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382 |
---|---|
한자 | 海東地圖同福縣 |
분야 |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건학 |
1750년대 초 제작된 『해동지도』에 있는 화순 동복현의 지도.
『해동지도』는 1750년대(영조 26) 초에 제작된 회화식 군현 지도집이다. 규격은 47.0×30.5㎝이고, 총 8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동지도』는 민간에서 제작된 지도집이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을 결정하는 데 활용된 관찬 군현 지도집이다. 『해동지도』에는 조선 전도, 도별도, 군현 지도뿐만 아니라 세계 지도인 『천하도』, 외국 지도인 『중국도』·『황성도』·『북경 궁궐도』·『왜국 지도』·『유구 지도』를 비롯하여 관방 지도인 『요계 관방도』 등이 망라되어 있다.
『해동지도』의 여백에는 호구·전결·곡물·군병·건치 연혁·산천·군명·고적·역원·서원·불우·토산 등의 항목과 방위를 표시하는 방면 주기가 들어 있다. 호구·전결·곡물·군병 항목과 방면 주기는 대부분의 군현 지도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으나 건치 연혁에서 토산에 이르는 항목들은 일부 군현 지도에서만 발견된다. 또한 호구·전결·곡물·군병 항목 등 군사·사회 경제적 상황을 나타내는 각종 지표들을 기록하는 형식에 있어서도 도별로 심한 편차가 보인다. 다만 경기도와 경상도의 모든 군현과 전라도 일부 군현의 경우에는 호수나 인구수가 모두 표시된 점, 양안상의 토지인 원전답과 실제 경작되는 토지인 실전답 수치가 모두 표시된 점, 건치 연혁에서 토산에 이르는 항목이 포함된 점 등이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통일성을 갖춘 군현 지도의 설명문은 대체로 1748년(영조 24)~1750년(영조 26)의 상황까지 반영되어 있다.
『해동지도』 「동복현」 지도에서의 동복현은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이서면·남면·북면 일대이다. 동복현의 읍치는 동복면 천변리와 독상리에 있었다. 「동복현」 지도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동쪽의 높은 산줄기와 서쪽의 동복천 물줄기가 실제 지세와 거의 비슷하게 제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도의 여백에는 호구·전결·곡물·군병·역원 등의 항목과 방위를 표시하는 방면 주기가 들어 있어 18세기 당시의 능주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해동지도』는 비경위선 표식 군현 지도집이지만, 비경위선 표식 유형의 군현 지도집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한 지도집이다. 『해동지도』는 상세한 전국 지도와 관방 지도의 수록, 지도와 주기의 동시 수록, 도로·영애 등의 상세한 표시 등 소형 군현 지도집에서 진전된 형태를 보여 준다.
내용으로 볼 때 『해동지도』 「동복현」 지도는 18세기 중엽의 사회 경제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도로 등의 명확한 표시와 여백의 주기 부분 등은 18세기 당시의 화순 지역 동복현의 상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