영정천이 흐르고 넓은 평야와 낮은 구릉이 잘 발달한 곳이다. 성덕마을은 장덕동의 중심부에 있다. 마을의 동쪽에는 야산과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월산마을에서 시작되어 흑석동을 거쳐 월곡동으로 흐르는 수로가 있다. 유적은 성덕마을 뒤 개간지로 이용되는 밭에 형성되어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 신완마을에 있는 삼국시대·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은 영산강[115.5㎞]의 지류인 풍영정천이 흐르고 넓은 평야와 낮은 언덕이 잘 발달한 곳이다. 장덕동 신완 유물산포지는 장덕동의 북동쪽에 있는데 신완마을 북동쪽 야산, 신완마을에서 남쪽으로 약간 떨어져 형성된 언덕의 동쪽 사면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 조선시대의 유적. 광주광역시 장덕동 유적은 성덕 유적, 장자 유적, 신완 유적의 3개 구역으로 나뉜다. 성덕 유적은 높이 40m의 낮은 구릉에 있으며, 유구(遺構)는 구릉의 정상부와 사면부에 있다. 장자 유적은 높이 41m 정도의 낮은 구릉부에 해당하며 성덕 유적의 서쪽 맞은편에 있고, 유구는 구릉 정상부와 하단부의 평탄면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 장자마을에서 확인된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장덕동은 영산강의 지류인 풍영정천이 흐르고 넓은 평야와 낮은 구릉이 잘 발달한 곳이다. 장자마을은 장덕동의 가장 서쪽에 있으며, 마을의 서쪽에 하남공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유물산포지는 장자마을과 성덕마을 사이 북서쪽으로 뻗어내린 낮은 구릉사면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수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장수동 장산등 유물산포지는 지방도 제816호선 주변에 있는 장산등마을 입구 맞은편에 있다. 유물산포지 일대는 노년기 침식지형이 발달하여 비교적 넓게 형성된 저구릉지대로, 유물산포지와 마을 사이에는 장수천이 흐르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죽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지죽동 유물산포지는 광주광역시 복룡산[228.3m]의 동쪽과 광주광역시 석봉[339.8m]의 남쪽으로 뻗어내린 가지능선 말단부에 있다. 구릉의 정상부와 서쪽 사면부에 형성된 논 일대로 주변에 지로제가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평동에서 확인된 조선시대 백자편 수습지. 지평동 가삼마을은 광주광역시 평림천에서 남서쪽으로 666m 떨어진 지점에 있다. 마을의 북쪽으로는 22번 일반국도가 지나고 있고 마을 뒤편으로 야산과 가삼제가 있다. 지평교차로에서는 직선거리로 511m 떨어져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광주광역시 평동 유적은 황룡강과 평동천이 합류하는 지점의 높이 13~14m의 낮고 평활한 지대에 해당하며, 평동역 동편에 있다. 북쪽으로는 어등산[338m]의 구릉성 산지가 있고, 남쪽과 서쪽으로는 나주평야의 낮은 구릉성 지형이 발달되어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하남동 유물산포지는 풍영정천의 지류인 장수천 수계로 어등산[338m] 동쪽 끝자락에 형성된 구릉지대에 있다. 나지막한 구릉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논과 밭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남동 유물산포지의 서쪽으로는 호남고속철도가 들어서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산정동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광주광역시 하남동 유적은 영산강[115.5㎞] 지류인 풍영정천의 장수천 수계에 있으며, 지형은 어등산의 동쪽 끝자락에 형성된 구릉지대에 해당한다. 유물 발굴 지역은 광신대교에서 하남대로를 따라 내려가다 보면 흑석사거리 부근 남쪽의 나지막한 구릉 부근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요기동과 하산동 기용마을 인근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의 유물산포지. 광주광역시 하산동 기용 유물산포지는 하산동 기용마을에서 요기동 상정마을로 가는 소로 왼쪽의 높이 48m 구릉지대에 있으며, 기용 저수지와 요기 저수지 사이의 구릉 일대에 걸친 넓은 면적의 유물산포지이다. 기용 유물산포지의 남북으로는 평동천이 흐르고 동쪽으로 3㎞ 떨어진 곳에 황룡강이 있...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에 있는 개항기 효자문. 밀양손씨삼효문은 1870년(고종 7) 밀양손씨의 손맹옥(孫孟玉), 손맹대(孫孟大) 형제와 손맹대의 아들인 손양복(孫陽復)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손맹옥과 손맹대는 어려서부터 부모님을 지극한 정성으로 모셨다. 부모님이 깊은 병환에 들자, 손맹옥과 손맹대는 넓적다리 살을 잘라 고아서 부모님께 드렸다. 손양복은 손맹대의 아들로...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동에 있는 조선시대 정려. 선거이지각(宣居怡之閣)은 선거이지려(宣居怡之閭)라고도 하며 임진왜란 중 진도군수[종6품], 전라병사[종2품], 충청병사[종2품], 충청수사[정3품]을 역임하면서 해전과 육전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운 선거이(宣居怡)[1545~?)에게 1801년(순조 1)에 내려진 정려이다. 선거이는 1545년(인종 1) 보성군에서 출생하였으나 정려는 광...
-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정려문. 양씨삼강문은 광산구 박호동 박뫼마을 입구에 있다. 박뫼마을은 양산숙이 태어나 자란 곳이다. 양산숙과 양산숙의 어머니인 죽산박씨(竹山朴氏), 형인 양산룡(梁山龍)[1552~1597], 아우인 양산수(梁山岫), 누이이자 김광운(金光運)의 부인인 제주양씨, 양산숙의 부인인 광산이씨 6명의 충(忠), 효(孝), 열(烈)을 기리는 정려문이...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정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광산김씨의 효열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와 비각. 열녀숙부인광산김씨지려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정동 평지마을로 가는 도로변에 있다. 광산김씨는 정일룡(鄭日龍)의 부인으로 시부모를 지극한 정성으로 보살피면서 효도를 다하고, 남편을 극진히 모셔 열행을 다하였다. 나주정씨 문중에서 광산김씨의 효행과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문중마을인 지정동 평지마을...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정려각. 열부학생박상승처유인김씨지려(烈婦學生朴相升妻孺人金氏之閭)는 조선 후기 박상승(朴相 升)의 부인인 광산김씨의 열행(烈行)를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려각이다. 광산김씨는 박상승과 결혼한 후 한 달 만에 남편과 사별하였다. 남편을 따라 죽으려고 하자 시부모가 그 뜻을 누그러뜨리기 위하여 친정에 보냈으나, 친정 앞 강물에 몸을 던졌다. 이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정려문. 오효열정문(五孝烈旌門)은 '서산유씨효렬정려(瑞山柳氏孝烈旌閭)'로 불리며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산동에 있다. 서산유씨 일가의 효행과 열행을 기리고자 나주목사가 조정에 추천하여 세운 정려문이다. 1615년(광해군 7)에 건립하였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오선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의령남씨와 광산김씨의 효행과 열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 의령남씨‧광산김씨 효열정려는 하성채(河聖采)의 처 효부 의령남씨(宜寧南氏)와 하달채(河達采)의 처 열녀 광산김씨(光山金氏)의 효열정려각이다. 의령남씨는 시아버지가 병환에 들자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시아버지께 드리고, 다리살을 잘라 약에 타서 드렸다. 광산김씨는 남편이 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북산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창녕조씨 정려. 창녕조씨 삼강정려는 창녕조씨 일가 중 4대의 충(忠), 효(孝), 열(㤠)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1897년 조정에서 명령을 내려 1923년 건립하였으며, 2011년 중건하였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진곡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영광김씨 효열을 기리는 비와 정려각. 효열부증숙인영광김씨려는 박세방(朴世芳)의 부인인 영광김씨의 효열을 기리는 비와 정려로 광주광역시 광산구 진곡동 백길마을 입구에 있다. 영광김씨는 남편인 박세방이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에 걸리자, 낮에는 약을 구하는 데 정성을 다하고, 밤에는 자신이 남편 대신 병에 걸리게 기원하면서 남편을 보살피고, 남...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정동에 있는 개항기 정려각. 효자정계흥지려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 봉정마을 입구에 있다. 1875년 나주정씨 문중에서 정계흥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정계흥은 1780년(정조 4) 광주광역시 봉정마을에서 태어났다. 부모님을 지극정성으로 모시고, 아버지가 병환에 들자 한겨울에 강의 얼음을 깨서 잉어를 잡아 봉양하고,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피를 아버지께...
-
광주광역시 광산구 두정동 양림사 입구에 있는 2기의 조선시대 부도. 백룡사 부도(白龍寺浮屠)는 양림사(養林寺)로 올라가는 길 왼쪽에 있다. 백룡사 부도와 양림사와의 거리는 100미터가량 된다. 양림사는 1945년에 건립된 사찰로 건립 당시 명칭은 백룡사(白龍寺)였다. 양림사는 폐사된 양림사지(養林寺址)에 있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암동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선암사지 삼층석탑(仙巖寺址三層石塔)은 1층 탑신과 3개 층의 옥개석(屋蓋石), 보륜(寶輪)과 보주(寶珠)만이 남아 있는 석탑이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세운 탑의 비.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 광주송정도서관 앞 현충탑 우측에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탑. 신룡동오층석탑(新龍洞五層石塔)은 이중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이 있는 석탑으로 고려시대에 건립된 신라계 석탑이다. 신룡동오층석탑은 하층기단의 여러 부재와 상층기단의 면석(面石) 2매가 사라져 붕괴의 우려가 있어 1981년 복원하였다. 1993년 기울어진 석탑을 바로잡기 위하여 해체·보수하였으며, 2011년 수리·보수할 때 잘못된 점이...
-
광주광역시 광산구 옥동 옥동경로당 앞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옥동 삼층석탑(玉洞三層石塔)은 3개 층의 옥개석(屋蓋石) 위에 새로 만든 상륜부가 있다. 옥동 삼층석탑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옥동 483에 있다고 알려졌지만, 광주광역시 광산구 옥동 489-1이 더 정확한 주소이다. 길이 복잡하여 찾기가 어렵다. 옥동에서는 매년 정월 보름에 옥동 삼층석탑 앞에서 '옥동 옥동마을 당산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