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00552
한자 洞祭
영어의미역 Village-Ritual Ceremony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준옥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개설]

마을의 수호와 안녕, 풍요를 위해서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내는 동제는 지역에 따라 서낭제와 산신제, 기우제, 장승제, 솟대제, 천제, 단군제, 용수제, 보제, 비제, 무후사제 등으로 불리고 있다. 제의의 명칭이 암시하고 있듯, 동제는 대개 지역에 따라 신앙하는 대상도 다르고, 제의의 형태도 다르게 나타난다.

여수 지역에서 행하는 동제는 해마다 지내는 일반 동제와 몇 년에 한 번씩 부정기적으로 행하는 별신굿으로 나뉜다. 일반 동제는 제의 양식에 따라 제관의 독축과 고사로 엄숙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와, 춤과 노래·극 등을 통해 축제 분위기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일반 동제는 대개 봄이나 가을에 지내기도 하며, 정초에 한 날을 잡아서 하거나 대보름날 밤 자정에 행하는 곳도 많은데, 별신굿이나 해안 지역의 풍어제·용신제는 특별히 날을 따로 잡아서 엄숙한 분위기에서 행하는 특징을 보인다.

[형태와 절차]

여수 지역은 예부터 해안가 마을의 경우 어업에 종사하는 비중이 높은 반면 바다와 관련 없이 순수하게 농사를 짓고 있는 마을도 많다. 이런 이유로 바다와 관련이 없는 마을에서는 육지의 당산제와 비슷하게 동제가 진행되지만, 해안가 마을의 동제는 내륙에서 행하는 동제와 바닷가에서 풍어를 비는 풍어제나 용신제의 형태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에 동제의 명칭 역시 당제, 당산제, 해신제, 용왕제, 벅수제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소호동 항호마을에서 지내는 동제인 영당제는 백마대장군제, 혹은 도제라고 불리기도 한다. 제의 절차는 마을별로 제각각 다르게 진행되는데, 돌산읍 군내리 동내마을의 동제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당제는 섣달 그믐날 밤 11시경에 모신다. 제주(祭主)는 동회에서 선출하는데 부부만 단출하게 살면서 부정을 타지 않은 사람을 선택한다. 제주는 당제를 지내기 일주일 전부터 외출을 금하고 목욕재계한다. 또 집 대문 밖에 대나무를 세우고 금줄을 치며 황토를 깐다. 또 세 군데의 제장(祭場)에도 금줄을 치고 황토를 깔아서 잡인의 접근을 금하고 정화한다. 제물은 제주가 사다가 장만하는데, 비용은 마을기금으로 한다.

제장은 웃본산·벅수·화약고 등 세 군데로, 벅수와 화약고에는 간소한 제물 몇 가지만 올린다. 본당으로는 웃본산 꼭대기 숲속에 당집이 있다. 당 정문 위에는 ‘수성문(守城門)’이라 쓰인 현판이 걸려 있다. 정문을 지나 들어가면 남향한 3칸(1칸은 5척)짜리 통나무 기둥으로 지어진 기와집이 있는데, 중앙 현판에 ‘영위당(靈位堂)’이라 쓰여져 있다.

제물은 제주의 집에서 갖추어 준비하였다가 섣달 그믐날 밤 10시경에 제주 부부와 축관 등 세 사람이 가지고 본당으로 올라간다. 이때 마을의 모든 가정에서는 근신하며 정숙한 분위기를 유지하여야 한다. 물론 거리를 나다니는 것도 삼가야 한다. 제물을 가지고 가는 길에 만약 사람을 만나면 그 길로 다시 돌아와 목욕을 한 다음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한 후에 본당으로 올라간다. 제물은 먼저 본당에 진설한 후에 향불을 사르고 초헌을 한 뒤 재배를 한다. 이때 토방 아래 있는 돌에는 지신의 메를 올린다. 잠시 후 독축을 하고 아헌과 종헌을 한 후에 제물을 땅에 묻는 것으로 제를 마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